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883 존재론과 인식론, 그리고 성리학 중국 사상투쟁사에서 특이한 점은 불교가 도입한 이래, 그 쟁투는 시종 도불 투쟁이었다는 사실이다. 더 특이한 점은 이미 불교 도입과 더불어 중국 주류 사상사를 道·佛·儒의 세 흐름으로 당시 이데올로그들이 간취하고 있었다는 사실인데, 문제는 이 사상 투쟁에서 언제나 유교는 방관자였다. 왜인가? 유교에는 존재론과 인식론이 없었기 때문이었다. 존재론과 인식론이 없으니, 그것으로 둘이 싸운 판국에 유교가 끼어들 틈바구니는 없었다. 이 결함을 예리하게 인식하면서, 우리도 인식론과 존재론을 구축하자 해서 들고 일어난 흐름이 바로 당말에 겨우 한유와 이고가 발판을 마련하고 송대에 들어와 활개를 치게 되는 성리학이었다. 당말 혹은 송대 이전 유학에서 心을 논한 글 없다. 있어도 애들 장난 수준이다. 그러다가 갑자기 이.. 2023. 1. 17. 일본의 성리학 도입과 발전: 조선의 유학자와 관련하여 (1) 일본 쪽 주장을 보면 일본의 주자학 도입은 가마쿠라 시대부터라는 이야기를 한다. 그 시대에 이미 중국쪽에서 들어왔다는 것이다. 이런주장을 하는 사람들은 주자학이 무엇인지 잘 모르는 사람들이다. 주자학은 주자의 글을 좀 얻어보았다고 시작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주자의 글은 어떻게 보면 간단히 얻어볼 수 있다. 왜냐하면 원대 이후 사서에는 주자의 주가 붙어 있어 그 것만 봐도 주자학에의 입문은 가능하기 때문이다. 일본에서도 사찰 등지에서 논어 맹자는 읽었기 때문에 당연히 따라 붙어 있는 주자 주를 접할 수 밖에 없다. 하지만 이 주자의 주를 읽는다고 해서 성리학에의 입문은 쉽지 않다. 주자학이란 그런 것이다. 만약 일본에서 하고자 하는 주장이 주자 주가 붙어 있는 사서가 언제 도입되었냐를 말하는 것이라면 .. 2023. 1. 16. [유성환의 AllaboutEgypt] CT 스캔이 밝혀낸 아멘호텝 1세의 비밀 1881년 오늘날의 룩소르(Luxor) 시에 해당하는 테베(Thebes) 서안 데이르 엘-바흐리 공동묘역에서 훗날 ‘왕실 미라 은닉처’(Royal Cache)로 더 유명해질 귀족 분묘(TT 320) 하나가 발견되었습니다. 놀라운 것은 이 귀족 분묘에서 신왕국 시대(기원전 1550-1069년) 왕족 미라 50구가 한꺼번에 발견되었다는 사실입니다. 이들 미라는 제3 중간기에 해당하는 제21 왕조(기원전 1069-945년) 시대 신관들이 갈수록 심각해지는 도굴꾼 약탈을 피해 이들의 원래 매장지에서 이곳으로 옮겨둔 것입니다. 이런 사실을 통해 당시 도굴 폐해가 얼마나 심각했는지 미루어 짐작할 수 있습니다. 졸지에 제18 왕조 시대에 카르낙 대신전에서 아문의 대신관으로 활약한 피네젬 2세(Pinedjem II)와.. 2023. 1. 16. 18세기 문예부흥이라는 착시 17세기 말부터 18세기 말까지는 숙종-영조-정조로 이어지는 세기다. 이 시대를 지배한 세 왕은 어쨌건 한국사에서 명군으로 불리는 분들이다. 조선이 나름의 중흥을 이루어 인문의 부활을 가져왔다는 시기이다. 하지만 흥미로운 부분은 이 시기야말로 일본과의 격차가 크게 벌어지기 시작한 때라는 점 역시 주목해야 한다. 이 시기 동아시아를 요약하자면 조선이 나름의 중흥으로 발전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주변 국가의 발전은 더 빠른-. 그래서 19세기가 개막되면 이미 조선은 앞서 언급한 것처럼 물질적인 면이나 인문적인 면 모두에서 동아시아 2류 국가로 전락해 있었다. 특히 18세기가 중요하다. 영정조 시대를 화려한 문예부흥의 시대로 보는 분도 있지만, 사실 이 시기야말로 일본의 인문적 수준이 한반도를 최초로 압도하기 시.. 2023. 1. 16. 석도石濤 왕원기王原祁 합작 난죽합작도蘭竹合作圖 청나라 석도石濤(1642~1708) 와 왕원기王原祁(1642~1715)가 함께 그린 《난죽합작도蘭竹合作圖》 2023. 1. 16. 징을 울리며 월식을 퇴치하려 한 사람들 강서의 별관에서 월식을 보다〔江西別館見月蝕〕 성현成俔(1439~1504), 《허백당집虛白堂集》 제13권 시詩 동네마다 징을 치며 하늘을 쳐다보니 / 萬落鳴鐃競仰觀 동쪽 하늘 먹물처럼 검은 기운 번져 가네 / 東方如墨漸漫漫 너무도 끔찍하게 두꺼비가 달을 먹어 / 蝦蟇食桂心何慘 중천에 달이 떠도 찌그러진 형태더니 / 輪魄當空體未安 이윽고 맑은 빛이 우주를 다시 밝혀 / 俄復淸光明宇宙 찬 그림자 문득 펴져 난간을 비추누나 / 忽舒寒影照欄干 밤늦도록 옥천자는 잠 이루지 못하고 / 中宵不寐玉川子 슬퍼하며 시 짓느라 심혈을 기울이네 / 怊悵賦詩雕肺肝 [주-D001] 두꺼비가 달을 먹어 : 월식(月蝕)을 말한다. 《사기(史記)》 권128 〈귀책열전(龜策列傳)〉에 “태양은 덕(德)이 되어 천하에 군림하지만 삼족오(三足.. 2023. 1. 16. 이전 1 ··· 1933 1934 1935 1936 1937 1938 1939 ··· 364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