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27

국립박물관은 발굴보고서 내라는 경주사적관리소의 1973년 11월 30일자 독촉 공문 옛날 대학발굴에는 조사보고서 발간 비용이 따로 책정되지 아니했다는 헛소리가 하도 횡행하여 1973년 경주사적관리사무소가 국립중앙박물관으로 발송한 공문을 첨부한다. 보고서를 왜 제출하지 않느냐는 독촉이다. 보고서 비용 책정도 하지 않고 원고를 독촉하겠는가? 70년대 발굴에 보고서 비용을 책정 안해? 어떤 놈이 그딴 소릴 해? 지금 문화재청이 하는 대학박물관 미보고서 간행 유물 정리 이중지급이다. 헛소리 더 하면 구상권 청구하려 한다. 참고로 노무현 정부때 70년대 발굴관련 문건들을 왕창 공개했다. 내가 그걸 갖고 있다. 거기엔 노무자 임금 지급 내역까지 있다. (2020. 8. 26) *** 이 문제 그만큼 심각하지만 그 정도로 넘기자는 생각이었다. 하지만 사실을 왜곡하며 저딴 소리를 지껄이는 놈이 있어 .. 2023. 8. 26.
경탄하는 환경파괴, 대청댐의 경우 녹조건 지랄이건 뭐건 이 역설 이젠 받아들여야 한다. 개발을 무슨 죄악처럼 받아들이는 일, 나는 받아들일 수 없다. 이 경관에 경탄하는 사람도 많다는 점 잊지말아야 한다. 문화재는 요새 환경운동론 관점에서 보면 모조리 파괴의 역사다. 나는 언젠가부터 소양댐을 근대문화재로 등록해야 한다고 말했다. *** 2016. 8. 26 대청댐 대청호를 바라보며 적은 글이다. 경관은 주어진 것이 아니라 만든다. 자연은 내삐리두어서는 안 되며 제어해야 한다. 이 두 줄기는 지금도 신념에 변화가 없다. 2023. 8. 26.
어쩌다 들른 청주 탑동 양관 청주 탑동 양관 양관洋館이란 양놈식 건물이란 뜻이다. 한갠줄 알았디만 한놈 두시기 석섬 너구리 쌔빌랐다. 멋모르고 사진 찍으러 들어갔더니 예수학교 여학교라 바바리맨으로 보는 듯해서 찜찜하다. (2016. 8. 26) *** 아마 저때 청주문화재야행 실사 관계로 일찍 내려가 돌아본 듯하다. 저 양관을 문화재청이 제공하는 청주시 안내는 아래와 같다.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청주 탑동 양관 (淸州 塔洞 洋館)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개신교 / 부속건물 수량 / 면적 6동 지정(등록)일 1983.03.30 소 재 지 충북 청주시 상당구 탑동로32번길 17-6 (탑동) 소유자(소유단체) 일신학원, 김규만, 재단법인대한예수교장로회충북노회유지재단 관리자(관리단체) 일신학원, 김규만, 재단법인대한예수교장로회충북노회유지.. 2023. 8. 26.
수정하지 못한 오류 확실히 돈 받고 저작권 일체를 양도한 책은 애정이 상대적으로 적다. 못 먹어도 고. 흥하건 망하건, 내가 쓴 책은 내가 먹는다. 이것이 내 철칙이었지만, 풍찬노숙하다가 그만 목돈의 유혹에 빠져 덜커덩 저작권 일체를 넘기는 조건으로 이 책을 썼다. 이 책은 아직 확인은 못했지만 부여군에서 원문 서비스를 한다 했으므로, 그래도 내 이름을 저자로 달고 나간 이상, 그에 대한 끝까지의 책임은 나한테도 있기 마련이다. 오프라인 책이야 이제 어찌할 수 없지만, 웹 서비스는 바로잡을 여지가 있으므로, 오류라든가 오타 등등은 발견하는 대로, 그를 통해 바로잡을 의무가 아직 나한테는 있다고 나는 본다. 하지만 그 열정이 못 먹어도 고인 다른 내 책과는 다를 수밖에 없다. 틈나는 대로 그런 오류 분식들을 바로잡고자 했지만.. 2023. 8. 26.
어떤 날 어떤 때[2] 자료를 찾아봐야겠으나 아마 2009년이 아닌가 한다. 당시 동대문운동장을 뜯고서 지금의 DDP를 만들기 위한 기초공사를 앞두고 있었거니와, 그 일환으로 중원문화재연구소인가가 동대문운동장을 발굴을 했더랬다. 그 자리서 이간수문이 나왔다. *** 2018년 8월 26일 저리 적었다. 당시 문화일보 기자 최영창(현 한국문화재재단 이사장}, 현재도 조선일보 기자 유석재랑 함께 2023. 8. 26.
어떤 날 어떤 때 그러고 보니 지금 현직에는 나캉 민병찬 딱 둘만 남았다.뒤에 가린 사람은 유병하 현 경주박물관장.***2018년 8월 26일 저렇게 적었지만 그새 또 변동이 있어나만 남았다. ***이젠 현역 그 자리에는 아무도 안 남았다. 오직 동아 이광표만이 대학으로 옮겨 현역 생활을 이어갈 뿐이다.(2024. 8. 26) 2023. 8.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