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869

전통과 원형, 마곡사 영산전의 경우 문화재 현장에서 참말로 곤혹스런 말이다. 전통과 원형이 있느냐? 없다. 함에도 없는 전통과 원형을 찾아가느라 모두가 골을 싸맨다. 비근한 예를 하나 들자. 공주 마곡사 영산전. 별칭이 천불전(千佛殿)인 데서 엿보듯이 이곳에는 천불을 안치했다. 경주산 곱돌로 만든 작은 석상 천여구를 안치했다. 천불은 중앙불단을 중심으로 양측면으로 단을 마련한 ㄷ자형 불단에 안치됐다. 한데 공주시가 근자에 이걸 보수하면서 측면 불단을 없앴다. 이유는 이랬다. 측면 불단을 조사해보니 근대기에, 베니어 합판으로 보축됐다는 이유였다. 원형을 훼손했다 해서 뜯어제낀 것이다. 그리하여 천불단은 중앙불단만 남게 되고, 양쪽 측면은 없앴다. 없애니 깨끗해 보여서 좋기는 하다. 한데 문제가 생겼다. 천불을 다 수용할 공간이 없는 중앙불단.. 2019. 3. 24.
마립간이 무슨 거창한 줄 아는 사람들 신라사 전문가입네 하는 작자들 신라사 기술을 보면 기가 차는 구석이 한둘이 아니라, 개중 대표가 왕호王號에 따른 왕권의 구별이니, 뭐 익히 알려졌듯이 신라 오야붕은 시조 혁거세 이래 차차웅, 니사금, 거서간, 마립간을 거쳐 왕으로 정착했으니, 다 똑같은 말을 시대별 유행에 따라 다르게 부른 데 지나지 않는다. 함에도 그 차이에 무슨 거대한 비밀이 있는양 그에 천착한 쓰레기가 넘쳐난다. 차차웅은 무당, 혹은 제사장인데 그럼 왕조국가시대에 왕이 최고 무당이고 제사장 아니란 말인가? 거서간은 큰 오야붕이니 왕 말고 뭐란 말인가? 마립간은 말뚝왕인데 관위 순서대로 양렬을 이룬 신하들 말뚝 한복판이란 뜻이니 이 또한 오야붕 말고 무슨 개뼉다귀란 말인가? 조선시대 왕 역시 마립간이라, 봐라, 종구품 이상 정일품에 .. 2019. 3. 24.
미륵사지석탑 원형 훼손 논란은 자업자득이다 자업자득이다. 나는 '원형'이라는 말을 문화재에서 없애야 한다고 그리 오래도록 외쳤다. 하지만 여전히 원형이라는 게 무엇인가의 절대준거가 있다고 착각한다.누가? 문화재업계 종사자들부터 원형이라는 환상에 사로잡혀 있다. 묻는다.원형이란 무엇인가?아니, 물음을 치환한다. 원형이라는 게 있기나 한가? 그럼에도 밑도끝도 없는 '원형'이라는 망상에 허우적이며 벗어날 줄을 모른다. 이 원형주의에 빠진 독버섯은 구체적으로 다양한 문화재업계 중에서도 고고학, 건축학, 그리고 보존과학 이 세 놈이 특히 더 그래해서 원형이 있다고 착각한다. 참고로 무형문화재 분야에서는 유형문화재 분야에 통용하는 '원형'이라는 말이 거의 사라졌다. 항용 내가 주장하듯이, 필요하면 종묘제례악에도 조수미 부르고, 피아노도 쓸 줄 아는 융통이 .. 2019. 3. 24.
장군 남오성, 평균키 190㎝를 우뚝 솟은 에베레스트 190 cm tall Joseon dynasty era General mummy According to statistics, the average height of adults during the Joseon dynasty era is 161.1 cm for men and 148.9 cm for women. Among the mummies of the Joseon era, there was a giant Titan whose height reached 190 cm. He was Nam Oseong (1643-1712), who served as Samdo Sugun Tongjesa 三道水軍统制使, the Naval Commander-in-chief of the Three Provinces. 身長190cm.. 2019. 3. 24.
남자 무덤에 다리미는 왜 묻었을까? 다리미가 동아시아 고대의 무덤에서 꽤 많은 수량으로 출토한다. 앞 사진은 공주 송산리 왕 부부를 합장한 공주 송산리 무령왕릉 현실玄室 중에서도 왕비를 묻은 쪽 발치에서 나왔다. 다리미라고 하면 대체로 여성이 옷을 다리는데 사용하는 도구라 하지만, 그런 까닭에 여성이 전유專有하는 기물器物이라 하지만, 의외로 남성을 묻은 곳에서도 적지 않게 출토된다는 점이 이채롭다. 이는 비단 무령왕릉 뿐만 아니라 중국과 일본까지 고대 동아시아 무덤 매장 패턴에서 공통으로 발견된다. 그 출토 위치를 보면 피장자被葬者의 머리 아니면 발치 쪽이다. 왜 이런 현상이 빚어지는가? 아니, 질문을 바꿔본다. 왜 다리미를 무덤에 피장자와 더불어 매장하는가? 나는 이를 북두칠성北斗七星으로 본다. 요컨대 칠성판七星版이거나, 그 대용품으로 .. 2019. 3. 24.
Cheondeongdae in Full Blossom 목련 만개한 첨성대엔 언제나 나는 한 발이 늦어 저 만개한 이파리 얼룩덜룩 검은 때 끼고흐물흐물 그 절반에 바닥에 딩굴어 짓이길 때그때 발길을 닿곤 했으되, 그런 불운 올해도 어김없어 세월을 탓하고 기다리지 않는 너를 다시 원망해 본다. 뭐가 그리 급한가? 2019. 3.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