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764 명문장으로 남은 과거시험의 필독서,《동래박의東萊博議》완간 (사)전통문화연구회는 지난 2021년 1월 31일에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의 대표적 평론서이자 과거시험의 필독서로 널리 읽힌 《동래박의東萊博議》를 총 5책으로 완간하였다. - 최고의 역사평론서이자 과거 필독참고서 - 《동래박의》는 중국 남송(南宋) 시대의 학자 동래(東萊) 여조겸(呂祖謙, 1137~1181)이 《춘추좌씨전》의 기사(記事)를 바탕으로 춘추 시대의 치란(治亂)과 득실(得失)을 논평한 《춘추좌씨전》의 대표적 평론서이다. 그래서 이 책을 ‘동래좌씨박의(東萊左氏博議)’, ‘동래선생좌씨박의(東萊先生左氏博議)’ 혹은 ‘좌씨박의(左氏博議)’로도 부른다. 또한 여조겸은 과거시험을 준비하는 유생(儒生)들의 문장 수련에 도움을 주기 위해 이 책을 저술하였는데, 이후 《동래박의》는 과거를 치르는 유생들이 .. 2021. 1. 31. 기자가 찾은 자료를 도둑질한 어떤 놈 기자로서 어떤 시리즈를 하고 난 더러운 느낌 중 하나가 그걸 인용 표시도 없이 베껴먹는 이른바 직업적 학문종사자가 그리 많다는 점이다. 일전에 안중근 특집을 하고 그 와중에 안중근 유족 동향과 관련한 중대한 문서를 발굴해 공개한 적이 있는데 그 직후에 나온 그 어떤 저명한 한국 근현대사가가 지가 그 문서 발굴한 것처럼 해서 버젓이 논문과 책에 써먹는 꼴을 보며 구토가 났다. 이러지는 맙시다. (2014. 1. 31) *** 저에서 말한 안중근 유족 동향과 관련한 중대한 문서가 바로 아래 기사에서 인용한 쇼와(昭和) 14년(1939) 10월 17일 조선동촉부에서 작성한 '재(在) 상해 조선인 만선시찰단 선내(鮮內.조선 내부) 시찰 정황'이라는 일본 외무성 경찰사 자료다. 이에서 소개한 이 자료를 문제의 어.. 2021. 1. 31. 포크레인이 캐는 칡 애초 계획대로라면 지금 나는 전라도 장성 땅으로 가서 칡캐는 현장 십장 노릇을 해야했다. 하지만 날이 좋지 않다며 담주를 기약하자는 독거옹 기별이 와서 단념하고 말았다. 한데 담주에 온다던 포크레인이 오늘 왔단다. 잔디업자랑 몇몇이서 포크레인 몰고 들이닥쳐 독거옹 우거인 하남정사 뒷산을 헤집는다며 저런 사진들을 독거옹이 증거자료로 제출한다. 칡캐기는 오로지 체력과 인내의 싸움이라 여간한 힘과 끈기 아니고는 중도에 뿌랑지를 끊고만다. 작년인가 같은 저 산에서 하도 고통스럽게 칡캐기를 한 기억이 모골 송연해 올핸 기필코 포크레인 동원하자 내가 우겨서 저리 됐다. 칡캐기도 시대 흐름을 거역해선 안된다. 기계화가 시급했다. 포크레인은 신의 한 수였다. 영디기가 인근 담양에서 작두들고 가서 칡을 썰 모양이라 난 .. 2021. 1. 31. 취준생 이규보 취업을 못해서 이곳저곳 찾아다니는 우리의 백운거사, 지금 이력서 넣고 면접보느라 고생고생하는 사회 초년생과 겹쳐지지 않으시는가? 2021. 1. 31. 천마총 황남대총 발굴은 이맹희 아이디어였다 현재 보문단지를 그때 만든 다음 그후 조금씩 건물을 더 지어서 지금처럼 조성한 것이다. 원래 정부의 제안은 보문단지 호숫가에 도로를 만들고 건물을 전부 산쪽으로 붙여서 짓자는 것이었다. 그러나 그렇게 할 경우 호텔 등에서 호숫가로 가려면 찻길을 건너야 할 뿐더러 결국 호수와 멀리 떨어진 건물 일대의 땅은 쓸모가 없어진다. 이때는 내가 고집을 피워서 결국 지금대로 호숫가에 건물을 짓고 길을 건물 밖으로 내도록 했다. 호수를 다 파고 나서는 또다른 문제가 생겼다. 그 호수가 단순한(이상 238쪽) 위락용 호수가 아니라 농업 용수를 제공하는 호수이다 보니 정작 봄, 여름철이 되면 농사 짓는데 쓰느라 물이 다 빠져나가 버리는 것이다. 그래서 할 수 없이 그 위에 다시 하나의 댐을 더 만들어서 물을 저수하기로 했.. 2021. 1. 31. 재첩국 사이소~~ 이른 아침이면 늘 재첩국 파는 아주머니가 동네를 돌아다니셨다. 그시절 ‘아침식사 됩니다.’ 도 아니고, 돌아다니면서 재첩국을 파는 아주머니라니... 요즘 사람들은 상상이나 갈까. 여하튼 내 어린 시절 기억에는 재첩국 파는 아주머니가 있었다. 약간은 오목한 독을 머리에 이고 “재첩국 사이소~~~ 재첩국 사이소~~~” 하며 돌아다니셨다. 이른 아침, 정확히 말하자면 아이들은 아직 한창 잘 시간, 어머니는 멀리 아주머니 소리가 들리면(어느 때는 미리 나가 계시기도 했다.) 대문으로 나가 재첩국 한 바가지를 사오셨다. 어머니는 사온 재첩국에 물을 더 붓고 소금 간하여 한 소끔 다시 끓이셨다. 그리곤 뽀얀 국물이 우러난 재첩국 위에 초록색 정구지를 송송송 썰어 상에 내 놓으셨다. 칼칼한 걸 좋아하시는 아버지상에는.. 2021. 1. 31. 이전 1 ··· 2368 2369 2370 2371 2372 2373 2374 ··· 362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