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992

파란에 휩쌓인 경향신문 "경향신문, 협찬 대가로 기업 관련 기사 삭제"송고시간 | 2019-12-22 20:23기자협회 경향지회 "사장이 지시, 사장ㆍ국장 사퇴" 엿 바꿔먹는다는 말이 있는데, 아주 간단히 말해 이 사안은 경향신문이 기사를 두고 기업과 거래를 했다는 내용이다. 주목할 점은 이 사안이 외부로 대두한 통로다. 이는 한국기자협회 경향신문지회가 22일 발표한 성명을 통해 드러났다. 내부에서 먼저 이런 일이 있었다고 드러냄으로써, 그 책임을 스스로 지겠다는 뜻을 표명한 셈이다. 경향신문 그 긴 역사를 예서 정리할 수는 없고, 암튼 과거 권위주의 정부시절 친여 성향이 노골적이었던 이 신문은 1990년 한화그룹에 되어, 친여 친재벌 성향을 계속하다가 1998년, 한화가 경영에서 손을 떼면서 사원주주회사가 되면서는 논조가 완.. 2019. 12. 22.
경자년庚子年 새해엔 쥐맹키로 순풍순풍 새끼들 양산하소서 내년은 흰 쥐의 해…특별전 '쥐구멍에 볕 든 날'송고시간 | 2019-12-22 09:02국립민속박물관서 내년 3월 1일까지…강연회도 열려 매년 연말이면 국립민속박물관은 그 다음해 띠동물 기획전을 마련한다. 이 전시는 한국박물관계에서는 가장 성공적인 작품으로 평가받거니와, 이에서 비롯해서 여타 국공립박물관도 요즘은 거의 예외없이 연말이면 다음해 띠동물전을 대체로 소규모로 한 코너를 빌려 준비하곤 한다. 내가 처음 문화부로 발령받고, 그에서 문화재를 전담하기 시작할 무렵에만 해도, 내가 12마리 띠동물을 모두, 그것도 한 해도 거르지 아니한 채 연속으로 커버할 줄은 꿈조차 꾸지 못했다. 한바퀴 도는 것으로도 모자라 다시 한 바퀴를 더 돌게 되었으니, 하기야 내가 17년을 내리 같은 분야 일을 할 줄 누가 .. 2019. 12. 22.
버둥쳐도 부처님 손바닥이요 결국은 우라카이라는 핀란드디자인 뛰어봤자 벼룩이다. 폴짝 거려봤자 제자리다. 부처님 손바닥은 하도 크니 논할 필요도 없다. 모방과 변형이 있을 뿐이다. 우리는 그를 신으로 섬기는데 이름하길 우라카이 라 한다. 디자인? 핸드백? 신발? 거기서 거기다. 재료만 바뀔 뿐이다. 어디 가겠는가? 의자라고 달라진 게 있겠는가? 똥통 오줌통이라고 유별하겠는가? 결국 거기서 거기다. 노키아라고 마른하늘 날벼락이겠는가? 국립중앙박물관이 국박답지 아니하게 유치한 핀란드디자인 10 000년전은 우리가 제아무리 버둥쳐도 결국 우라카이 신의 아들이요 손자임을 입증한다. 우라카이 만세 만세 만만세! 2019. 12. 22.
박사학위가 없는 진중권, 그런 학위가 없다 비아냥한 공지영 진중권 "특채 자체가 적폐일지 모른다는 생각에 사직"송고시간 | 2019-12-22 09:19페북에 "9월초 학교에 남을 수 없겠다는 예감 들어" 나는 진중권에 대해 호오가 없다. 더불어 개인 연이 있지도 아니하다. 다만 그가 동양대 교수직을 사퇴하면서 나름대로 그래야 한 이유로 든 세 가지 중에 "첫째는 내가 학위도 없이 교수로 특채된 것 자체가 보기에 따라서는 적폐의 일부일지 모른다는 생각"을 들었거니와, 이 대목이 못내 씁쓸해서 그에 대해 한두 마디 긁적거려 볼까 한다. 정치 성향으로는 이른바 진보로 분류한다는 그는 이번 조국 사태에서 '의외로' 반 조국 진영에 서서 조국을 맹렬히 비판했거니와, 그러는 와중에 그는 이런 행보 때문에 이른바 친문 혹은 친조 진영에서는 적지 않은 공격에 시달린 것으로 .. 2019. 12. 22.
돌도끼에서 노키아까지, 핀란드 디자인전 단순하지만 세련된, 핀란드 디자인의 과거와 현재송고시간 | 2019-12-20 09:00국립중앙박물관, 내년 4월 5일까지 특별전 국립중앙박물관에 조금은 이색적인 전시를 기획했으니, 21일 개막해 내년 4월 5일까지 특별전시실에서 선보이는 '인간, 물질 그리고 변형-핀란드 디자인 10000년' 전이 그것이다. 이를 박물관에서는 핀란드국립박물관과 기획했다고 하는데, 북구쪽 전시가 매우 드물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번 전시 의의에 대해 박물관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개최하는 최초의 북유럽 역사 문화 전시로 핀란드 디자인의 본질적이고 근본적인 문제에 관해 질문을 던지는 새로운 형태의 융․복합 전시"임을 내세우거니와, 이를 통해 "핀란드의 물질문화와 디자인의 가치를 탐구"하겠다고 한다. 전시 제목에 '10.. 2019. 12. 22.
리움에서 조우한 오르비에토 우물 로마에서 대략 북쪽으로 한 시간 거리에 있는 오르비에토 Orvieto 라는 산상 성곽도시 한 쪽에 물경 50미터를 파고 내려간 우물이다. 포초 디 산 파트리치오 Pozzo di San Patrizio 라 하니, 영어로는 St. Patrick's Well, 성 패트릭 우물이라 부르는 곳이다. 생김새가 이러한데 저 우물벽 뒤로 계단식 오르내림 시설이 있다. 하도 깊어 두레박 사용은 엄두를 내기 힘들다. 이 우물은 피렌체 출신 건축가 안토니오 다 산갈로 Antonio da Sangallo the Younger 라는 친구가 1527~1537년에 교황 클레멘트 7세 Pope Clement VII 부탁을 받고 만들었다 하는데, 불쌍한 이 친구, 교황이라는 자가 쪽팔리게 1527년에 로마황제 Charles V한테 쫓.. 2019. 12.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