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500

고청(古靑) 윤경렬(尹京烈, 1916~1999) □ 생년월일 : 1916.1.14□ 출 생 지 : 함경북도 경성군 주을면 중향동 55번지□ 학력사항○ 1928 주을공립보통학교 졸업○ 1934 일본 하카다(博多) 다미인형연구소 수업□ 경력사항○ 1943 개성 고려인형연구소 경영 (고유섭, 오지호 선생 등과 교유)○ 1943 조선미술전람회 조각부 입선 (1943년, 1944년 2회 연속 입선)○ 1945 개성 중경학교 근무 (장남 ‘광주(光柱)’ 태어남)○ 1947 개성 정화여학교 근무○ 1949 경주 한국풍속인형연구소 고청사(古靑舍) 설립, 경주예술학교 강사○ 1954 진홍섭 경주박물관장과 ‘경주어린이박물관학교’ 개설○ 1955 ‘경주어린이박물관학교’ 1주년 기념 교가 작사 (작곡 윤이상)경주박물관 근무○ 1956 ‘신라문화동인회’ 창립○ 1959 근화.. 2018. 3. 8.
칙찬삼집(勅撰三集):《능운집(凌雲集)》《문화수려집(文華秀麗集)》《경국집(經國集) 》 天皇이나 上皇의 下命으로 찬집撰集한 책을 칙찬집(勅撰集)이라 하거니와, 고대 일본 헤이안(平安)시대에 이런 勅撰으로 성립한 한시집漢詩集 세 종류인 능운집(凌雲集)과 경국집(經國集), 그리고 문화수려집(文華秀麗集)을 한데 일컬어 칙찬삼집(勅撰三集)이라 한다. 이들은 현존 最古 일본 漢詩集인 회풍조(懷風藻) 바로 뒤를 잇는 한시집으로 중요성을 지닌다. 《능운집》(凌雲集. 료우운슈우. りょううんしゅう)헤이안시대平安時代 초기인 홍인(弘仁) 5年(814)에 차아천황嵯峨天皇 命으로 편찬됐다. 전1권. 정식 명칭은 능운신집(凌雲新集)이다. 小野岑守와 관원청공(菅原清公, 스가와라노 기요키미) 등이 찬집했다. 그에 수록된 한시 작가는 평성천황平城天皇과 차아천황, 大伴親王 등 23명 90首가 수록됐다. 나중에 1首가 추가.. 2018. 3. 8.
신찬성씨록(新撰姓氏錄. 新撰姓氏録) 신센쇼지로쿠 or Shinsen Shōjiroku(しんせんしょうじろく) 2011.06.10 06:14:21 台植注 : 아래는 위키피디아 한.중.일 3개 국어판을 재편집했다. 한글판은 보아하니 일본어판을 축자 번역한 것이다. 추후 보강을 기약한다. 신찬성씨록(新撰姓氏錄. 新撰姓氏録) 신센쇼지로쿠 or Shinsen Shōjiroku(しんせんしょうじろく) 고대 일본 헤이안(平安)시대 초기인 홍인(弘仁) 6年(815)에 사가천황(嵯峨天皇. 차아천황) 명으로 편찬된 일본 고대 씨족 일람서다. 제목은 새로 편찬한 성씨에 대한 기록이라는 뜻이다. - Shinsenshōjiroku, ‘New Selection and Record of Hereditary Titles and Family Names’ is an imperially commissioned Japanese genealogica.. 2018. 3. 8.
서경보(徐耕輔. 1771~1839) 2011.06.14 15:55:51 台植注 : 한국학중앙연구원 관련 항목 문장 기술을 약간 손질해 재가공했다. 문장이 맘에 들지 않아 바꿔봤다. 더불어 내가 생뚱맞게 이 서경보를 다룬 까닭은 오늘자 기사에서 그의 중국 시선집 옥생관시수(玉笙館詩粹)를 다루게 됐기 때문이다. 서경보(徐耕輔. 1771~1839)1771년(영조 47)∼1839년(헌종 5). 조선 후기 문신. 자는 임세(任世), 호는 묘옹(卯翁). 본관은 대구(大丘)다.문헌공 서종태(徐宗泰) 현손이자 대제학 서유신(徐有臣) 아들이다. 이조판서 서영보(徐榮輔)는 그의 형이다. 어려서 서유로(徐有老)의 양자로 들어갔다. 음보(蔭補)로 기용돼 순창과 예천군수를 지내다가 1825년(순조 25) 알성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고, 이듬해 대사성에 제수됐다. .. 2018. 3. 8.
재불 서지학자 박병선 박사 공적 2011.11.23 14:20:55 台植注 : 以下者 大韓民國 文化體育觀光部之2011年11月23日報道資料添附物也. 박병선 박사 공적 □ 프랑스국립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던 직지심체요절과 외규장각의궤를 최초로 발견하여 세상에 알리는 데에 결정적인 공헌 ㅇ 박병선 박사는 우리나라 여성유학비자 1호로 프랑스로 유학하여 역사학 박사(프랑스 파리제7대) 취득 및 1967~1980년까지 프랑스 국립도서관 직원으로 근무하면서 동서관에 보관되어 있던 「직지심체요절」과 외규장각 의궤 297권을 최초로 발견하여 외규장각 의궤의 존재를 처음으로 세상에 알리게 됨. ㅇ 프랑스 국립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는 「직지심체요절」이 우리 문화재임을 발견하고, 직지심체요절이 현존하는 세계 최초의 금속활자본임도 직접 실험을 통해 밝혀냄으로써 우.. 2018. 3. 8.
호극가(胡克家)와 《문선고이(文選考異)》 《문선고이(文選考異)》는 도합 10卷이며 清代 胡克家가 昭明太子 蕭統의 《文選》과 그 注疏를 考證한 책이다. 宋 淳熙 年間에 尤袤이 刻한 李善注 本을 底本으로 삼고, 나아가 宋代 吳郡 袁氏․茶陵 陳氏가 刻한 六臣本을 근거로 異同을 校刊했다. 清代 《文選》의 校勘과 考訂에서 이 《考異》는 梁章钜의 《문선방증文選旁證》과 더불어 비교적 독특한 색채를 띤다. 전태길(錢泰吉)이 《폭서잡기(曝書雜記)》에서 이르기를 胡克家가 “嘉慶 十四年(1809)에 《文選》을 판각하니, 《考異》 10권이 있어 元和 顧君 廣圻․鎮洋 彭君 兆蓀 所撰이다. 두 분은 모두 校勘이 정밀하고, 변석(辨晰)한 바가 자못 상세하다. 근거로 삼은 바는 淳熙 辛醜 尤延이 貴池에서 판각한 本이지만 吳郡 袁氏가 翻雕한 六臣本․茶陵 陳氏가 刻하여 增補한.. 2018. 3.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