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004 2004년 일본인류학회 - 그 찬란했던 수준 필자의 초기 연구에는 당시 일본인류학계의 연구 동향에 정말 큰 영향을 받았다. 아마 당시 고고학계도 비슷했으리라 보는데 2003년 당시 필자는 처음으로 북해도에서 열린 일본인류학회에 참관했고, 2004년에는 당시 나가사키에서 열렸던 같은 학회에 참석했는데 2003년 참석 당시 일본인류학회의 당시 수준을 눈으로 확인했던지라 2004년에는 아예 동영상 장비까지 갖추고 (그 당시에는 지금 같은 동영상 촬영이 안되어 DVD로 녹화하는 핸드카메라가 있었다)도일하여 학회에서 주목해야 하는 연구 발표를 아예 통채로 녹화하여 들고 왔다. 지금 그 동영상 강의 장면이 아직도 필자에게 남아 있는데 아마 일본학회에도 이미 이 장면은 사라진 기록일 것이다. 이 당시 녹화를 뒤에서 통째로 강의를 뜨고 있었는데 참석한 일본학자들.. 2025. 6. 15. 미토콘드리아 DNA 기사를 읽는 법 (4)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법의학 분야에서는 미토콘드리아 DNA를 분석할 때 미토콘드리아 DNA의 D loop만 분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부분만 분석해도 충분하기 때문이다. 왜 이 부분을 분석하는 것일까? 우리 몸의 DNA는 사람들 간에 차이가 거의 없다. 사람과 침팬지간 사이의 DNA의 차이가 98.8 프로가 동일하다고 하니까사람들 사이는 어떻겠는가? 이 쪽은 더더욱 거의 차이가 없다. 99.9프로는 동일하고 나머지 0.1 프로 정도 차이가 사람들 사이의 차이를 결정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류의 기원을 분석하건 친자감별을 하건 간에 사람들 사이에 동일한 DNA 부분은 따질 필요가 없다. 바로 이 아주 적은 0.1프로 정도의 서로 다른 DNA의 부위, 이것이 타겟이 되는 것이다. 설명하자면 아주.. 2025. 6. 15. 가난병 유당불내증, 김태식의 경우 유당불내증乳糖不耐症은 말이 좀 어려운데, Lactose Intolerance라는 말에 대한 옮김이라 유당乳糖에 대해 불내不耐하는 증상이라는 의미라, 불내란 말할 것도 없이 참지 못함이거니와 견디지 못한다는 뜻이다. 감내堪耐한다는 말이 있는데, 이는 고통스러움을 견디고 참는다는 뜻이어니와 이에서 말하는 耐가 바로 그것이다. 저 견디지 못함을 인톨러런스Intolerance라 함이니, to tolerate가 바로 감내한다는 뜻이니 그 명사형이 tolerance라, 그 반대편에 위치한 말이 intolerance다.저 락타제lactose라는 말는 나처럼 고교 때 인문계 출신 중에서도 지구과학에 견주어 생물을 선택과목으로 선택한 사람들한테도 매우 익숙한 이름이어니와, 언제나 락타아제Lactase는 아밀라제Amyla.. 2025. 6. 15. 십자가? 토르 망치? 북독일서 바이킹 보물 출현 독일의 한 금속 탐지가가 아랍 동전, 금괴, 십자가 또는 미완성 토르 망치Thor's hammer로 추정되는 펜던트를 포함한 유럽 세계 보물 약 200점이 포함된 바이킹 시대 보물 더미를 발견했다고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주립 고고학청 State Archaeological Office of Schleswig-Holstein이 최근 발표했다. 이 보물은 바이킹 시대(서기 793년~1066년) 중요한 해상 무역 중심지였던 하이타부Haithabu 인근 독일 북부에서 발견되었다. 기독교는 서기 9세기에 성 안스가르St. Ansgar가 하이타부를 여행하면서 전파되기 시작했다. [하이타부 위치는 아래인 듯. 실상 덴마크랑 접경 지역 아닌가 한다.] Northern Germany near Haithabu www.g.. 2025. 6. 15. 과학이 흔드는 폴란드 중세사 왕가 뿌리도 추적하고, 꽃가루 분석으로 생태혁명도 조명 10세기부터 14세기까지 폴란드를 통치한 최초의 기록된 왕가인 피아스트 가문Piasts 뿌리를 두고 학자들은 2세기 동안 논쟁을 벌였다. 그들은 지역 슬라브 귀족이었을까, 모라비아Moravia 망명인이었을까, 아니면 스칸디나비아 출신 전사였을까? 2023년 이후, 포즈난 공과대학교Poznań University of Technology 분자생물학자 마렉 피글러로비츠Marek Figlerowicz가 이끄는 일련의 유전 및 환경 연구를 통해 이 수수께끼 같은 통치자들에 대한 직접적인 증거가 쏟아져 나오면서 논쟁은 더욱 확고한 기반을 다졌다.현장팀은 현재까지 피아스트 시대 유골 12개 이상을 발굴했다. 단일 발굴 중 가장 큰 규모는 현재 폴란드 중부에 .. 2025. 6. 15. 미토콘드리아 DNA 기사를 읽는 법 (3) 사람의 세포 핵에 들어있는 핵 DNA가 얼마나 긴가 하는 것은 세포 하나에 들어 있는 핵 DNA를 길게 펴면 무려 2미터에 달한다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이렇게 긴 핵 DNA는 평상시 둘둘 말려 세포 안에 있다가 (chromatin이라 한다)세포가 분열할 때가 되면 여러 개의 덩어리로 바뀌는데 이것이 바로 염색체다. 따라서 염색체의 정체는 바로 우리 몸 세포의 핵 DNA가 된다. 앞서 설명한 미토콘드리아 DNA는 핵 DNA와는 완전히 별개의 것으로 긴 끈처럼 되어 있는 핵 DNA와 달리 박테리아 DNA처럼 원형 고리로 되어 있다. 이 미토콘드리아 DNA는 사람 핵 DNA와 비교할 떄 형편없이 짧아서 길이가 1만6천500여 개 정도의 염기로 구성되어 있을 정도이다. 반면 핵 DNA는 30억 개가 넘는 .. 2025. 6. 15. 이전 1 ··· 195 196 197 198 199 200 201 ··· 350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