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76 가는 날이 장날, 암것도 없는 메테오라 현지시간 아침 일곱시 삼십분 그 유명하다는 그리스 메테오라 어제 늦게 들어와서는 하룻밤 밑에서 유숙하고는 지금 그 뒷동산 포인트라는 데를 차로 몰고 와서는 멍때리기를 하는 중이다. 이 멍때리기는 강요된 것이라 내 자발의지랑은 눈꼽만큼도 관계가 없다. 왜? 계속 비가 내리는 데다 그에 따른 짙은 연무에 암것도 진짜로 암것도 뵈는 게 없기 때문이다. 기온도 뚝 떨어져 지금 나는 차에서 히트 켜놓고 논다. 연무가 이 정도인 줄은 몰랐다. 눈에 뵈는 게 없음 실성일 텐데 그냥 허탈하다. 오후엔 베르기나로 다시 두 시간을 북상해야 하는데 이러다 귀신 같은 메테오라만 기억에 남을 것만 같다. 어제 늦게 입성하며 받은 첫 인상은 기암절벽 솟구쳐 기이한 광경 연출하는 이곳이 나한테는 또 다른 장가계였다. 평지로 내려온.. 2024. 11. 12. 파르나소스 연무에 받은 신탁? 놓고 가야 할 것들 북한으로 가면 사정이 달라지지만, 남한에는 해발 2천미터 넘는 산이 없다. 한라산이 그 턱밑까지 추격해 1950미터요, 지리산이 1905미터이며, 넘버 쓰리가 설악산이라 1708미터인가다. 북한을 합쳐 한반도는 산악 국가라 하지만 해발 3천미터가 넘는 산이 없다. 우리는 자꾸 더 높은 산을 찾아 선망하기도 하지만, 해발 천미터만 되어도 그 산은 영험의 징조를 자주 보인다. 델피 유적, 그곳 아폴론신전이 정좌하는 그리스 파르나소스산은 내가 테페를 거쳐 델피로 입성하면서, 또 델피를 탈출해 메테오라로 향하면서 그 산고개들을 넘어면서 절감했지만, 해발 2천400미터라 하지만, 그 펑퍼짐한 부피가 엄청나서 고갯길은 달려도달려도 끝이 없다. 그 봉우리와 기슭에는 시시각각 연무와 구름이 피어오른다. 델피 체류 둘쨋.. 2024. 11. 12. 선진국과 후진국, 그 사이에서 더 특이한 한국 필자가 지금까지 접한 경험을 돌이켜 보면, 대개 후진국 대학 교수들이 내부의 정치적 권력에 욕심이 많다. 그리고 학계의 명성이 평생 업적이 아니라그런 내부 권력의 크기에 따라 좌우되는 건 대개 후진국 대학이다. 물론 대학이라 해서 그런 내부 정치적 권력이 없는 것은 아닌데 오로지 대학 내 정치 권력에 의해 교수 사이에 서열이 결정되는 건 후진국 특징이다. 까 놓고 보면, 학문 업적으로야 어차피너나 내나 내놓을 만한 게 없긴 마찬가지니 그런 것일지도 모르겠다. 한국은 더 특이하다. 교수들이 아예 정계 진출해서 국회의원도 되고 장관도 된다. 이런 현상이 대학에 만연한 나라는 정말 선진국에서도 못 봤고 후진국에서도 못봤다. 한국의 사례는 전 세계적으로 특수한 사례로서 기억될 만하다. 인접국인 일본에서 대학교.. 2024. 11. 12. 바위가 굴러 떨어져 폐쇄한 델피, 하필 내가 가는 시점에? 그렇다면 왜 델피 유적은 절반이 폐쇄되었을까?나한테 개구멍을 알려준 그 영국 출신 거주민이 알려준 내용이다.2주 전이다. 산에서 돌덩이가 굴러 떨어져서 도로를 덮치고 유적을 들이쳤다. (이곳 유적 관리 총책임자가) 관람객 안전과 차량 안전을 위해 폐쇄를 결정했다. 안전진단 전문가들을 불렀다. 어찌 될 지는 모르겠다.이는 이곳 주민 증언이니 책임 있는 자리에 있는 사람한테 내용을 확인해야 했다.개구멍 오라클 촬영을 끝내고서 어제 시간 촉박에 보는둥마는둥한 델피고고학유적 제대로 된 관람을 위해 옮아갔다. 오전 일찍인데다, 날씨까지 꾸물꾸물해 사람도 없다. 매표소 직원들 셋 중 남자는 담배나 뻑뻑 피며, 여직원 둘과 노닥이는 중이었다.놀라운 것은 매표소 중년 여성 반응."하이 굿모닝 아앰 ----멤버, 아이 .. 2024. 11. 12. 개구멍 찾아 들어간 델포이 오라클 그리스 당국은 왜 델피 유적 절반을 폐쇄하고선 꼴랑 한 군데만 문을 열었을까? 아 물론 그 인근 델피고고학박물관은 문을 열었다. 어케든 폐쇄한 오라클 유적 그 문제의 기둥 세 개가 선 그 기념물은 사진이라도 담아야 한단 일념으로 개구멍 찾아 현장으로 뚜벅뚜벅 걸어갔다. 산 중턱을 뚫은 편도 1차선 도로는 한 쪽이 천애 바위절벽이고 그 도로 아래로 오라클은 있었다. 실상 현장은 볼 것 없다. 딴건 담을 것도 없고 그 기둥이 선 원형 제사유적만 찍으면 그만이다. 한데 김나지움은 도로에서 내려다봐도 훤히 내부가 보이는데 저 오라클은 올리브 나무 숲이 다 가려 보이지 않았다. 그 입구는 폐쇄한다는 알림만 있을 뿐 사람이 통과할 만한 구멍은 있었다. 현장은 인기척이 없는 듯해 들어가도 상관없을 것 같아 그 구멍으.. 2024. 11. 12. 흐린 날과 맑은 날, 그 차이가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지금 가야 할 데가 현장 유적 세 군데랑 박물관 한 곳이다. 아침에 나던 해가 들어갔다. 고민한다 현장은 해가 나서 좋고 안나서 좋을 때도 있지만 대체로 전자가 좋다. 그래서 박물관을 먼저 가서 해 날 땔 기다리나마나 고민이다. 단 현장은 지금 가야 북댁이지 않는다. 그리고 박물관은 체력 소진이 크다. 다행인 점은 이곳 델피 델포이 유적이랑 박물관은 다닥다닥 붙어있다는 사실이다. *** 말은 저리했지만 실행은 정반대가 되어 현장 먼저 돌고 박물관을 갔다. 돌아가는 폼새 보니 해가 나긴 글렀고 무엇보다 세차지는 않았지만 비가 계속 왔기 때문이다. 그리스 전역이 오늘 이렇지 않았나 한다. 상황은 현장 판단에 따라 수시로 변동하기 마련이다. 2024. 11. 12. 이전 1 ··· 755 756 757 758 759 760 761 ··· 366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