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500

도종의(陶宗儀)와《설부(說郛)》 원말(元末)~명초(明初)를 살다간 도종의(陶宗儀)가 편찬한 총서(叢書) 이름이다. 도합 100권 거질이며 이에 수록된 조목(條目)은 수만을 헤아린다. 진한(秦漢) 이후 송원(宋元)에 이르기까지 제가(諸家)의 작품을 초록했으니, 그 포괄 범위는 제자백가(諸子百家)․각종 필기(筆記)․시화(詩話)․문론(文論) 등을 망라한다. 역대 사가(私家)가 편집한 총서로는 비교적 크다. 그것이 포괄한 내용은 삼라만상이라 경사전기(經史傳記)․각종 잡서(雜書)․고고박물(考古博物)․산천풍토(山川風土)․충어초목(蟲魚草木)․시사평론(詩詞評論)․고문기자(古文奇字)․기문괴사(奇聞怪事)․문복성상(問蔔星象) 등이다. 양유정(楊維楨)은 그 序에서 이르기를 “배우는 자가 이 책을 얻으면 들은 바를 열게 되고 본 바를 넓히게 되는 이가 많을 .. 2018. 3. 9.
배송지裵松之 《삼국지주三國志注》 유송劉宋 문제文帝인 유의륭劉義隆이 삼국시대의 異同을 모아 진수陳壽의 《三國志》를 주석하라고 명하여 裴松之가 완성한 해설서이다. 裴松之는 傳紀를 수집해 이문異聞을 널리 모아 완성하고는 헌상했다. 이에 황제는 이를 예람叡覽하고는 “이야말로 불후不朽라고 할 만하다”고 상찬했다. 이 당시 裴松之가 올린 표문表文에는 이런 말이 있다. “진수陳壽의 책은 볼 만한 일을 嚴選했으나 간략함이 지나친 단점이 있고 누락된 곳이 여러 곳이 됩니다. 臣은 성지聖旨를 奉하여 상세함을 갖추어 철저함을 기해 기록해야 하지만 진수가 기재하지 않은 사실은 남김 없이 채록했습니다. 같은 사건에 대해 기록이 모순되면 사건의 출처가 달라 판단할 수 없는 경우에도 모두 요약해서 함께 異聞을 固하게 했습니다.” 이것이 裴松之 편찬방침이라 할 수.. 2018. 3. 9.
호삼성(胡三省. 1230~1302)과 《자치통감음주(資治通鑒音注)》 호삼성(胡三省)은 원래 이름이 만손(滿孫)이며 字가 신지(身之), 號는 매간(梅澗)이다. 5형제 중 3남이다. 영해(寧海) 중호촌(中胡村) 사람이다. 《論語》에 나오는 “吾日三省吾身”이라는 구절에서 삼성(三省)이라고 개명했다. 다른 字로는 경삼(景參)도 썼다. 보우(寶祐) 4년(1256)에는 문천상(文天祥), 육수부(陸秀夫), 사방득(謝枋得) 등과 함께 과거에 급제하여 進士가 되었으며 吉州泰和尉에 임명되었으나 어머니가 연로하다 해서 부임하지 않았다. 나중에 경원부자계위(慶元府慈溪尉)에 임명되었으나 재임기간 중 경원지부(慶元知府) 여문옹(厲文翁)에게 죄를 얻어 파직되었다. 그러다가 문학행의(文學行誼)로 추천되었다. 사마광이 주편한 《자치통감(資治通鑑)》 연구에 몰두하고 《통감(通鑒)》을 교감했으며 제자들을.. 2018. 3. 9.
마숙(馬驌)과 《역사(繹史)》 《역사(繹史)》는 전체 160卷이며 世系圖 1卷과 年表 1卷이 별도로 첨부됐다. 찬저자(撰著者)는 청대(淸代) 마숙(馬驌. 1621~1673)이다. 강희(康熙) 연간에 판각된 판본은 전체 40册이며 版框 高廣은 匡高 19.7公分이고 寬은 14.3公分이다. 行格은 14行24字이며 小字雙行 36字이다. 판식(版式)은 백구(白口), 무어미(無魚尾), 좌우쌍변(左右雙邊)이다. 장정(裝訂)은 선장(線裝)이며, 수장인기(收藏印記)는 학여당발태(學餘堂發兌)이며, 서발제교자(序跋題校者)로는 이청(李淸) 서(序)가 있다. 사고전서(四庫全書)에서는 사부(史部) 중에서도 편년류( 編年類)로 배당했다. 부주(附註)로는 내봉제(內封題)로 “마씨역사”(馬氏繹史)라 했으며, 原鈐 “學餘堂發兌” 硃文印記가 있다. 卷端署에는 “추평마.. 2018. 3. 9.
사마정司馬貞과 《사기색은史記索隱》 사마정司馬貞은 사마천司馬遷 불후의 저작인 《사기史記》에 대한 해설 혹은 주석으로 시도한 완성물인 《사기색은史記索隱》 저자이나 이상하게도 행적은 불비하기 짝이 없다. 생년은 물론이요 몰년도 모조리 미상이다. 관적貫籍은 회주懷州 하내河內이며, 당 현종玄宗 개원開元 연간(713~741) 초기에 국자박사國子博士를 지냈으며, 이후 윤주별가潤州別駕와 굉문관학사宏文館學士를 지낸 이력 정도밖에 알려져 있지 않다. 《史記索隱》 외에 《補史記보사기》가 있다고 하며, 《전당문全唐文》 卷402에 그의 산문이 수록된 정도다. 이런 가운데 그의 행적은 《신당서新唐書》 卷132 유자현전劉子玄傳에 찔끔 보이며, 그 외 북송시대 도서목록집인 《직재서록해제直齋書錄解題》卷4에도 역시 간략한 기술이 나온다. 그 불후의 성과로 꼽히는 사기색.. 2018. 3. 9.
곽무천(郭茂倩)과 《악부시집(樂府詩集)》 곽무천은 생졸년 미상이며 宋代 운주(鄆州) 수성(須城. 지금의 東平縣) 사람이다. 북송 남송 중에서도 南宋시대를 살다 갔다. 그의 이름은 그가 편집한 방대한 《악부시집》(樂府詩集) 100권을 통해 빛을 발한다. 郭茂倩의 생평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四庫全書總目提要》에서 이르기를 “《建炎以來系年要錄》載茂倩爲侍讀學士郭裒之孫, 源中之子, 其仕履未詳.”라고 했을 뿐이다. 《樂府詩集》에서는 그를 太原 郭茂倩이라고 했다. 어릴 적에 이미 詩 훈도를 받았으며, 음률에 대한 조예가 깊었고, 전록(篆錄)을 잘 했다. 《樂府詩集》 100권은 위로는 요순(堯舜) 시대 가요를 시작으로 아래로는 唐代의 신악부시(新樂府詩)에 이르는 각종 시가 5천389수를 모았다. 이에 수록된 가사를 크게 둘로 나눌 수 있으니 하.. 2018. 3.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