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48

합천군 야로현冶爐縣 신증동국여지승람 제30권 경상도慶尙道 합천군陜川郡【건치연혁】을 보면 이곳은 본래 신라 대량주大良州라 했다가 경덕왕 때 강양군江陽郡이라 고쳤다고 한다. 그러다가 고려 현종이 대량원군大良院君에서 왕이 되고 황비 효숙왕후孝肅王后가 태어난 곳이라 해서 지합주사知陜州事로 승격했다고 한다. 그러다가 조선 태종 때에 합천이라는 하고는 군으로 만들었다고 하니 이것이 지금에 이른다. 그【속현】으로는 우선 야로현冶爐縣이 군 북쪽 30리에 있다 했으니 신라 때는 적화현赤火縣이라 했다가 경덕왕이 야로현으로 고쳤다고 한다. 야로冶爐나 적화赤火 모두 결국은 표기로 보건대 쇠물을 부어 철기를 만드는 일을 말하거니와, 이곳이 실로 오래도록 포스코나 광양제철 같은 공장이 있었음에 틀림없다. 나아가 고적 조에 의하면 좌이부곡坐伊部曲ㆍ말.. 2024. 2. 14.
제주에서 운양 김윤식을 생각하다 1. 터에도 인연이라는 것이 있는 모양입니다. 제주 시내-여기서는 옛날 제주의 중심이랄 수 있는 구제주-를 어슬렁거리다가 만난 곳, '제주시 소통협력센터'란 이름이 붙은 여기가 조선 말 한문학 대가이자 온건개화파 거두 운양 김윤식(1835-1922)이 유배와 살던 곳이더군요. 동도서기東道西器 곧 동양의 정신과 서양의 기술을 소통, 협력시켜보자는 주장을 펼친 운양이 살던 곳에 소통협력센터가 들어서다니 인연도 이런 인연이 있을까요(억지스럽다고 하면 그것도 할 말은 없습니다만). 2. 김윤식은 을미사변 당시 외무아문대신으로 명성황후 폐위에 일조했다는 죄를 입어 1898년부터 1901년까지, 제주에 약 3년간 유배와 있었습니다. 여기 올 때 인천에서 화륜선을 타고 왔다니 그것부터 근대 느낌 물씬 나는데, 그가 .. 2024. 2. 13.
북미 고병리학회 심포지움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오는 3월 18~20일 열리는 제51차 북미 고병리학회에서 인류사와 동물사의 융합을 꾀하는 시각에 대해 심포지움이 개최됩니다. 경희대의 홍종하 교수와 제가 한 꼭지 같이 발표합니다. 심포지움 제목은 "21세기의 고병리 (21st Century Paleopathology)입니다. 심포지움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혼용한 hybrid meeting입니다. 이 학회는 미국 인류학회 위성학회 중 하나로 인류학회 회원들이 따로 만들어 조직한 모임으로 인류학회 할 때 같은 장소 같은 시기에 개최합니다. 대회 소개는 아래 참조 https://paleopathology-association.wildapricot.org/page-18191 Paleopathology Association - Meetin.. 2024. 2. 13.
기원전 1370년 어느 여름날 죽은 덴마크 소녀 엑트베드 소녀 Egtved girl 소녀로 알려진 유럽 청동기시대 소녀 무덤(왼쪽) 발굴 당시 모습과 그 출토 양상을 토대로 재현한 이 소녀 매장 당시 패션이다. 저에서 수습한 상수리 oak 목관 나이테 연대측정 결과 덴마크에서 발견된 이 무덤은 기원전 1730년 어느 여름날 만든 것으로 드러났다. 이늣 저 소녀가 죽어 묻힌 시점이다. 소녀는 목관 안에 안치됐다. 발굴 당시 머리카락과 두개골 이빨 손톱 일부가 남았고 피부 일부도 확인됐다. 이삘 분석 결과 죽을 당시 나이는 16~18세. 키 160센티미터에 몸매는 마른 편이고 단발 에 금발이었고 손톱은 잘 관리했다. 짧은 튜닉에 무릎까지 오는 코르덴지 치마를 걸쳤다. 배 쪽에는 청동제 나선 문양을 정교하게 새긴 벨트 프례이트 belt plate 가 발견됐.. 2024. 2. 13.
AI로 증폭한 안중근 인터넷에 떠돌아 다니는 사진들이 고화질일 리는 없다. 해상도 구리기 짝이 없어 50kb도 안 되는 것들이다. AI 증폭 기술로 이들을 얹어봤다. 왜곡도 적은 듯해 그대로 인쇄용으로 사용해도 무방할 듯 하다. 이전에 나는 사진은 고화질로 찍어야 한다 하면서 고화질은 줄일 순 있지만 저화질은 늘릴 순 없다 했지만 그 말은 철회한다. 2024. 2. 13.
안서도 둔전을 현화사에 시주했다는 기사 고려사절요 권3 현종원문대왕顯宗元文大王을 읽어가다 보면 그 11년, 1020년 8월에 왕이 안서도安西道 둔전 1,240결을 현화사玄化寺에 시주하니 양성兩省에서 두 세 차례나 논박했지만 왕이 받아들이지 않았다[八月. 以安西道屯田一千二百四十結施納于玄化寺. 兩省再三論駁, 不納.] 고 하거니와 이 말이 무슨 뜻일까? 난 이것이 무슨 뜻일가 몹시도 궁금하다. 혹 이에 관한 선행 연구가 있기는 할 법한데 찾아보지는 않았다. 안서도라면 고려사 지리地理3에 보이는 안서대도호부安西大都護府를 말할 것이어니와 그 수도는 해주海州라, 이는 지금도 도시 이름으로 남았거으니, 이에 의하면 이곳은 태조 왕건이 군郡 남쪽에 큰 바다가 있어 해주海州라는 이름을 내리고 성종 2년(983)에 12목牧을 설치할 때는 해주에도 그 하나가 설.. 2024. 2.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