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75

sns 일기장에서 보는 작년 오늘 꼭 1년 전 오늘이라 해서 일기장 겸한 내 sns 계정에 오른 한 장면이라 직전 나는 31년을 몸담은 연합뉴스와 그 기자직을 박차고 이른바 말만 번지르한 자발 백수 볼런태리 백수가 되었다. 그해 10월 17일자로 저와 같이 되었으니 그만두기로 하면서 바람이나 쐬고와야겠다 해서 집사람도 그런 내가 보기 차마 안됐는지 흔쾌히 오케이하면서 딱 한달하루짜리 로마살기를 시작한 날이 오늘이다. 로마 도착 여장을 풀고 첫날밤을 보내고선 새벽에 걸어서 콜로세움을 돌았더랬으니 그 장면이다. 당시는 지금과는 또 달라서 한달을 로마에 에어비앤비로 아파트 하나를 얻어 그걸 기점으로 천방지축 돌아다녔으니 멀리는 가지 못하고 파리가서 며칠을 지인집에 붙어살기도 했고 몰타가 그리 좋다기에 그에도 다녀오곤 했다. 그 아파트 생활이 .. 2024. 11. 5.
좌충우돌 미스트라스 등반에 개구멍 찾아 들어간 스파르타 하루 답사 아무래도 초행길이 시간 배분에는 어려움이 큰 법이다.그에 더해 그리스가 관광비수기라 해서 섬머타임 해제와 더불어 모든 문화시설(다른 관공서도 마찬가진 줄은 모르겠다)이 11월 들어 세시 반에 문을 닫으니 더 곤혹스럽다.왜 이리 일찍 닫는가 봤더니 이미 다섯시가 되면 해가 지니 그럴 법도 하단 생각은 든다.지금 동선상 아무래도 스파르타는 오늘 아니면 어려울 듯해 결행일로 잡았으니 가늠을 할 수 없었다.아무리 사전조사해 봐야 겪기 전엔 알 수 없는 법이다.관건은 숙소로 잡은 나플리오랑 스파르타 거리였다.대략 105키로 정도가 찍히는데 문제는 한시간 반이 걸린다는 점이었다.호텔 조식이 늦어 8시에 시작이라 팔시반에 출발해도 열시에나 빠듯이 댄다는 결론이었고 실제는 좀 미적미적대다 열시반에야 첫 기착지 미스트라.. 2024. 11. 5.
소위 역사기록화에 대해 일본 웹사이트를 다녀 보면 역사 관련 오래된 그림이 많이 나오는데 사실 그 중에 군담 모노가타리의 에마키 같은 정말 오래된 그림들도 있지만 유심히 보면 사실 더 많은 숫자가 메이지 시대 이후 화가들이 그린 역사화이거나 우키요에 등인 경우이다. 우리는 역사 기록화가 많지 않아 이런 자료가 드문데 60년대 이후 등장한 소위 역사기록화라는 것들이 자주 사용되는 것 같다. 이 그림 중에는 정말 잘 그린 것도 있지만 졸렬할 것도 많아 아쉬운 점이 있다. 이런 그림들은 처음 제작할 때는 별 생각없이 만들어 놔도 그림의 특성상 이리저리 공적으로 이용되는 경우가 많아 한 번 졸렬하게 그려지면 바꾸기가 어려운듯 하다. 기왕에 있는 것을 폐기할 필요야 없겠지만, 이미 한번 그려졌다고 해서 다시는 만들지 않을 것이 아니라 .. 2024. 11. 5.
오록스 이야기 (4) 토착설들을 눌러버린 유전학 동물 사육의 기원은 오래된 문명의 자존심이기도 하다. 과거 동물고고학 기법이 제대로 발전하지 못했을 때에는 좀 오래된 문명이라면 모두 가축 들 중 이런 이런 종류는 우리 나라에서 처음 나왔다는 주장을 많이들 했다. 가축을 처음 사육화하여 전 세계로 퍼져나가게 했다는 것은 일종의 자부심인 셈이다. 때문에 이 삼십년 전만 해도 가축의 기원에 대해서는 이설이 난무했다. 말을 예로 들어보면, 야생말을 포획하여 말 사육을 시작한 것은 남시베리아 일대일지 모르겠지만, 그렇다고 해서 전 세계 말이 모두 거기서 기원한 것은 아니다. 우리 동네도 "독자적"으로 말 사육을 시작했다. 이런 시각으로 접근한 연구들이 많았다는 말이다. 물론 지금은 전 세계 말은 모두 남시베리아 야생마의후손임은 결판이 나버려 거의 이설이 없는데.. 2024. 11. 5.
사진은 역시 몰카가 제맛 사람이 있고 없고가 그리 다르다. 왜 사진기자들이 어거지라도 사람을 쑤셔박는 줄 아는가? 사람이 없음 죽은 장면이기 때문이다. 물론 다른 동물이 투입될 때도 있고 아예 없는 일도 물론 있다. 내 경험칙상 그 현장 사진이 가장 맘에 들 때는 저와 같은 몰카다. 물론 저도 초상권 문제를 걸려면 걸 수도 있겠지만 저 장면 두고 너 날 왜 찍었어 정색할 사람 많지도 않을뿐더러 실제 초상권은 보호하려 했다. 암튼 내가 맘에 드는 내 사진 중 한 것이다. 십수년 전 충주 미륵원사지인가다. 2024. 11. 5.
사자상, 델로스의 마스코트 이 사진은 아마 델로스 유적 현장에 있는 장면을 포착한 듯 한데 현장에 선 것들은 모조리 복제품이며 진품은 그 현장 델로스고고학박물관 안에 쟁여놨다. 완품이 다섯 마리인가이며 두세 마리는 바닥받침돌이나 몸뚱아리 일부가 남았다. 이를 소개하기를 대리석 사자라 하는 논급이 있지마는 내가 관찰한 바는 화강암이었다. 이쪽에 화강암이 나는지 몹시도 궁금터라. 혹 내가 오판했을 수도 있다. 본래는 9마리가 있었다 한다. 이를 그 소재지를 따서 지금은 델로스 섬의 사자 테라스 Terrace of Lions in Delos island(기원전 7세기)라 일컫으며 델로스 유적의 마스코트가 되었다. 기원전 7세기 작품으로 본다. 이들은 모두 아르테미스와 함께 아폴로가 태어난 곳(레토 출신)인 신성한 호수 Sacred la.. 2024. 11.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