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7267

진의(眞義) 삼국사기 권 제24(백제본기 제2) 비류왕본기 : 30년(333) 7월에 진의(眞義)를 내신좌평으로 삼았다. 2018. 3. 2.
우복(優福) 삼국사기 권 제24(백제본기 제2) 비류왕본기 : 18년(321) 봄 정월에 왕의 서제(庶弟) 우복(優福)을 내신좌평(內臣佐平)으로 삼았다. 24년(327) 9월에 내신좌평 우복이 북한성(北漢城)을 근거로 삼아 반란을 일으키자 왕이 군사를 발동해 토벌했다. 2018. 3. 2.
보과(寶菓) 삼국사기 권 제24(백제본기 제2) 책계왕본기 : 책계왕(責稽王)은 고이왕 아들이다. 키가 크고 뜻과 기품이 웅장하고 뛰어났다. 고이가 죽자 왕위에 올랐다. 왕이 장정들을 징발해 위례성(慰禮城)을 보수했다. 고구려가 대방(帶方)을 정벌하자 대방이 우리에게 구원을 청했다. 이에 앞서 왕은 대방왕(帶方王)의 딸 보과(寶菓)를 맞이하여 부인(夫人)으로 삼았기 때문에 “대방과 우리는 장인과 사위의 나라이니 그 청에 응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하고는 드디어 군사를 내어 구원하니 고구려가 원망하였다. 왕은 고구려의 침공과 노략질을 염려하여 아차성(阿且城)과 사성(蛇城)을 수축하여 이에 대비하였다. 2018. 3. 2.
직선(直宣) 삼국사기 권 제24(백제본기 제2) 고이왕본기 : 33년(266) 가을 8월에 군사를 보내 신라의 봉산성(烽山城)을 공격하였다. 성주 직선(直宣)이 힘센 군사[壯士] 200명을 거느리고 나와 쳐서 우리 군사를 이겼다. 2018. 3. 2.
유기(惟己) 삼국사기 권 제24(백제본기 제2) 고이왕본기 : 28년 2월에 진가(眞可)를 내두좌평으로 삼고, 우두(優豆)를 내법좌평으로 삼고, 고수(高壽)를 위사좌평으로 삼고, 곤노(昆奴)를 조정좌평으로 삼고, 유기(惟己)를 병관좌평으로 삼았다. 2018. 3. 2.
곤노(昆奴) 삼국사기 권 제24(백제본기 제2) 고이왕본기 : 28년 2월에 진가(眞可)를 내두좌평으로 삼고, 우두(優豆)를 내법좌평으로 삼고, 고수(高壽)를 위사좌평으로 삼고, 곤노(昆奴)를 조정좌평으로 삼고, 유기(惟己)를 병관좌평으로 삼았다. 2018. 3.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