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런저런

어느 구색 맞추기 기뤠기의 반항 사건

by taeshik.kim 2020. 9. 26.
반응형

1. 사례 하나

그날도 난 기뤠기라고, 맨 마지막 발표 시간에 떡 하니 갖다 놨다.

어느 지자체 관련 고고학 관련 학술대회였다.

발표 기다리다 신경질 졸라 났다.

보니 청중석을 채운 사람들은 지역민들이었다.


 

어느 학술대회장서 기다리다 열불나서. 이때 토론좌장이 최병현 선생이었다. 이 영감님이 단상에 앉은 나를 물경 한 시간 넘게 꿔다논 보릿자루로 만들어 화가 머리 끝까지 솟았다. 뇐네가 토론 좌장을 맡으면 자주 벌어지는 일이다. 좌장이 말이 많아지면 토론은 망친다.

 



마이크 잡자마자 쏟아부었다.

"어르신들...죄송하지만, 지금까지 발표 알아들으셨어요? 저 사람들이 무슨 말 하는지 알아들으셨어요?"

다들 고개를 끄덕이는데 개중 어떤 사람은 "옳소. 지들 말만 지끼여" 하기에 내가 빙그레 웃으면서

"저는 저런 헛소린 안합니다!"


 

 



2. 사례 둘

발표 끝나고 토론회가 시작됐다. 풍납토성 관련 학술대회였는데, 풍납토성 하는데 날 빼기가 그래선지 또 날 집어넣었다.

역시나 발표순서는 맨꼬바리였다.

사회자도 고고학 전공자, 발표자도 날 제외하고는 전부 고고학 아니면 백제사 전공자였다.

지들끼리 열라 한시간 동안 주고받더라.
보니 청중 상당수가 풍납토성 주민들이었다.

내 순서가 왔다.

마이크 잡자마자 그랬다.


 

백두족

 



"지겨워 죽는 줄 알았네 씨불. 누군 고고학 백제사 몰라서 안지끼는 줄 알아? 풍납토성 주민 여러분, 여러분은 문화재 때문에 못살겠다고 생각하죠? 문화재는 여러분 땜에 못 살겠다 그래요."

순간 청중석이 난리가 났다. 김태식 저 새끼 죽여야 한다고 난리가 났다.

그날 학술대회 주인공은 김태식이었다.

(2019. 9. 23)

 

 

*** 

 

이런 항변이 마침내 먹혀들기 시작한 듯, 다음달 모 학술대회는 날더러 기조강연만 하고 집에 가란다.

그래서 같은 주장은 계속 되풀이해야 한다. 



*** related articles ***

 

구색맞추기, 언제나 꼬바리

어떤 학술대회는 기자 혹은 언론인을 발표자 목록에 찡가주기도 한다. 이런 학술대회는 예외없이 턱징이 있다. 언론인 발표는 언제나 맨 꼬바리라, 도망도 못 간다. 끼워주기 찡가주기 병폐라 ��

historylibrary.net

 

 

학술대회는 청중이 왕이다

나는 학술대회나 강연회를 가면 언제나 청중을 보며, 청중이 어떤 사람들인지를 파악한다. 내 발표는 언제나 이 청중 기준에서 준비하고 말한다. 그것이 교감이라 생각하는 까닭이다. 학부모라�

historylibrary.net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