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49

ai로 복원하는 연희전문 교장 윤치호 이 사진은 연희전문 교장 시절 윤치호라 해서 소개되곤 하는데 아마 원본 필름은 상실했을 것으로 보며 그걸 직접 현상한 것도 없는 걸로 알거니와 연대박물관에도 저 비슷한 사진을 걸어놓은 것으로 기억하니 짜증 나서 참을 수가 없어 ai 도움을 빌리니 이렇다. 왜곡 논란이 없지는 않겠지만 관상술을 하는 것도 아니니 사용에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며 다만 원본 자체가 워낙 흔들렸으니 그런 까닭에 이를 본래였을 흑백으로 전환하니 아래라 조금 후가공이 있음 더 좋겠지만 저 거지 같은 사진에서 이런 모습을 추출한다. 우리가 혁명의 시대를 살고 있음은 틀림없다. 2024. 2. 16.
춘원 눈빛이 살아있네 감옥에 간 춘원 이광수 에모리 유학시절의 윤치호와 늙어 수염 덮수룩한 윤치호 할배 월남 이상재 감옥에서 웃는 우남 이승만 거지 같은 저화질시대 ai 도움 받아 청산한다. 2024. 2. 16.
구글어스를 변형한 평양 안학궁 구글어스로 탐방한 평양 안학궁 터를 앞서 보았거니와, 이건 같은 구글어스 지도에 일부러 강렬한 포토샵 기능을 주어 왜곡이라 할 정도로 처리해 봤다. 이게 장점이 있는데, 윤곽을 뚜렷이 더 분명히 보여주기 때문이다. 발굴조사 결과 드러난 성과를 토대로 초석들을 노출하고, 그 초석 자리에 현대 돌들을 깔아놨을 텐데, 그 건물배치는 이 이상 나올 것도 없다. 구글 이용하면 수치 측량도 가능한 시대다. *** previous article *** 구글어스로 탐구한 고구려 안학궁구글어스로 평양을 탐방한다. 툭하면 하는 북한 여행인데 묘미가 있다. 이 구글어스도 유료인가 전환하면 더 좋은 환경을 제공하는 것으로 안다. 요새 계속 이 대성산 남쪽 기슭 안학궁을 탐방historylibrary.net 2024. 2. 16.
왕검성王險城과 王公设险以守其国 최근 고조선 왕검성(왕험성) 어원에 관련하여 중국 쪽에서는 이런 주장도 나온다. 王险城,是古朝鲜的都城,“王险”之名出自《易经》“王公设险以守其国”。 公元前108年,卫满朝鲜脱中华以自立受到西汉的征讨,王险城陷落,古朝鲜灭亡。 왕검성王险城은 고조선古朝鲜 도성都城으로 “왕험王险”이라는 말은 《易经》의 구절 곧, “왕공王公은 험난함을 쌓아 그 도읍을 지킨다”에서 왔다. 기원전 108년, 위만조선卫满朝鲜이 탈 중화해서 자립하여 서한西汉의 정토征讨에 이르러 왕험성이 함락됨으로써 고조선은 멸망했다. 왕검성은 다름 아닌 역경 이 구절을 따서 지었다는 이야기다. 왕검성에 대해서는 고조선의 군주의 명칭이 왕검이었다는 주장이 있고, 또 한국말 임금의 음사라는 주장도 있어 기왕의 통설과 부딛히는 이야기지만 흥미로운 부분이 있어 여기 .. 2024. 2. 16.
관찰은 자연과학의 기법만은 아니다 근대과학의 특징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관찰에 입각한 경험론 만큼 위대한 로직은 없다. 현상에 대한 주의깊은 관찰 편견을 배제한 경험에 입각한 입론이야 말로 현대과학의 기초이다. 한국의 지적 풍토는 최소한 조선후기 이후에는 이러한 관찰에 입각한 지적 사유의 전통이 거의 없다. 우리는 흔히 주자학의 묵수를 이야기 하지만 이 주자학의 묵수라는 것이 결국 전술한 보고들에 대한 맹종이라는 점에서 현재 한국학계가 앓고 있는 중병과 사실 별로 다를 바가 없다. 이런 면에서 이 블로그 김단장께서 주장하는 바, 기보고를 무시하고 1차 사료와 현상을 직시해야 한다는 말은 상당히 주의해야 할 부분이 있다. 필자가 아는 한 우리나라 사상계는 해외 사유에 대한 맹종, 입으로는 자주를 주장하지만 박래품 이데올로기에 대한 추종의.. 2024. 2. 16.
구글어스로 탐구한 고구려 안학궁 구글어스로 평양을 탐방한다. 툭하면 하는 북한 여행인데 묘미가 있다. 이 구글어스도 유료인가 전환하면 더 좋은 환경을 제공하는 것으로 안다. 요새 계속 이 대성산 남쪽 기슭 안학궁을 탐방한다. 2024. 2.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