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노년의 연구

위대한 한군현 시대의 한국인들 (1)

by 신동훈 識 2025. 11. 14.
반응형
이른바 강단사학에서 보는 한군현과 고구려 삼한

 
해방 이후 한국사를 수놓은 이야기 중 하나가 

지금도 이건 뭐  시비가 있다고 생각하지만, 

한군현 문제다. 

20세기 초반에 식민지시대를 거친 우리 한국인들은

한국사 모두에 머리 꼭대기부터 자리잡은 한군현 시대를

원수 보듯 했다. 

물론 우리나라에 나의 인종이 들어와 주인 노릇을 한 것은

당연히 기분 나쁜 일이지만, 

한군현을 보는 시각에 일제시대를 보는 우리의 감정이 섞여 있지 않았다고 할 수 없겠다. 

한군현을 해체하고자 하는 시도는 크게 몇 가지로 이루어졌는데, 

첫째는 한군현 보다 위에 놓은 고조선을 기록보다 훨신 크게 위치시켜 놓는 것이다. 
 

이른바 강단사학에서 보는 한군현

 
사실 유물로 보나 기록으로 보나 고조선은

존재는 확실하지만 그 후의 한군현 시기에 비하면 그 족적이 그에 못 미치는 것 역시 사실이다. 

이를 크게 부풀려 아예 고조선을 대제국으로 만드는 시각까지 나왔고

고조선은 지금도 한군현을 부정하는 가장 유효한 툴의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것이다. 

다음은 한군현의 실체를 축소하거나 아예 한국인과 무관하게 만드는 것이다. 

이것은 뭐 하도 그동안 이야기가 많았으니 구체적으로 더 쓰지 않는다. 

필자가 여기서 하고자 하는 이야기는 한군현이 대동강이냐 요서냐 하는 그런 문제도 아니고, 

또 한군현이 있었네 없었네 무역치소였네 식민정부였네 하는 그런 이야기가 아니다. 

그럼 무엇인가? 더 써 본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