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500

中國 요녕성(遼寧省) 객좌현(喀左縣) 동기교장(銅器窖藏. Kazuo tongqi jiaocang) 중국에서는 무엇인가를 한꺼번에 한 장소에 매납한 곳을 교장(窖藏)이라 부르거니와, 청동기를 묻은 곳을 동기교장銅器窖藏이라 한다. 중국 고고학계에서는 喀左縣 지역에서 出土한 靑銅器를 西周시대 初年에 그 封國 중 하나인 燕國에서 山川祭祀를 지낼 때 埋藏한 청동예기(青銅禮器)로 설명하기도 한다. 이 유적은 遼寧省 喀左縣 西南쪽 대릉하(大淩河) 兩岸 구릉지대 정상에서 발견됐다. 1941년 이후 모두 6차에 걸친 발굴조사 결과 출토한 銅器는 연대가 西周 초기, 혹은 商末~周初에 속한다고 추정한다. 1941年 고로구촌(咕嚕溝村)에서 출토한 周初 동정銅鼎 1점은 높이 50여㎝이며 重量은 70여 ㎏으로 銘文이 있다. 1955年, 마창구馬廠溝 출토 周初 銅器 16건 중에는 鼎․․․ 盂․․卣․壺․盤과 압형준(鴨形尊) 등이.. 2018. 3. 9.
두헌(竇憲. ?~92)과 당고지금(黨錮之禁) 두헌(竇憲)은 字가 백도(伯度)이며 부풍(扶風) 평릉(平陵), 지금의 섬서성(陝西省) 함양(咸陽) 사람이다. 두융(竇融)의 증손으로 후한시대에는 외척으로서 要職을 역임했다. 후한 建初 2年(77), 황제 장제(章帝)가 두헌의 누이동생을 황후로 세우자 외척으로서 동생인 두독(竇篤)과 더불어 두각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이런 사정을 사서에서는 “賞賜累積, 寵貴日盛, 自王․主及陰․馬諸家, 莫不畏憚”이라 적었다. 황제가 내린 상이 쌓이고 총애가 날로 깊어지니 왕 이후 권세가로 그를 두려워하지 않은 이가 없었다는 말이다. 하지만 영원(永元) 元年(89), 竇憲은 刺客을 보내 太后 총신인 유창(劉暢)을 살해하고는 그 죄를 채륜(蔡倫)에게 덮어 씌우려 하다가 나중에 일이 발간되어 宮廷에 감금됐다. 후한서 두융전(竇融傳.. 2018. 3. 9.
후지시마 가이지로(藤島亥治郎. 藤島亥治郞. 등도해치랑) ふじしま がいじろう. 1899. 5. 1~2002. 7. 15 일본 건축사가. 1933년 이래 1945년까지 조선보물고적명승천연기념물(朝鮮宝物古跡名勝天然記念物保存会) 위원으로 일하면서 식민지 조선 고건축에 대한 조사 활동을 했다. 제국 일본이 패망해 일본으로 돌아가서는 平泉遺跡調査会를 조직하고 毛越寺와 中尊寺 整備, 中山道宿場 연구 등을 진행했다. 오사카(大阪) 시텐노지(四天王寺, 사천왕사) 가람 재건 계획을 수립하기도 했다. 3세기를 살며 103세로 장수했다. 1899年, 岩手県 盛岡市 出生1920年, 第六高等学校 卒業1923年, 東京帝国大学 工学部 建築学科 卒業․ 조선총독부朝鮮総督府 경성공업학교京城工業学校 조교수助教授1924年, 同校 教授․ 朝鮮総督府 技師兼任1929年, 東京帝国大学 助教授1933年,.. 2018. 3. 8.
《변경유적지(汴京遺跡志)》 《변경유적지(汴京遺跡志)》 二十四卷(河南巡撫 採進本) 明 李濂 撰. 濂에게는 《상부선현전祥符先賢傳》이라는 저술이 있으니 (사고전서에) 이미 著錄했다. 이 書는 歷代 都會에 대해 모두 專志가 있지만 오직 汴京에는 그것이 없으며 나아가 宋 孟元老의 《동경몽화록東京夢華錄》은 蕪穢 猥瑣하여 볼 만하지 않다고 하여(생각건대 元老는 風俗 瑣事를 기록하여 地志體와는 다르니 이 말은 온당함이 지나치다 하겠으니 삼가 이에다가 교정을 부친다) 마침내 舊聞을 수합해서 編次를 정하고 책을 만들었다. 체제가 정비되고 자못 요점이 있다. 전거의 핵심을 끌어대고 나아가 구체적으로 根據를 보였다. 여기輿記 중에서는 善本이라 칭할 만하다. 그 정미함과 가려냄이 《장안지長安志》라든가 《옹록雍錄》과 같은 여러 책에 미치지는 못하지만 주량.. 2018. 3. 8.
중국 요녕성(遼寧省) 객좌현(喀左縣) 마창구유지(馬廠溝遺址) 객좌현 현성(縣城)에서 남쪽으로 약 25㎞ 떨어진 해도영자촌(海島營子村)의 소전산(小轉山)에서 발견된 청동기 교장(窖藏) 유적이다. 소전산은 대릉하(大凌河)에서 서쪽으로 약 3㎞ 지점에 위치하니 유적은 이곳 북쪽 경사면에서 발견됐다. 1955년 이곳에서 발견된 구덩이에서 중원식(中原式) 청동예기(靑銅禮器)가 총 13점 수습됐다. 다만 유적에 대한 자세한 보고가 없어 窖藏, 즉, 구덩이 형태나 크기는 분명하지 않다. 출토 청동예기는 세발시루인 언(甗) 2점, 굽그릇인 궤(簋) 3점, 유(卣)와 뢰(罍)와 호(壺) 등의 술통 4점, 기타 4점으로 구성된다. 이들 청동기는 제작시기로 보면 대체로 商代 후기 이후 西周 중기까지 비교적 시간 폭이 상당하다. 마창구 유적 주변에서는 신석기시대 주거지와 재구덩이인 회.. 2018. 3. 8.
중국 요녕성 객좌현喀左縣 산만자유지山灣子遺址 객좌현 현성縣城에서 남쪽으로 약 25㎞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는 청동기 교장窖藏 유적이다. 같은 청동기 교장 유적인 마창구유지馬廠溝遺址에서는 동쪽으로 4㎞ 지점에 있다.이 산만자유적은 중원식中原式 청동기를 매장한 교장으로 대릉하大凌河 동쪽 범람원에서 발견됐다. 교장, 즉, 구덩이는 평면 원형에 직경 약 120㎝에 깊이는 약 90㎝로 보고됐다.이곳 출토 청동기는 모두 22점이니, 사각형 정鼎 1점, 세발솥인 격鬲 1점, 세발시루인 언甗 3점, 유卣와 뢰罍 등의 술통 4점, 술두루미인 준尊 1점, 굽그릇인 궤簋 10점, 기타 1점으로 구성된다.출토 당시 구덩이 속에서 이들 청동기는 무질서한 상태로 발견됐다.출토 청동기 중 제작 연대가 가장 빠른 것은 商代 후기이며 가장 늦은 것은 西周 중기라고 하며 마창구유적.. 2018. 3.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