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37 1946년 10월 9일, 미국에 부친 빈 봉투 해방되고 1년 하고도 한 달 조금 더 지난 1946년 10월 9일은 한글날이었다. 그것도 그냥 한글날이 아니라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창제해서 반포한 지 500주년이 되는 한글날이었다. 당시 미군정 편수국장으로 한국 어문정책을 주도했던 이가 "한글이 목숨"이란 말을 남긴 외솔 최현배(1894-1970)였다. 그러니 이런 날을 그냥 지나칠 수 있었을까. 이에 미군정 당국은 기념우표를 발행하고 그에 걸맞는 소인을 만들었다. 한글자모 스물넉자와 별을 쓴 종이가 펼쳐진 도안이었다. 꽤 많은 양을 발행했던지 이 우표는 그리 비싸진 않다. 미사용 전지도 돌아다니고, 소인 찍힌 것도 만원 내외면 살 수 있는 모양이다. 나도 그렇지만 이 봉투지는 퍽 재미있는 사연을 품고 있어 일부러 구해보았다. 왼쪽 아래 필기체 영어를.. 2023. 9. 14. 활옷만개 국립고궁박물관 전시장에 친구를 응원한다 듣자니 오늘 오전에 프레스 프리뷰가 있었댄다. 기자님들 사라진 전시실은 일반 개막이 이틀 뒤라 고즈넉해서 혼자 한참이나 있었다. 국립고궁박물관 이번 특별전 활옷만개가 나로선 의미심장할 수밖에 없는 까닭은 짐작하듯이 이것이 내 친구 김충배 전시홍보과장의 피날레가 되는 까닭이다. 3년전 외부공모 형태로 평생직장이라 생각했을 LH를 떠나 이곳에 정착한 그는 참말로 많은 일을 했으니 무엇보다 그 이전 정적 일변도라 할 만한 이 박물관을 동적으로 만들었다는 데 있다. 계약 연장이 되지 않은 점이 아쉽기 짝이 없으나 다른 자리에 가서도 이에 못지 않을 신선한 바람을 불어넣을 것을 알기에 위로와 감사를 표할 뿐이다. 이미 떠나는 것이 확정된 마당에 이번 전시에 그가 얼마나 적극으로 관여했을지 모르겠으나 전반으로 보아.. 2023. 9. 13. 내가 인터뷰 하고 싶은 두 부류의 사람들 1. 설악산 세계유산 등재 반대한다고 실사단 방문에 맞서 결사 반대 데모를 하고, 파리 유네스코 본부까지 쳐들어가 세계유산 등재는 안된다고 머리띠를 두른 사람들 2. 경주가 방폐장을 유치해야 하며, 이를 통해 정부의 3천억원 지원을 받아내야 한다고 삭발투쟁을 결행한 사람들 이 두 부류의 운동에 투신 헌신한 사람들은 살아있다면 인터뷰 해 보고 싶다. (2016. 9. 13) 2023. 9. 13. 2016. 9. 12. 경주지진의 편린들 그 이튿날 오세윤 작가가 담은 장면들이다. 2023. 9. 13. 경주지진과 최몽룡 사태, 뒤늦게 빛을 보는 기사 순전히 내 경우로 한정한다. 1. 경주 지진 석가탑 중수기 존재 자체를 이 지구상에 처음으로 폭로한 주인공인 나는 2007년 8월7일 오전 11시 03분에 ''라는 기사를 송고했다. 이 기사가 당시에는 반향이 거의 없었지만, 9년이 지난 지금 느닷없이 경주 지진 여파로 온갖 데서 다랑어 상어에 찢겨가듯 곳곳에서 인용되어 온 대한민국을 헤집고 다닌다. 기사에는 참고문헌이 없기에 아무도 그 출처가 김태식인 줄을 모른다. 이 기사는 심지어 나를 해고한 전직 직장에서도 마구잡이로 써먹더니, 오늘은 무슨 카드 뉴스를 만들었더라...음....내가 일 안했다메???? 2. 최몽룡 사태 이건 참 안된 이야기지만 서울대 최몽룡 명예교수가 연전에 국정교과서 사태로 안 좋은 일로 구설에 단단히 오른 일이 있다. 그의 유명세.. 2023. 9. 13. 한국문명이 세계사에 하고자 하는 이야기는 무엇인가? 한국문명의 본질에 대한 사유의 깊이가 아직 부족하다. 한국사. 첫장부터 마지막장까지 외세의 침입과 극복이다. 한국문명이 세계사에 하고자 하는 이야기가 무엇인가? 오천년을 망하지 않고 살아왔다면 뭔가 하고자 하는 이야기가 있지 않을까? 생존본능이 주제인가? 도대체 한국사가 세계에 하고자 하는 이야기가 무엇일까? 2023. 9. 13. 이전 1 ··· 1602 1603 1604 1605 1606 1607 1608 ··· 365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