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63

[중국고고학] 전국戰國 초간楚簡 쏟아낸 호북湖北 형주荆州 진가저 묘지秦家咀墓地[2] 죽간 분류와 내용 주요 발견 主要发现 진가저秦家咀M1093 출토 전국 초간战国楚简은 이미 “출토 목칠기 보호 국가문물국 중점 과연기지出土木漆器保护国家文物局重点科研基地” 형주문물보호중심荆州文物保护中心에서 제1단계 실내 게취揭取와 보호를 완성했으니 보습保湿→검사상황检查状况→영상影像·회도绘图·문자기록→计算机正射影像绘图·편호编号→게취揭取(편호编号3910매枚)→영상影像→적외선촬영红外摄影(묵서墨书 자료 보존)→파리조방정玻璃条绑定→안편호존방按编号存放(图9-11). 현재는 홍외소묘红外扫描·석문释文·철합缀合 등의 작업이 진행 중이다. 간문简文은 자체字体가 전국战国 초계楚系 간백문자简帛文字라, 필적으로 보건대 서수书手는 6명 이상이다. 간문 내용은 풍부해서 고대 전적典籍에 속하며 초보 감정을 통해 선진先秦시대 “서书”·“어语”·제자诸子·수.. 2024. 3. 29.
[중국고고학] 전국戰國 초간楚簡 쏟아낸 호북湖北 형주荆州 진가저 묘지秦家咀墓地[1] 개황 발굴기관 : 형주박물관荆州博物馆 발굴책임자 : 양개용杨开勇 문물보호를 위해 형주박물관荆州博物馆은 국가문물국国家文物局 《고고발굴정조考古发掘证照》에 근거해 진가저묘지秦家咀墓地 2023년 발굴편호发掘编号 M1093 출토 전국초간战国楚简 고고발굴을 진행하고 2023년 12월 21일 국가문물국이 공포한 “고고중국考古中国” 중대 신진전항목新进展项目으로 인정받았다. 묘장墓葬 개황 진가저묘지秦家咀墓地는 위치가 호북성湖北省 형주시荆州市 기남문려구纪南文旅区 기남진纪南镇 묘호촌庙湖村이라, 북쪽으로 룡회교하龙会桥河를 인접하고, 서쪽으로는 초楚 고도故都 기남성 유지纪南城 遗址랑은 약 1킬로미터 떨어지며, 남쪽으로는 형주성荆州城이 약 6킬로미터 지점에 있으며, 서쪽과 남쪽이 장호长湖가 감싼다. 고고발굴을 통해 이 묘지墓地는 동주.. 2024. 3. 29.
[중국고고학] 2천300년전 죽간 3천910매 쏟아낸 호북湖北 형주荆州 진가저 묘지秦家咀墓地 중국 역사는 고고학이 일반화하면서 출토 문물이 혁명을 써내려가는 징후가 더욱 뚜렷한데, 위진남북조 시대에 이미 한 차례 무덤에서 출현한 죽간竹簡으로 한 차례 소동이 있은 이래 1970년대에는 마왕퇴 한묘에서 난리 버거지를 쳤고, 1990년대에는 곽점 초간郭店楚簡으로 한 바탕 홍역을 치렀으며, 이후에도 상해박물관이 구입한 전국시대 죽간 자료가 아직도 정리 작업이 끝나지 않았을 것이다. 손자병법이 대표하는 산동반도 아래 은작산銀雀山 한간漢簡도 빼놓을 수 없는 일이다. 그런 판국에 근자에 또 저와 같은 소식을 타전했으니, 이게 참말로 묘하게도 저와 같은 출토 문헌이 출현하는 지역이 은작산 한간이야 좀 논외로 쳐야한다고 할 수 있겠지만 이것도 따져보면 초나라가 한창 강성할 적에는 산동반도 아래까지 치고 올라왔으.. 2024. 3. 29.
얼렁뚱땅 넘어가서는 안 되는 이야기 언제부터인지 신미제국新彌諸國=침미다례忱彌多禮=신운신국臣雲新國이라는 이야기가 나돈다. 필자가 보기에도 신미제국과 침미다례는 정황상 같은 나라를 가리키는 것이라 본다. 그런데 삼국지 동이전에 나오는 신운신국. 이 나라를 신미제국과 침미다례와 같은 나라라고 기정사실화하는 글을 보는데 이 부분은 그렇게 얼렁뚱땅 넘어가서는 안된다. 신운신국이 침미다례와 같은 나라라는 근거는 전혀 없다. 그냥 첫글자에 신짜가 들어가고 삼국지 동이전에 가우호하는 신지에 신운신국이 있으니 신운신국이 곧 신미제국이라는 것인데, 그럴 가능성이 있다, 정도가 아니라 아예 요즘은 신운신국이 신미제국이라고 확증하는 글도 보인다. 전혀 동의할 수 없고, 신운신국의 위치는 아직도 미상이라고 이야기 해야 옳다. 신운신국을 신미제국으로 비정하는 건 .. 2024. 3. 28.
국가유산기본법은 유산을 위한 법인가? 조직 개편을 위한 법인가? 문화재청이 애초 문화재보호법을 해체(실상 간판만 바꾸는 작업)하고 국가유산기본법으로 대체한다 했을 적에 나는 못내 의심의 눈초리를 감추지 못한 대목이 있는데, 일단 이 법률 개정 자체 큰 흐름에는 찬성했지만, 그것이 흘러가는 양태를 볼수록 문화재에 대한 근간의 인식 전환은 온데간데 없고 실상은 조직개편을 위한 알량한 옷갈아입기 아닌가 했으니 실상 접때 지적했듯이 국가유산기본법이 시행된다 해서 문화재를 바라보는 근간 시각은 눈꼽만큼도 바뀔 게 없고 이름만 문화재가 국가유산으로 대체된다는 그것밖에 안 된다는 이야기를 했거니와 이 법률 시행에 맞추어 문화재청 역시 조직을 개편하지 않을 수 없으니 그 양태를 보면 딱 내가 의심한 그것에서 한 치 어긋남 없음을 보거니와 간단하다. 조직개편을 위해 법률을 바꾼 데 .. 2024. 3. 28.
아궁이 때려 부수어 바닥에 깐 천육백년전 무덤 전남 해남군 읍호리 고분군에서 대략 1천600년 전 흙으로 빚어 만든 이동식 아궁이가 조리용 토기와 함께 동시에 발견됐다. 이런 이동식 아궁이 토제품은 그간 가야나 신라권역에서 주로 출토되다가 이번에 전남지역에서는 처음으로 확인되었다고 조사 의뢰기관인 해남군이 28일 말했다. (재)대한문화재연구원이 시행한 발굴조사 결과 드러난 이 토제품은 높이 31.6cm, 너비 41cm, 솥걸이 직경 22,8cm 크기로 실제 사용 가능한 크기로 제작된 점이 특징이다. 바깥에는 바둑판 격자 무늬를 새겼고 뒷부분에다가는 연기가 나가는 연통을 조합했다. 전북 군산 여방리 유적에서 이와 유사한 이동식 아궁이가 출토된 적이 있지만 이는 작은 모형인 데다 제작 시기도 100년 정도 늦다고 조사단은 덧붙였다. 이번 조사에서 함께 .. 2024. 3.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