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63

어떤 로마? 동로마? 서로마? 이른바 실크로드는 요새 지나개나 다 건디는 분야라, 뭐 지도 하나 그려놓고서는, 또 거기다가 요상한 도자기 혹은 이른바 로만글라스 떡칠해 놓고서는 그게 실크로드학이라 개사기 치니는 일이 학계서 횡행하거니와 이게 좀 구미가 당기는 이유는 간단해서 잘 먹히기 때문이다. 한국연구재단 같은 데서 돈 타내기 딱 좋은 주제라, 거기다 뭐 문화재청 이런 데 가서도 돈 타내기 딱 좋다. 삼국시대 실크로드학입네 뭐네 하는 걸로 개사기 치는 어떤 젊은 친구 붙잡고 잠깐 이야기했다. "너가 말하는 실크로드학은 출발이 로마라 하는데, 그 로마는 어디 로마냐? 지금의 로마냐?" "네 당연하지요." "그래? 그 로마는 서기 330년 콘스탄틴대제가 지금의 이스탄불, 콘스타니노플로 천도하면서 개털됐는데도 지금의 로마냐? 그 로마 제.. 2024. 3. 26.
영어로 시를 써서 원어민을 감동시키기 쉽겠는가? 영어를 수십 년을 해도 쉽지 않다. 그래서 훈민정음의 이 구절은 비단 "어리석은 백성"에게만 해당하는 구절은 아니다. 특히 미묘한 심리의 표현, 시어의 선택과 감정의 분출 등 잘 쓴 시에 반드시 필요한 자유로움은 한국인이 영어를 쓰는 한 쉽게 나오기 어렵다. 내가 지금부터 죽도록 머리 싸매서 영시를 흉내내 쓴다면 뭔가 문집 하나 엮을 정도는 쓸 수 있을지 모른다. 하지만 그 수준이라는 것은 사실 뻔하다. 조선시대 문인들의 시라는 것이 사실 이렇다. 개인의 능력과는 무관하게 시를 한자어로 쓰는 한 감정의 자유로운 표현은 불가능해진다. 수십년을 그 어렵디 어려운 공부를 한 조선의 선비들이 남긴 한시보다 우리로 치자면 언문이나 떼고 편지나 주고 받던 일본의 시인들이 남긴 와카에 가슴을 치는 구절이 .. 2024. 3. 26.
유럽지하철 개통 시기와 아시아 지하철 시대 유럽에서 지하철 개통 시기가 이렇댄다. 런던이 가장 빨라 이미 1863년에 개통했으니 이때 우리는 경복궁 중건한다 뻘짓할 때다. 그 담으로 파리일 듯하지만 1900년 개통이라, 그보다 빨리 한 데가 있다. 1896년 개통한 헝가리 부다페스트다. 글타면 우리는? 1974년 8월 15일 지하 서울역에서 지하 청량리역까지를 잇는 9.54㎞ 지하철 1호선이 개통한다. 유럽 전체로 볼 때 굉장히 이른 시기다. 그만큼 근대화가 늦은 한국이 그만큼 바빴다는 뜻이기도 하다. 일본은 1927년 아시아 최초의 지하철인 긴자선이 개통했다. 일본은 우리보다 더 급했음을 본다. 중국은 1969년 베이징 지하철 1호선을 시발로 삼으니 아시아 두 번째다. 2024. 3. 25.
아마존 여전사는 실존했을까? 뭐 그럴 듯해 보이기도 하고, 실제 아마존 여전사 혹은 그에 버금하는 여전사 이미지를 활용한 영상물이 넘쳐나는 시대다. 실상 원더우먼도 그 베리에이션 아닌가? 아제르바이잔Azerbaijan 나흐츠반Nakhchivan 이라는 데에 청동기시대 공동묘지가 있고 그것을 고고학도들이 발굴한 결과 여성들 무덤에서 면도날처럼 날카로운 화살촉 arrowheads 라든가 청동 단검 bronze dagger, 그리고 철퇴 mace 같은 것들이 수습된다고 한다. 물론 보석류도 빠지지 않지만 말이다. 이를 통해 4천년 전에는 아마존 여전사가 있을 수도 있겠구나 하는 전망을 고고학도들이 내놓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그들에 의하면 이들 여전사들은 남성이 없는 사회와 전장터에서 활과 화살 다루는 기술로 유명했다고 한다. 역사학도 베.. 2024. 3. 25.
지방관의 위수지역 이탈은 삭탈관직 태종실록 25권, 태종 13년, 영락永樂 11년(1413) 6월 5일 임자 첫번째 기사다. 금천군錦川君 박은朴訔·영양군永陽君 이응李膺으로 겸 판의용순금사사兼判義勇巡禁司事를, 한상경韓尙敬·유정현柳廷顯으로 참찬의정부사參贊議政府事를 조연趙涓으로 공조 판서를, 박자청朴子靑으로 지의정부사知議政府事를, 하구河久로 우군 도총제를, 안성安省으로 강원도 도관찰사江原道都觀察使를 삼았다. 예서 문제가 강원도관찰사였다. 그 전임이 탄핵을 받아 삭탈되었기 때문이다. 강원도도관찰사 우홍강禹洪康·충청도 도관찰사 이안우李安愚·충주 목사忠州牧師 권진權軫·원주 목사原州牧使 권완權緩 등이 충청도 제주提州(제천)에 모여서 술을 마셨는데, 일이 발각되자 헌사憲司에서 탄핵하여 아뢰었다. 임금이 우홍강이 타도他道에 넘어 들어갔다고 하여, 특명으.. 2024. 3. 25.
[무령왕릉이 봉착한 최대 난제 둘] (2) 펀더멘털로부터의 이탈 혹자는 이런 반론을 가할지도 모르겠다. 저 무령왕 시대에 백제가 그렇게 예제禮制를 철저하게 관철하려 했을까? 그러니 이런저런 절차 생략하고 했을 것이니, 남녀 위치가 바뀐 것도, 머리를 남쪽으로 둔 것도 하등 이상할 점은 없다고 말이다. 하지만 무령왕릉은 우리한테 주어진 자료에 의하는 한, 예제가 규정한 그대로 실현하려 했다. 3년상만 해도 그것이 공자에서 비롯하지만 그건 책에서나 있는 이야기일 뿐이요, 실제는 이일역월제以日易月制니 해서 각종 편법이 판을 쳤으니, 이는 무엇보다 책 혹은 이상이 규정하는 절차일 뿐이요 그것을 현실 세계에서 그대로 관철하기에는 적지 않은 애로가 따랐기 때문이다. 하지만 무령왕릉은 희한하게도 곧이곧대로 이 예제를 그대로 실현하려 했다. 당시 동아시아 어디에서도 실현하려 하지 .. 2024. 3.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