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43

동북공정 고구려 호들갑을 비판한 그때 그 시절 "동북공정, 차분하고 심층적으로 보도해야" 조현호 기자, chh@mediatoday.co.kr입력 2006. 9. 7. 17:45수정 2006. 9. 7. 17:45 연합뉴스 기자 "새삼스런 내용 없는데 호들갑"…조선일보 김정배 전 이사장 인터뷰 논란 [미디어오늘 조현호 기자] 중국 동북공정의 고구려와 발해사 왜곡과 관련해 언론 보도가 감정적으로 접근하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 중국 사회과학원 중국변강사지 연구중심(변강연구센터)을 중심으로 추진하는 동북공정 작업은 지난 2002년 5월부터 시작돼 내년 2월 완료될 예정이다. 연구센터는 지난해 9월부터 △고구려사가 고대 중국 변방의 소수민족의 역사이며 △발해는 당나라의 지방정권이고 △기자조선이 위만조선과 한4군-고구려-발해로 이어지는 역할을.. 2023. 12. 9.
새로 발견된 안중근 유묵 안중근 유묵이 경매에 출품되었다는 소식이 들린 까닭에 오늘 하루종일 여기저기서 연락이 왔다. 요는 진위와 가격이 적당한지 묻는 것들이었는데 내게는 그보다 기존에 알려지지 않았던 내용의 작품이 등장했다는 것이 더욱 중요했다. 사실 이 작품이 레이더에 포착된 것은 두달 전. 교토의 고미술상에 새로운 유묵이 등장했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출처는 말할 단계는 아니지만 작품이 한 점이 아니라는 것과 새로운 내용을 담은 작품들이라는 것에 놀랐다. 원 소장자가 계속 가지고 있었더라면 당장 날아가 사연을 캐묻고 기증이나 환수 협상을 벌였을 터이지만 이미 그 단계를 지나 고미술상으로 매도된 뒤였다. 당연히 이제는 수익을 바라는 사람과 금전 협상 밖에는 선택지가 남지 않았다. 공공기관 유물구입 예산이야 뻔한 것이고 더구나 .. 2023. 12. 9.
풍납토성 지켜낸 연합뉴스 김태식기자 (미디어오늘 2000. 05. 25) https://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524 풍납토성 지켜낸 연합뉴스 김태식기자 - 미디어오늘“꽃삽이 불도저를 이겼다는 평가를 받고 싶다”문화재 보존이라는 화두가 개발의 효용보다 의미있는 일이라고 강조하는 연합뉴스 김태식기자의 말이다. 그는 풍납토성을 무려 1년이 넘도록 www.mediatoday.co.kr 풍납토성 지켜낸 연합뉴스 김태식기자 조현호 기자 입력 2000.05.25 00:00 꽃삽이 불도저 이겼다,´토성´기사만 100여건 부분이나마 문화재 보존지역지정 ‘성공’ “꽃삽이 불도저를 이겼다는 평가를 받고 싶다” 문화재 보존이라는 화두가 개발의 효용보다 의미있는 일이라고 강조하는 연합뉴스 김태식기자의 말이다. 그는 풍납토성을 무려.. 2023. 12. 9.
서울공예박물관이 준비하는 기획특별전 만년사물 서울공예박물관이 특별기획전으로 만년사물을 준비 중인 모양이다. 그 오야붕 수정이가 알리기를 작품은 이미 다 설치되었고 조명 에이밍과 그래픽 작업만 남아 있습니다. 올해 12월 19일 화요일부터 내년 3월 10일까지 전시1동 3층 기획전시실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고 하는데, 하도 그 목소리 애절해서 한두번 가 주어야겠다는 생각이 뇌리를 스치운다. 이 맘 수정이는 알아줄까? 그건 그렇고 아래 전시포스터 지긴다. 고려아연에서 땡겼나 보다. 2023. 12. 9.
이경주 작가 갤러리·김충배 연구소 개소식에서 2023년 12월 8일 금요일 저녁 종암동에서 꼭두작가 이경주 선생의 작업실과 강요 백수 김충배 전 국립고궁박물관 전시홍보과장의 온옥역사자원연구소 개소식이 있었다. 두 분은 사무실을 같이 쓰지만 나름 공간 분할이 있다. 각기 새로운 사무실을 마련했으니 가까운 지인들을 초대한 조촐한 개소식을 치렀다. 문제는 산더미 같은 음식과 각종 술. 나야 넌알코홀릭이라 술은 제끼고 이것저것 정신없이 줏어먹었으니 빠진 5키로 중 2키로 정도는 찌우겠다는 목표가 있다. 급속도로 줄어든 몸은 여러 모로 불편하다. 그래서 좀 찌우려한다. 그냥 갈 순 없어 필요한 걸 물었더니 없다 해서 할 수 없이 봉투를 준비했다. 축 발전이라 쓰는데 뿔싸 한자를 모르겠더라. 같은 발전이 다른 발전이 되고 말았다. 뜻만 좋으면 되지 않겠는가?.. 2023. 12. 9.
한국사에서 당위성을 제거하기 우리가 역사를 이데올로기로 볼 것인가 아니면 팩트로 볼 것인가는 우리가 선택하기에 달려 있다. 필자가 개인적으로 보건데, 한국사와 일본사를 비교하면 한국사가 일본사보다 "이렇게 되어야 한다"던가, "이게 옳다던가" 하는 당위성이 팩트를 굴절시키는 정도가 훨씬 강하다. 당위성의 중력은 한국사의 모든 영역에 미치고 있어서 정확한 역사적 사실의 파악에 장애가 되고 있을 정도이다. 이것을 민족주의라고 불러도 좋고, 또 PC라고 불러도 좋은데, 뭐라고 부르던간에 한국사 전반이 바로 이러한 이데올로기의 중력장에 놓여 있어 팩트가 왜곡되어 있다는 것은 심각한 문제이다. 일본사? 엄청나게 왜곡되어 있을 것 같지만, 또 일정 정도 이쪽도 사실일지 모르겠지만, 그 왜곡의 정도는 우리보다 덜하다. 우리가 훨씬 심하고, 이 .. 2023. 12.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