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754

수원까지가서 집콕 캔들 만들기 수원에 있는 친구 집들이 겸 생일축하 겸 차로 부릉부릉 올라갔다. 사실 수원가면 보고싶고, 가보고 싶은 곳이 얼마나 많겠냐 만은! 시국이 시국이니 만큼 조용히 방 안에서 캔들을 만들었다. 사실 캔들 만들기는 박물관에서 아이들 체험으로 한 번 해봤었다. 시간이 없어... 아이들에게 정말 미안한 마음으로 약간 땜빵하듯 한 꼭지 메꾸는 체험이었기에 좋은 기억은 아니었지만 말이다. 그런데 지금 생각해보면 충분히 박물관 컨텐츠와 연결해서 캔들만들기를 할 수 있었는데, 참 밋밋하게 했었다. 애니웨이.... 수원까지와서 여자 넷이 캔들만들기를 했다. 이것도 기록이니 영상으로 남겨봤다. 하하.^^난 좀 때가 탔다. 캔들 색을 보고 소주병이 생각났다. 잠시 슈퍼 갈 일이 있어 나왔는데, 모퉁이를 돌으니 팔달문이 딱..... 2021. 1. 4.
백신부족에 접종 광폭행보 일단 제동 걸린 이스라엘 이스라엘 "1월말까지 총 200만명에 코로나 백신 접종" 송고시간 2021-01-03 22:59 노재현 기자 100만번째 접종자는 살인죄로 복역했던 60대 남성 www.yna.co.kr/view/AKR20210103057800079?section=news 이스라엘 "1월말까지 총 200만명에 코로나 백신 접종" | 연합뉴스 이스라엘 "1월말까지 총 200만명에 코로나 백신 접종", 노재현기자, 국제뉴스 (송고시간 2021-01-03 22:59) www.yna.co.kr 이스라엘이 화이자백신접종을 시작하기는 12월 20일이니, 현지시각 3일 109만 명을 돌파했으니, 그 속도야 광속임은 말할 나위가 없거니와, 1차 접종이기는 하지만 그 접종율이 11%에 도달했다. 최근에는 그 속도가 더 가팔라져 하루 15.. 2021. 1. 4.
500명 소국 바티칸, 이스라엘 추월? 세계 가장 작은 나라 바티칸도 이달 중 백신 접종 개시 2021-01-03 19:30 거주민 500명 전체 접종 가능 물량 공급받을 듯 https://m.yna.co.kr/view/AKR20210103052800109?section=international/all 세계 가장 작은 나라 바티칸도 이달 중 백신 접종 개시 | 연합뉴스 세계 가장 작은 나라 바티칸도 이달 중 백신 접종 개시, 전성훈기자, 국제뉴스 (송고시간 2021-01-03 19:30) www.yna.co.kr 하느님인지 하나님인지 암튼 야훼라는 신이 보호해서인지 바티칸이 거주민 전체를 커버할 만한 백신 분량을 확보한 모양이라 조만간 팔뚝에다가 아야 아야 주삿바늘 꽂는단다. 화이자 기준으로 3주 간격으로 두번 아야 해야 제대로 항체형성된다니.. 2021. 1. 3.
시신 쏟아지는 미국, 확진자 폭증 영국, 백신은 부족사태 '확진자 급증' 캘리포니아, 장례식장 부족 사태까지 송고시간2021-01-03 15:59 김유아 기자 "매장·화장에 최소 일주일…시신 너무 많아" www.yna.co.kr/view/AKR20210103037000009?section=international/all '확진자 급증' 캘리포니아, 장례식장 부족 사태까지 | 연합뉴스 '확진자 급증' 캘리포니아, 장례식장 부족 사태까지, 김유아기자, 국제뉴스 (송고시간 2021-01-03 15:59) www.yna.co.kr 이번 코로나팬데믹 초반기 이태리 북부와 미국 뉴욕주, 그리고 남미에서 보던 풍경이 캘리포니아로 넘어갔나 보다. 관뚜껑이 없단다. 하도 시체가 쏟아져 들어오는 바람에 그렇단다. 글타고 우리네 상조회사들 보낼 수도 없는 노릇 아니겠는가? 수치가.. 2021. 1. 3.
손질 필요한 부소산성 백제금동광배 전시 부소산성 출토 사비백제시대 금동광배다. 2017년 전시 모습인데 이리 하면 곤란하다. 현재도 이런 모습으로 전시가 계속 중인 듯 하다. 이게 불상 뒤꼭지에 박히는 전면인데 이거 백제공예기술을 잘 보여주는 명품이라는 데는 이견이 있을 수 없다. 한데 이 광배가 더욱 중요한 대목은 그 조성자가 저 광대 뒷면에 적혀있다는 사실이다. 저에 못 같은 걸로 긁어 쓴 글씨가 何多宜藏治佛(하다의장치불) 이다. 하다의장이 불상을 만들었단 뜻이다. 한데 전시는 명문을 보기가 심히 곤란하게 해 놨다. 또 하나 보존처리에 문제가 있다. 보존처리 과정에서 마지막 글자를 안 보이게끔 반창고를 붙여버렸다. 다행히 부여박물관 윤형원 관장한테 문의하니 재처리할 계획이 있다 한다. 반창고는 떼어내고 전시는 앞뒤가 다 보이게끔 해주리라 .. 2021. 1. 3.
광산鑛山으로 부富와 권력을 축적한 재벌 《漢書》 권72 공우貢禹 傳에 이르기를 “산을 채굴해서 구리와 철을 캐는데 한 해에 이에 종사하는 이가 10만 명 이상이다[攻山取銅鐵, 一歲十萬人以]”라고 했다. 이런 언급이 조금은 과장이 있겠지만, 공우가 활동하던 저 시대에 광산업으로 거부를 이룩하는 권력 혹은 재벌이 있었음을 증언하거니와, 하긴 그보다 그 직전 무제武帝시대야말로 광산업자들 전성시대였으니, 흉노와의 오랜 전면전에 막대한 전쟁물자가 소요되니, 전쟁은 군비산업을 진흥하며, 그에 따른 신흥재벌성장을 촉진한다. 그런 여진이 공우 시대까지 계속하고 있었음을 본다. 공우貢禹(?~ BC 44)는 전한 중기 때 관료로 字를 소옹少翁이라 하며 낭야군琅琊郡 출신이다. 그의 출생을 기원전 124년으로 간주하기도 하는데 확실한지는 모르겠다. 선제宣帝 시절 .. 2021. 1.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