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844

그 다음은 설명이 없는 한국사 우리나라 역사 설명을 보면 이렇다. 안 그렇다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필자가 보는 한국사의 개략이다. 개항 이전까지 조선의 변화에 대해 설명한다. 물론 자본주의 맹아도 있고, 근대의 여명기 설명도 있다. 조선사회가 어떻게 변해갔는지 설명도 있다. 그러다가 개항기부터 해방 때까지거의 100년 가까운 세월 동안은오로지 식민지 독립운동 이야기만 하다 보니 그 이전까지 설명하던 사회 변화는 어찌 되었는지, 자본주의 맹아는 어찌 되었고 근대의 여명기라더니 그건 그 다음 스토리는 어찌 되었는지설명이 싹 사라지고 오로지 일제의 수탈과 독립운동 이야기만 한다. 그러다 해방이 되니 거의 100년 동안무려 3세대에 걸친 사람들이 도대체 어떻게 살았고한국사회의 변화가 그 동안에는 어떻게 되었는지제대로 설명도 안 하.. 2025. 8. 22.
임병덕 근간 《중국 고대 법제의 기원과 전개》 9월 출간 예정인 『중국 고대 법제의 기원과 전개』에 대한 책 소개 글수호지 진묘 죽간睡虎地秦墓竹簡이 공개된 70년대 후반 이후는 진한사秦漢史 연구는 출토문헌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수호지 진간睡虎地秦簡 이후 장가산 한묘 죽간張家山漢墓竹簡[二四七號墓]·이야 진간里耶秦簡·악록 진간嶽麓秦簡·토자산 한간兔子山漢簡·수호지 77호 한간睡虎地77號漢簡·호가초장 한간胡家草場漢簡·장가산 한묘 죽간張家山漢墓竹簡[三三六號墓] 등이 계속해서 공개되었고.이 책은 이러한 출토법제문서에 기초한 연구성과라 할 수 있다.연대순으로 출토법제문서를 보면, 睡虎地秦簡 → 嶽麓秦簡 → 二年律令 → 兔子山漢簡(漢惠帝) → 睡虎地77號漢簡(漢文帝10년) → 漢文帝13년(B.C.173)의 刑制改革 → 胡家草場漢簡(漢文帝16년)에 해당한다.따라서 .. 2025. 8. 22.
2천년 전 청동제품 제작에 활용했을 법한 중국산 철제품 일본서 출토 21일자 일본 언론들이 전하는 고고학 소식 중에서는 단연 나라 唐古・鍵遺跡이라는 데서 제철 관련 흔적을 발견했다는 내용이 지면을 장식하는지라 이르기를 야요이 시대 대규모 환호環濠 취락으로 알려진 나라현奈良県 다와라모토초田原本町 唐古·鍵[카라코키 정도로 읽을 듯] 유적에서 기원전 1 세기말 내지 기원후 1 세기 무렵 주조한 철도끼[주조철부鋳造鉄斧] 일부가 발견되었다고 당국이 발표했댄다.특이한 점은 이 철제품이 중국제 주조 철도끼 파편을 재가공해서 공구로 재이용한 것이 아닌가 한다는 데 있다고.이 유적이 동탁銅鐸과 같은 청동제품을 생산하던 곳이라는 점에 미뤄 이 재가공 철제품은 청동기를 만들기 위한 공구였을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고. 주조 철도끼는 나라현에서는 처음으로 보고된 것으로, 연대 또한 가장 오래된.. 2025. 8. 22.
고대 DNA가 밝혀낸 오록스의 세계 2024년 10월에 공개된 소식이라, 고대 DNA 연구를 통해 400년 전에 멸종한 거대 야생소 오록스auroch에 관한 궁금증이 많이 풀게 되었다는 요지다.이 연구를 주도한 아일랜드 트리니티 칼리지 더블린 Trinity College Dublin이 당시 그런 연구 성과 탑재와 더불어 직접 작성 phys.org를 통해 배포한 자료를 살핀다. 더블린 트리니티 칼리지 유전학자들이 국제 연구팀과 협력하여 시베리아에서 영국에 이르기까지 5만 년 전 뼈에서 채취한 38개 유전체를 분석하여 가장 상징적인 초기 인류 미술 중심이 된 동물 오록스의 선사 시대를 밝혀냈다. 오록스는 수십만 년 동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를 누볐다. 수많은 동굴 벽에 그림으로 장식된 오록스는 가축화해서 우리에게 근육, 고기, 우유의 풍부.. 2025. 8. 21.
멸종한 거대 소 오록스가 돌아왔다! 역교배로 탄생한 타우록스 덴마크에 방사, 1천300킬로그램 넘어 1627년 사냥에 멸종된 거대 소, 그 조상이 살아나고 있다by Irene Wright현대 소의 거대한 조상이 멸종된 지 수 세기 만에, 덴마크에서 새로운 품종이 야생 서식지 복원을 위해 방생되고 있다. 오록스(학명 Bos primigenius)는 서식지 파괴와 사냥으로 1627년 멸종되기 전까지 수십만 년 동안 산 거대 소 한 종이었다. 원래 유럽, 아시아, 북아프리카에 서식했지만, 현재는 훨씬 작은 가축 후손들만 그곳에 살고 있다.8월 20일 Rewilding Europe에 따르면, 헴펠 재단Hempel Foundation은 이 무시무시한 동물의 부활을 바라며 살아있는 소에서 여전히 발견되는 DNA를 이용하여 오록스와 유사한 동물을 번.. 2025. 8. 21.
거대 초식공룡 기라파티탄은 거대한 꼬리를 이렇게 움직였다 3D 재구성으로 생체역학 구명 베를린 자연사 박물관Museum für Naturkunde Berlin 베로니카 디에스 디아스Verónica Díez Díaz 박사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이 새로운 디지털 3D 복원 기술을 사용해 역사상 가장 큰 공룡 중 하나인 용각류sauropod 기라파티탄 브란카이Giraffatitan brancai가 어떻게 긴 꼬리를 움직였는지를 알아냈다.왕립학회 오픈 사이언스(Royal Society Open Science) 저널에 게재된 이 연구 결과는 기라파티탄 브란카이의 생체역학적 능력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연구진은 자연사 박물관Naturkundemuseum 소장품인 기라파티탄 브란카이의 비교적 완전한 꼬리 표본에 보존된 18개 꼬리뼈와 뼈 아치를 분석했다.지금까지 공룡 꼬.. 2025. 8.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