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883 돌담병원 낭만닥터 김사부는 드라마에서나 가능할 뿐 "의사 연봉 3억6천 준대도 전화 한통 없어"…산청의료원 한숨 송고시간2023-01-17 11:53 요약beta 공유 댓글7 글자크기조정 인쇄 "연봉 적고 생활 여건 등 문제 인듯…주민 진료공백 막으려 채용 전력" https://www.yna.co.kr/view/AKR20230117074800052?section=economy/all&site=hot_news_view "의사 연봉 3억6천 준대도 전화 한통 없어"…산청의료원 한숨 | 연합뉴스 (산청=연합뉴스) 지성호 기자 = 경남 산청군이 지난해부터 세 차례에 걸쳐 내과 전문의 채용에 나섰으나 단 한 명도 지원하지 않고 있다. www.yna.co.kr 경남 산청군...조선시대라 해서 별반 다를 바는 없어, 남명 조식 선생 족적이 남은 데라 해서 이름이 있.. 2023. 1. 17. 연구직공무원 임용시험 응시자격(전공)은 어떻게 될까? 연구직 공무원의 직군은 크게 ‘학예’와 ‘기술’로 나뉜다. 학예직군의 직렬은 다시 4개의 직렬로 나뉘는데 ‘학예연구’, ‘편사연구’, ‘기록연구’, ‘심리연구’로 나뉘며, ‘학예연구’ 직렬은 다시 ‘학예일반’, ‘미술’, ‘국악’, ‘국어’의 4개 직류로 나뉜다. 지자체 학예연구사는 여기서 ‘학예일반’ 직류의 학예연구사에 해당한다. 학예연구사와 큐레이터 - 학예연구사와 큐레이터 ‘학예연구사’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것? 아마 ‘박물관’ 또는 ‘미술관’일 거다. 근데 지자체 학예연구사가 직업인 나는 박물관에서 근무한 적이 없다. 내가 주로 하는 업무는 문화재 발 historylibrary.net 그리고 특수한 분야(예를 들면 수중발굴 등) 일부를 제외하고, 학예일반 직류의 학예연구사 채용 공고를 기준으로 .. 2023. 1. 17. 2023년도 경기도지방공무원 임용시험 일정 사전 안내 매년 학예연구직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고 있는 예비 학예연구사분들은 연초에 올라오는 시험공고를 초조하게 기다리게 됩니다. 2022년 12월에 이미 2023년도 경기도지방공무원 임용시함 일정이 미리 공지되었는데, 연구직은 경채 시험에 해당되며, 학예연구(학예일반) 분야는 작년 기준으로 볼 때 2회 경채시험 일정을 참고하면 될 것 같습니다. 정확한 임용 지역과 인원은 2월 공고를 기다려야 하지만, 시험을 준비하는 분들은 대략 아래 일정을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럼 올 해 시험 준비하는 모든 분들께 행운이 함께하길 기원합니다!!😊🙂 https://www.gg.go.kr/bbs/boardView.do?bIdx=63873520&bsIdx=585&menuId=2423 시험공고(공개경쟁임용) | 시험공고 | 공.. 2023. 1. 17. 장갑, 숭배와 실용을 가르는 DMZ 얼마 전 미국 경매시장에서 문화재 보호에 뜻 있는 민간인들이 갹출해 구입하고는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했다 해서, 이런 좋은 일 있다 해서 박물관에서 기자님들 모셔다 놓고는 대대로 홍보한 자리에 선보인 16세기 조선전기 나전함이다. 나전함이라 해서 대단한 듯 선전하지만, 요새야 저기다가 한과 같은 거 담기도 하고, 그것이 아니라 해도 쓰임이 꼭 한두 분야로 한정하지는 아니해서 이런저런 용도로 쓴다. 열받아 뚜껑 열렸는데 속내 보니 저렇다. 자주색 천을 댔는데, 저게 본래의 직물인지 후대에 덧보탰는지 자신은 없지만, 아마도 후자 아닌가 싶다. 칠 상태는 어떤 지 모르겠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박락이 일어나기 마련이라 저 옻칠도 혹여 손대지 않았을까 하지만 이 역시 자신은 없다. 독자 여러분이 주지해 줬으면 하는.. 2023. 1. 17. 다산 같은 이는 그보다 백년 전에 나왔어야 하는 사람 퇴율退栗 이후 정다산까지 흐른 시간이 250년 정도 된다. 정다산은 원래 활동한 시기(1762~1836)보다 100년은 빨리 나왔어야 하는 사람이다. 영조 연간에 이미 정다산이 활동하고 있었어야 한다는 말이다. 정다산 정도의 이야기는 18세기 중엽에 이미 끝내고 그 시기부터 그 다음이 준비되었어야 조선이 희망이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정다산은 딱 그 정도 포지션인데 여기에다 근대화의 선구라는 무거운 갑옷까지 입혀 놓고 이를 20세기 한국의 근대화에 억지로 연결시키려는 것이 현재 우리나라 사상사의 시도라 할 수 있다. 잘못된 시도이다. 물론 정다산을 이렇게 정의해 버리면 조선후기와 20세기 대한민국 사이에는 심각한 단절이 오겠지만, 아닌 것은 아닌 것이다. 아닌 것을 억지로 분칠하여 모실 수는 없는 노릇 .. 2023. 1. 17. 동아시아엔 없던 존재론과 인식론 공맹 순자시대 유학엔 존재론 인식론이 없거나 거의 없다. 그런 까닭에 유학을 필두로 하는 동아시아 사고방식은 철저히 생활철학에 기반에 뿌리를 박는다. 이것이 존재론 인식론이 범람하는 이 시대에는 외려 참신함으로 다시 각광받기도 하지만, 그런 기초를 갖추지 못한 유학에는 두고두고 치명적 결함으로 작동한다. 우주는 어찌해서 생겨났는가? 인간을 포함한 삼라만상은 어찌해서 태어났는가? 동아시아는 이를 생각해 본 적도, 심각히 받아들인 적도 없으니, 다만 그런 필요성은 없지는 않았던 듯, 예컨대 "귀신은 있습니까?"라는 제자의 질문에 공자는 "내가 삶도 모르는데 어찌 귀신을 알겠는가?"라고 반박하는 것을 보면, 그 필요성조차 공감하지 못한 것은 아니다. 아주 없었던 것은 아니거니와, 그에 대한 관심도 끊이질 않.. 2023. 1. 17. 이전 1 ··· 1932 1933 1934 1935 1936 1937 1938 ··· 364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