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재와 함께한 나날들

보존과학을 진단한다 (2) 주연으로 서야 하는 보존과학[1]

by taeshik.kim 2023. 10. 9.
반응형

앞선 글에서 나는 이른바 보존과학으로 통칭하는 문화재학 자역과학이 처한 상황을 이른바 정통 문화재학 범주로 취급하는 고고학이니 하는 분야를 빛내게 하는 데코레이션에 지나지 않는다는 말을 했거니와(맨 뒤에 첨부하는 글 참조),

그를 이어 그렇다면 보존과학이라 통칭하는 문화재학 관여 자연과학 문제는 없는가? 이 대목을 점검한다. 

나아가 이번 글은 앞선 신동훈 선생 글, 곧 

 
고고학에 드리는 고언 (6): 아웃소싱

고고학에 드리는 고언 (6): 아웃소싱

*** Editor's Note *** 필자가 이 글을 통해 주창하는 요지는 고고학은 자연과학과 접목없이는 성립할 수 없다는 것이며 실제 외국 주요 대학 고고학과 교수진 구성 혹은 전공을 봐도 실상 고고학은

historylibrary.net

 

그에 대한 김태식의 보완이라는 측면도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일화 하나를 들겠다. 
 
(1) 신동훈 선생 고고학 관여 초창기 시절 

신동훈 선생은 자연과학도로, 더 범위를 좁히면 의학도로 고고학에 입문할 당시에는 단국대 의대 교수였으며, 이후 모교인 서울대의대, 곧 서울대병원으로 전직한 의사다.

주된 전공은 해부학이지만, 이 해부학이라는 학문은 신 교수 말을 들으면 그 교보재는 이미 오백년 전에 나온 그것이랑 변화가 없다 하는데, 뭐 그렇다고 사람 뼈나 내장이 500년 전과 지금이 달라졌겠는가?

바로 저런 학문 특성 때문인지, 자연히 관련 분야이기는 하지만, 새로운 연구분야 개척에 나서게 되는데, 그가 착목한 것이 고인류학 고병리학이었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고고학 현장에 발을 디뎌야 했다. 왜인가? 그 연구재료가 되는 자료는 고고학 현장에서 나오는 까닭이었다. 
 

신동훈 교수가 2006년 경남 하동에서 발견된 조선시대 어떤 여성의 미라를 해포解布하고 조사 중이다. 조사 결과 이 여인은 임신 중에 사망했으며, 심각한 수준의 기생충에 감염된 것으로 드러났다. 2014.5.5

 
당시 가끔 조선시대 미라가 출현해 언론의 각광을 받기도 했지만, 아주 간헐에 지나지 않았으며, 그것이 본격 학문으로 정립하지는 않았으니, 이것이 내가 생각하기에는 신 교수로서는 행운이었다 보는데, 의학 쪽에서도 이 분야를 전문으로 개척한 선구자가 없었다. 

다만, 내가 오늘부터 미라 혹은 인골을 기초로 해서 의학사를 하겠다고 선언한다 해서 곧바로 연구가 나오겠는가?

그 자신 표현을 빌리자면 그 초창기에 5년 간 명함을 들고 다니며 조사단에 돌렸는데, 연구의뢰가 전연 없었다고 한다.

내가 이 사정을 조금이라도 아는 까닭은 그가 고고학 현장에 침투하는 통로 중 하나가 나였기 때문이다.

다른 통로로 많이 뚫었겠지만, 내가 집중적으로 이런저런 조사기관 혹은 고고학도들 선을 놓았으니, 일부러 인골이 나왔다는 발굴현장에 신 교수를 모시고 가기도 했다. 
 

아래턱뼈 골절로 사망에 이른 것으로 추정되는 400년 전 조선시대 남성 미라. 서울대 법의학연구소 신동훈 교수팀이 2007년 11월9일, 강원 강릉시 주문진읍 향호1리 강릉최씨 진사공 휘호파 7세조인 최경선(崔景璿.1561~1622) 묘에서 수습한 미라를 조사하는 과정. 2010.10.6

 
아무튼 초창기에 고생께나 했는데, 이것도 시간이 지나면서 사정이 달라져 나중에는 들어오는 인골을 주체하기 힘든 시대로 접어들었으니 격세지감이라 할 만하다.

그 과정에서 출산 과정에서 사망한 하동 여성미라인가는 해포 과정 전체를 하루종일 지켜보다 내가 죽는 줄 알았다. 
 
아무래도 이 얘기는 길어질 듯해서 일단 예서 끊는다. 
 
 
*** previous article ***

 
보존과학을 진단한다 (1) 시녀 도구로 삼은 고고학

보존과학을 진단한다 (1) 시녀 도구로 삼은 고고학

이른바 문화재학 혹은 유산학을 받침하는 학문 분파로 보존과학이 있으니 다시 그 보존과학은 여러 갈래라 헐고 망가진 문화재를 새삐구삐로 만들기도 하는가 하면 여러 고고미술자료를 분석

historylibrary.net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