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동의수세보원 목활자본 두 쪽을 골랐다.
이에서만 用자가 8군데 쓰였다. 하나씩 본다.







살펴보니 새김이 다 다르다. 어떻게 이해하면 좋을까.
보통 조선시대 목활자본을 보면 필체가 크게 다르지 않다.
동일 자본字本으로 각刻을 하거나, 한 사람이 쓴 뒤 각수刻手가 각을 하였음을 알 수 있다.
앞 사진처럼 같은 글자가 자체가 다른 것은 조판을 위한 목활자를 여러 곳에서 조달하여 사용했기 때문으로 판단한다.
저 책을 찍은 시점이 1901년 광무 5년 시절인데, 한지 종이질이 좋지않은 것과 활자가 다 다른 것을 보면, 인쇄의 수요가 생각보다 많았음을 추정해 볼 수 있을 듯 하다.
***
이상은 본래는 구석기 돌뺑이 전공이나 일찌감치 한국과학기술사 전반으로 보폭을 확장한 국립대전과학관 윤용현 박사과장 선생 글인데 전재하며 편집과 문투를 내 맘대로 손질했다.
원의는 단 한 군데도 손대지 않았다.
필자는 8군데 사용됐다 했지만 노안으로 하나는 빼묵고 고작 일곱개밖에 소개하지 않았다.
반응형
'역사문화 이모저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두환 아들이 만든 책은 다 좋다, 무굴제국의 경우 (1) | 2022.07.14 |
---|---|
공중에 대롱대롱 매달려 현판 글씨 쓰다 백발이 된 중장仲將 위탄韋誕 (0) | 2022.07.10 |
아마존강 무색케 하는 메콩강, 300킬로그램짜리 가오리도 토해 내고 (1) | 2022.06.22 |
이종철 선생이 증언한 70년대 한국-덴마크 문화교류사 한 단면 (1) | 2022.06.21 |
[경주 꺾다리 이채경 남기고 싶은 이야기] 낭산이 사적이 된 사연 (1) | 2022.06.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