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516

수니온 곶 포세이돈 신전 (1) 에게해로 돌출한 관문 Temple Of Poseidon at Sounion / Ναός Ποσειδώνος Σούνιο, Greece 그 복잡다기한 에게해 그리스쪽 해안 사로니코스 만 Saronic Gulf / Σαρωνικός κόλπος 동북쪽 깊이 들어간 곳에 똬리를 튼 아테네는 한때 번영을 구가하니, 그 최전성기는 아마도 그들이 주도로 구성한 그리스 연합군이 페르시아 제국의 침략을 격퇴한 기원전 480년 살라미스해전과 그 직후 수십년간 아닌가 한다. 내가 그리스 지리에 밟은 것은 아니로대, 그 최선성기 아테네가 이룩한 신전 중 포세이돈신전Temple of Poseidon at Sounion / Ναός Ποσειδώνος Σούνιο을 이해하는 관건 중 하나가 지정학적 위치 아닐까 생각해 본다. 앞 구글 위성지도(다음.. 2019. 7. 28.
Temple Of Poseidon, Ναός Ποσειδώνος Σούνιο Temple of Poseidon at Sounion, Greece Ναός Ποσειδώνος ΣούνιοThe temple of Poseidon was constructed in 444–440 BC during the ascendancy of the Athenian statesman Pericles at the present-day Cape Sounion, which is the promontory at the southernmost tip of the Attic peninsula, 8 kilometres (5.0 mi) south of the town of Lavrio (ancient Thoricus), and 70 kilometres (43 mi) southeast of Athens. It is .. 2019. 7. 28.
용설란 무성한 아테네 파리가 마로니에 칠엽수 로마가 소나무의 도시라면 아테네는 Agave americana 범벅이다. 아테네에 첫발을 딛고 그날밤 파르테논에 오르는데 이 정체불명 식물나무가 자주 눈에 띄어 무엇인가 궁금하던 차에 같은 궁금증을 지닌 어떤 외국 여성이 하는 말을 들으니 알로에 알로에 한다. 나는 이 식물이 알로에인 줄 알았고, 그렇게 썼다. 한데 어제오늘 김미겸 옹이 이곳저곳을 수소문한 결과 알로에가 아니라 용설란이라고 교정해 준다. 관련 자료들을 검색해 보니, 이 식물은 아메리카대륙 열대지방 원산지로, 16세기 무렵 유럽에 도입되었다 하는데, 백년만에 꽃을 피운다 해서 백년식물Century Plant이라 하는가 하면, 멕시코에서는 Maguey라 하는 모양이라 이 말을 영미권에서는 머게이 혹은 매게이 정도로 발.. 2019. 7. 28.
공짜는 에트루리아를 춤추게 한다 국립박물관이 에트루리아 턱별전을 한시로 공짜로 열어제끼니 이 모양이다. 오늘이 그 공짜 마지막 날이라고 해서인지 돗떼기 시장이라, 입장료가 만원이던가 그런데 그 만원이 특혜라 생각해서인지 이 모습을 연출한다. 어제 다녀갔다는 지인 말과 비교하면 주말인 어제가 더 심했던 모양이다. 이른바 서민 기준으로 만원 역시 부담이 되겠지만, 그 만원을 기꺼이 부담하는 문화가 자릴 잡아야 한다고 본다. 고래를 춤추게 하는 것이 공짜여선 곤란하다. 칭찬이고 상찬이어야지 공짜여서는 곤란하지 않겠는가? 이 에트루리아전은 두번째인데 전시평은 미뤄둔 상태다. 하도 박물관을 까대서 좀 참는 중이다. 2019. 7. 28.
소학교가 학력 전부인 이은창, 그리고 조사원자격기준 우산牛山 이은창李殷昌 선생이다. 그의 간단한 이력은 아래 우리 공장 기사를 참조하라. 고고학계 원로 이은창 전 대전보건대 교수 별세송고시간 | 2019-07-26 17:55 1922년생이라, 선친보다는 1살 적은 양반이라, 기록적인 장수를 하고는 타계했다. 그 아드님이 같은 고고학도 길을 걸은 이성주 고고인류학과 교수요, 며느님이 이현주 부산박물관 학예연구관이라, 집안이 그의 대에 고고학 관련 학문에 투신했음을 본다. 1922년을 허심하게 보아 넘길 수 없는 까닭은 연세대 사학과에 봉직하며 공주 석장리 발굴을 통해 한반도 중남부에도 구석기 문화가 존재함을 알린 손보기도 이해 출생이요, 서울대 고고인류학과 창설과 더불어 그에서 많은 후학을 길러낸 김원룡 역시 같은 해에 태어났다는 사실이다. 윤무병은 이들보.. 2019. 7. 28.
연어요리에 딸려나오는 케이퍼caper 이태리 중북부쪽 비나마조vignamaggio 라는 펜션(아래 지도 참조) 담벼락에서 만났는데, 지인들한테 물어보니 케이퍼caper bush라는 식물이라 하며, ‌불어로는 câpres, 이태리어로는 캇페로 카페로cappero라 한다 하니, 이런 이름이 저들 지중해권에 집중하는 걸 보면 원산지는 지중해임을 미루어 짐작한다. 실제 관련 자료를 검색하니 지중해 지역이 원산지이며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이 주산지라고 한다. 식물학에서는 풍접초과Capparidaceae에 속하고, 학명은 Capparis spinosa L.이라 하며, 그 열매는 천연향신료로 사용한다 하거니와, 뜻밖에도 그 꽃봉오리는 생선 요리와 육류 요리 등에 강한 짠맛과 신맛을 내는 데에 널리 사용한다고 한다. 특히 케이퍼 피클은 연어 요리에 빠.. 2019. 7.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