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672

영부인 한복을 가장 많이 만든 한복디자이너 이리자 1세대 한복 디자이너 이리자 씨 별세송고시간 2020-03-22 11:27강종훈 기자 요새처럼 부고 소식이 난감한 때가 없다. 하도 시절이 어수선하니, 부고를 전하는 상주들이 난감한 시기다. 이 보건사태에 나 역시 되도록 직접 조문은 삼가하니, 며칠 전 도저히 건너띌 수 없는 상가에만 딱 한 번 갔을 뿐이며 조의금만 전달하고 만다. 한복 패션화와 국제화를 이끌었다 평가하는 1세대 한복 디자이너 이리자 씨가 타계했다. 본명 이은임. 그 소식을 전하면서 상주측에서는 "직접 조문은 삼간다"는 말을 덧붙인다. 그리하고 싶어 그리하는 일도 있겠지만, 시절이 시절이니 이리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 소식은 복식사를 하는 지인을 통해 그쪽에서 연락이 온 사안인데, 애초에는 내가 이리자라는 이름만 듣고는 문화재 담당기.. 2020. 3. 22.
머리가 좋아지는 책(1961년) 유춘동 강원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1961년 당시 출판 시장에서 일약 베스트셀러가 되어, 한국 사회를 ‘머리가 좋아지자는 열풍 운동’을 불러 일으켰던 책이 있었다. 그 책은 바로 《머리가 좋아지는 책》 (와다나베渡邊剛彰 원저, 우천석외 옮김, 지문각, 1961)이다. 신문에 실린 광고를 보면 다음과 같다. 입시 시험을 앞둔 모든 학생들은 이 책을 보십시오. 당신은 천재가 될 것이며 모든 시험에 합격할 것입니다. 이 책의 저자 와다나베씨는 단 두 주일의 공부로 고등고시에 합격을 했습니다. 머리가 좋은 것이 아니라 이 책에 설명한 방법을 이용한 것입니다. 초등학교 6학년 이상이면 누구나 이해할 수 있고 아주 재미있는 이 책은 지금 일본에서는 초중고 대학을 막론하고 전국학생들의 성전聖典이 되었습니다. 이 책에서.. 2020. 3. 22.
느닷없이 튀어오른 미국, COVID19도 G2? 미 코로나19 환자 2만명 넘어서…세계 4번째로 환자 많아져(종합)송고시간 2020-03-22 07:06이영섭 기자뉴저지주도 '자택 대피령' 내려…미국인 ¼에 자택 격리 명령 이번 신종코로나바이러스 사태 와중에 집계 혹은 각 당국이 발표하는 통계 중 젤로 믿음성 가지 않는 데가 중국이다. 저 친구들 요새 들어와 국내 확진은 없고 해외유입만 있다는데, 지나가는 개를 믿겠다. 다으로 내가 신뢰하지 않는 곳이 일본...어이한 셈인지 이놈들은 반드시 확진자 숫자를 발표할 적에 무슨 프린스호인지 하는 그쪽 숫자를 모름지기 괄호안에 넣어주는지 내가 이해할 수가 없거니와, 그런 식으로 확진자 숫자가 적은 것처럼 통계를 조작했다. 그렇다고 그 프린스호 외의 통계는 믿을 만한가? 검사를 안했다는 소문이 파다하거니와, 검.. 2020. 3. 22.
보카치오가 《데카메론》에서 증언하는 흑사병(2) 환자를 잠시 찾아보기만 해도 마치 불을 옆에 갖다 대면 바짝 마른 것이나 기름 묻은 것에 확 옮겨 붙듯 건강한 자에게 옮겨갔습니다. 아니 더 지독한 일이 일어났습니다. 그것은 환자와 말을 주고받거나 환자와 사귀는 것만으로 전염하거나 죽음의 원인이거나 혹은 우리 쪽에서 환자가 입은 옷 혹은 그밖의 물건을 만지기만 해도 이 병에 감염될 정도였으니까요. 내가 지금부터 드리는 말씀을 들으시면 아마 깜짝 놀라실 것입니다만, 나도 많은 사람이나 내 자신이 눈으로 직접 본 일이 아니었더라면, 아무리 믿을 만한 사람에게서 들었더라도 이 말을 믿거나 더우기 이에 관해서 쓴다는 것은 도저히 불가능했을 것입니다. 나는 사람에게서 사람으로 옮겨가는 이 흑사병의 전염력이 얼마나 강한가 하는 데 대해서 전해지고 있는 이야기를 말.. 2020. 3. 22.
[스핀오프] 아웃브레이크: 조선을 공포로 몰아 넣은 전염병 (4) 신동훈 (서울의대 생물인류학 및 고병리연구실) 참 한 주가 빠르다는 생각을 한다. 한 두번 건너뛰었다고 생각해 지난 회를 찾아보니 3월 초.. 한달 가까이 벌써 지나가 버렸는데 어떻게 시간이 지났는지 모를 정도다. 코로나바이러스에 필자가 근무하는 학교도 유례없는 온라인 강의 준비에 여념이 없다. 게다가 최근에는 책 하나를 편집하느라 눈코 뜰새가 없다. 백수과로사라더니 정작 감염병창궐로 이동은 줄어들었지만 일은 줄지 않은 것 같다. 미래사회의 근무모습으로 우리가 들어가는 걸까. 아무튼 연재를 계속 이어가겠다. 이전 기억이 잘 안나시는 분들은 아래 연재를 참고하시길-. 연재 3회 연재 2회 연재 1회 이렇게 다양한 (?) 방법을 총동원하여 조선사회는 나름의 방역작업을 했지만 예상대로 효과가 있을 리가 없다... 2020. 3. 22.
모란의 사촌 작약 Peony 작약 勺藥 Peony / Paeonia lactiflora 작약과 작약은 여러해살이풀로 한 포기에서 여러 줄기가 나와 곧게 자란다. 붉은색, 흰색, 분홍색 주먹만 한 큰 꽃이 아름다워 정원에 흔히 심어 관상용으로 삼기도 한다. 나무인 모란과 꽃 모양이 매우 닮아 헷갈리기도 한다. 동아시아에서는 작약을 모란과 엄밀히 구분하지만 영어로는 피오니 peony 라는 같은 말로 지칭한다. 그만큼 유사성이 높은 까닭이다. 뿌리는 약으로 쓰므로 밭에 심어 약용식물로 가꾸기도 한다. 잎으로는 갈색 물을 들일 수 있는 염료식물이기도 하다. 지금 작약이 한창 새순을 틔우는 시기다. 2020. 3.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