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992

펭수! 펭수! 펭수! 채택 아니될 줄은 알았지만, 각 부서에서 올해 국내 10대뉴스를 추천하라 했을 적에 문화부에서는 세 개를 냈으니, 당당히 그 목록에 오른 봉준호 '기생충' 칸영화제 황금종려상 추천과 더불어 탈락한 설리·구하라 사망, 그리고 펭수 열풍이 있었다. 이 중에서도 펭수열풍은 실은 좀 뒤늦게 불이 붙었으니, 이게 연초에 일기만 시작했어도 다른 양상이 펼쳐졌을 것으로 본다. 연말이 되니, 10대 뉴스 선정이 끝나고 나니 펭수는 열풍을 넘어 광풍으로 돌변한다. 이 며칠간만 그가 주인공으로 등장한 기사 목록만 뽑아봐도 대강 이렇다. "펭-하신년!" 펭수 달력, 예약 판매 시작…G마켓 접속 폭주(종합)2019-12-23 17:34펭수 달력, 오늘 4시 G마켓 온라인 예약판매 시몬스, 펭수 뮤직비디오 내일 공개2019-1.. 2019. 12. 23.
이차돈을 의심한다 이거 나 의심한 적 없다. 이게 이차돈이가 목 짤리고서 그 목구녕에서 흰 피가 솟는 장면을 형상화했다는 그런 통설 나 역시 의심한 적이 없다. 이젠 의심한다. 그게 맞어? 그럼 저 앞쪽 물고기는 뭐란 말인가? 이차돈 발바닥이 물결이요 파도요 해양이다. 그 앞은 물고기다. 이게 맞음? 이차돈이가 바다나 연못 위에서 목이 짤린 거임? 혹 저게 물고기 아니고 짤린 머리일? 2019. 12. 23.
12세기 인도 팔라Pala 시대 문수보살 문수보살文殊菩薩 Bodhisattva Manjushri 팔라시대, 12세기 구5478 2008년 구입 Pala Period, 12th century Purchased in 2008 Housed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Seoul 문수보살은 불교에서 지혜를 상징하는 보살이다. 이 비상碑像에서는 한쪽 다리를 내린 유희좌遊戱坐 자세로 사자에 앉은 채 손으로는 설법인說法印을 취한다. 양쪽에는 협시보살이, 위쪽에는 작은 부처 다섯 분이 조각되었다. 기단 중심에는 코끼리 머리가, 측면에는 무릎을 꿇고 앉은 신도가 보인다. 12세기 인도 팔라시대Pala Period 조각으로 평가되며, 2008년 국립중앙박물관 매집했다. The bodhisattava Manjushri is the s.. 2019. 12. 23.
동지팥죽, 태음력시대의 태양력 24절기는 태양력이다. 매년 딱 고정하지는 않아 하루이틀 변동이 있다. 태양력 채택 이전 책력 주축은 달이 이지러지고 차는 주기에 착목한 태음력이었다. 둘은 언제나 충돌 소지가 있고 실제로 그러했다. 내가 지금 당장 예를 들진 못하나 동지인 줄 알고 팥죽 쑤었다가 낭패본 이야기를 조선시대 문집에서 봤다. 이런 혼란을 막고자 국가에선 책력을 맹글어 동지 무렵인가 신하들에게 배포했다. 시간은 오직 제왕만이 독점 전유한다.그래서 함부로 민간에서 책력을 반시 반포하지 못한다. 지리 역시 그러해 지도 역시 제왕이 독점한다. 저 하늘 저 땅을 전유하는 자를 일러 王이라 하니 그는 시간의 지배자였고 순환의 주재자였다. 이 흐름이 통상에 위배하는 일을 음양이 조화를 잃었기 때문으로 보았다. 천재지변은 이를 제대로 주재.. 2019. 12. 23.
약방의 감초, 중국집의 짜장면 이집트 미라 이른바 선진국이라는 미국이나 유럽 쪽 박물관을 보면 지나개나 다 이집트 코너가 있다. 코딱지만한 공립박물관도 다 갖춘 코너가 이집트라 그 조성 내력을 보면 거의가 기증이다. 돈 많은 놈들이 직접 현지가서 캐오거나 골동품 시장에서 구입한 콜렉션을 죽을 때가 되면 사회환원이라 해서 대개 내어놓아 등장한 것이다. 너무나 흔한 까닭에 이렇다 할 신비감도 없다. 아, 또 이집트네? 할 뿐이다. 저들한테 이집트실은 약방의 감초, 중국집 짜장면이나 짬뽕에 지나지 않는다. 문제는 제삼세계 박물관이다. 이 제삼세계 박물관으로 세계적 도약을 꿈꾸는 자들이 있다. 이 친구들도 저들을 숭내내고 싶어한다. 그래서 우리도 이집트 미라 좀 있었으면 하는 꿈을 꾼다. 제삼세계로 분류하긴 힘드나 저들 문화권에 속하지 않는 일본 도쿄국.. 2019. 12. 23.
고대이집트 청동칼 큰칼 Large Knife 이텔 엘아마르나 군사지구 출토 신왕국, 제18왕조, 아마르나 시기 기원전 약 1352~1336년 청동 Excavated military quarter, Tell el-Amarna 'New Kingdom. Dynasty 18, Amarna Period circa 1352-1336 B.C.E. Bronze Brooklyn Museum, Gift of the Egypt Exploration Society, 34.6055 고대 이집트인들은 돌과 청동으로 도구와 무기를 만들었다. 최초의 도구는 석회암층에서 발견되는 규질암으로 만들었다. 선왕조시대에 이집트인들은 구리와 비소를 섞어 청동을 만들었다. 두 재료는 고대 이집트 역사에서 계속 사용되었다. The ancient Egyptians .. 2019. 12.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