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철제 조리기구가 나오기전 찐 곡물

by 초야잠필 2023. 11. 10.
반응형

철제 조리기구가 보편화하기 전 찐 곡물은 현미를 쪄서 시식해 본 소감을 말하자면, 

30분 정도 찌면 익지 않는 곡물이 없었을 것이다. 

그런데 곡물이 익긴 익는데, 찰기가 떨어진다.

뜸들이는 과정에서 막대한 양의 수분이 곡물 안으로 들어가야 하는데 이 과정이 없다 보니 익기는 하되 기름진 밥과는 거리가 있다는 이야기다. 

따지고 보면 오늘날 쓰는 전기밥통도 밥이 뜸드는 과정에서 증기의 유출을 막고 마지막까지 이를 잡아주는 것이 요체이고, 

무쇠솥이라는 것도 결국 그 무거운 뚜껑이 마지막 뜸 들일 때 증기를 잡아주는 것이라는 것을 생각한다면, 

곡물을 익혀 먹되 뜸 들이지 않고 먹는다는 것은 입안에서 거친 느낌은 어느 정도 감수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일본에서는 이를 강반이라고 불렀고, 

뜸들인 밥을 弱飯(ひめ)または姫飯(ひめいい), 즉 약반이라거나 공주님밥이라고 불렀다는 것이다. 

흔히 우리는 학생식당이나 군대밥처럼 찐밥은 쌀알을 구분 못할 정도로 떡이 되서 나오는 밥을 연상하기 쉬운데, 

이런 찐밥은 요즘처럼 취사때 수분을 날라가지 않고 확실히 잡아두는 상태에서 찔 때 나오는 밥이고, 

실제 일반적인 보통 찜기를 가지고 밥을 쪄 보면 우리가 아는 찐밥과는 다른 형태의 밥이 만들어진다. 

앞으로 시간 날 때마다 조밥, 피밥, 수수밥, 보리밥도 쪄서 해 먹어 보겠다. 

아마 이런 형태의 밥이 금속기 취사기구가 나오기 전, 다시 말해 철제 솥이 보편화하기 전 가장 많이 하던 방식의 밥 만드는 법이었을 것이다. 

P.S.1) 소화는 확실히 잘 안 된다. 
 

가지와 함께 쪄낸 현미 찐밥의 비주얼은 이렇다. 3시간 정도 불리고 30분 정도 쪄낸것인데 곡물은 완전히 익는다. 다만 한톨 한톨이 완전히 따로 논다. 군대나 학생식당에서 먹는 찐밥과는 식감이 완전히 다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