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566

귀성보고(2) 한가위 아침 눅눅한 대지가 마르기 시작한다. 빛이 들어온다. 꽃무릇도 막 샤워 끝내곤 물기 털기 직전이다. 대추 사과 간밤은 시원했노라 한다. 두릅은 지금은 때가 아니니 내년 봄 날 찾으란다. 연무 풀어해치며 해가 솟는다. 간밤 굶은 거미 한가위 차례 기다린다. 물망초 만발한 틈바구니로 오늘도 물은 흐른다. 2019. 9. 13.
가을은 절도의 계절 서리라는 이름의 전차 엄마 논에서 쌔비옴 2019. 9. 13.
일석 이희승과 무솔리니 자서전 일석 이희승 회고록인 《다시 태어나도 이 길을》과 무솔리니 회고록 《나의 자서전》이다. 일석 회고록은 만년 연재기요 무솔리니 자서전은 해제가 영 션찮아 번역 저본 소개도 없다. 약력보니 이태리어랑 관계없는 역자인데 아마 영어판이나 일역본을 참고해 옮기지 않았나 한다. 일단 읽어보고 요긴하다 판단하면 영역본이나 이태리어 원본을 쳐들어가야겠다. 내가 교재로 쓰는 이태리 초급 회화책 보니 이것만 보면 4주만에 이태리어 정복한단다. 씨벌 하지 뭐. 봉죠르노 이상이 2년전 오늘 포스팅이라 이후 나는 저들 자서전을 다 읽었다. 다들 그 시대를 증언하는 참으로 요긴한 자서전이다. 기록적인 장수를 누린 일석은 저에서 하기 어려운 이야기도 쏟아냈으니 如컨대 조선어학회 사건만 해도 과연 우리네 압도적인 시각처럼 조선어 탄.. 2019. 9. 12.
추자에서 노모까지..또 한번의 귀향 추자 수확철이라 추자 땄냐니 동생이 추잣물 물든 손바닥 펼쳐 보인다. 추자의 최대 적은 청솔모. 올겐 청솔모 공격에 살아남았냐니 청솔모가 올겐 없는데 추자나무 병이 심하단다. 그래서인지 추자나무 이파리 벌레먹은 흔적뿐이라. 요새 계속 비라, 오늘도 추적추적, 내리는 폼새와 산능성이로 걸친 먹구름 보니 쉬 그칠 비가 아니다. 가뜩이나 빗물 머금어 무거운 해바라긴 대가릴 푹 숙였고 처마 밑엔 씨받는 도레이 널부러졌다. 산마다 구름옷 비누거품맹키로 뭉쳐 저 구름 다 빼내려면 뒷굼치 각질 벗겨질 때까정 질겅질겅 밟아얄듯 싶다. 마당 한켠엔 팅팅탱탱 불은 가지 대롱대롱 폼새 보니 씨받이용이라 좀 있음 배 갈라 씨뺄 듯 싶다. 광엔 들에서 따고 뽑아다 놓은 마늘이며 메밀이며 고추가 고루고루라 개중 근대 달아 팔아버.. 2019. 9. 12.
Anapji Pond, Gyeongju Also called Wolji, the pond was made during the reign of King munmu of Siila kingdom. It was used as the secondary palace for the crown prince. Thus the palace was called Donggung. It also served as a banquet site for important national events and important visitors. After the fall of Silla, the site was abandoned and forgotten. The pond was referred to as "Anapji" during the Goryeo and Joseon p.. 2019. 9. 12.
새벽 반납표 포획한 귀성길 이번 추석은 연휴가 짧은 까닭인지 반납표가 거의 없다. 귀성표 전쟁은 언제나 마누라 몫이지만, 저 귀성표 제때 산 적이 없다. 게을러서도 아니요 천운이 따르지 아니해 번번이 클릭에 미끄러졌다. 그리하여 언제나 내가 김천에 가는 길은 낙수 줍기였으니 반납표를 나꿔채는 방식으로 언제나 명절 김천을 다녔다. 한데 올해는 반납표도 눈에 띠지 아니해 발을 동동 굴렀다. 아침에 마누라가 떡하니 오후 1시 출발 기차표를 내민다. 새벽 네시삼십팔분에 반납표를 포획했단다. 마느래 왈..이 사람도 참 이상해 그 시간에 표를 반납하냐? 내가 말했다..아마 집안에 초상났을 거야. 그나저나 서울역이 뒤숭숭이라 조국 사태가 촉발한 민심이 흉흉함을 본다. 즉석 문통 국정수행 잘잘못을 물어 딱지를 붙이게 하는 조사가 진행 중인가 하.. 2019. 9.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