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탐험가의 개밥 페미칸

by 초야잠필 2022. 11. 2.
반응형

아래 탐험가의 밥에 대해 조금 더 써본다.

스콧과 아문젠의 탐험식량에 대해 이야기 하자면,

스콧은 앞서 말한대로 "문명의 생활", 영국인 답게 영국식 식생활을 최소한 누릴 수 있게 준비했다. 따라서 통조림 위주로 후식으로 홍차까지 마실수 있게 준비한 것이다.

굳이 따지자면 요즘 미군 전투식량 말고, 예전의 씨레이션을 떠올리면 될 것 같다. 80년대 미군 씨레이션은 1인분을 따면, 그 안에 통조림과 담배, 커피까지 들어 있었다.

스콧은 그렇게 준비해서 남극으로 향한 것이다.

20세기 미군의 야전식량을 생각해 보면 당시로서는 그렇게 잘못된 선택이라고는 할 수 없겠지만, 스콧은 남극을 너무 몰랐다.

미군 C레이션. 지금 전투식량은 이것과 달라졌다. 나이드신분들은 아마 옛날에 먹어본 기억들이 있으실것이다. 스콧은 어마어마하게 호화로운 식량을 준비한것 같지만 사실 당시로서는 상식수준으로 이 씨레이션과 비슷한 모양으로 식량을 준비했다고 보면될듯하다. 문제는 이런 준비도 무게가 많이 나가는것이었고 생존을 위해서는 더 무게를 줄이고 고칼로리식을 눈치안보고 챙겼어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그렇게 했던 아문젠은 살아 남았다.


반면에 아문젠은 예전 북서항로를 개척할때 북극 극지에 고립된 적이 있는데 이때 현지 에스키모로 부터 배운 극지 식량을 도입하여 먹었다.

그 중 유명한 것이 페미칸. 고기를 썰어서 지방하고 범벅을 만들어 굳히면 아래 사진에서 보는것 같은 개밥 같은 덩어리가 완성된다.



고칼로리 고단백 식량이다. 문제는 개밥이 아니라 사람이 먹는 것이라는것이 문제겠지만, 그냥은 절대로 먹을 만한 것이 못된다고 한다.

당장 돼지고기를 돼지비게하고 잘 섞어서 굳힌 다음 그걸 식사 때 생으로 먹는다고 생각해 보자. 고역일 것이다. 아문젠은 이걸 식량으로 썼다.

영국이 대항해기에 전 세계를 배를 타고 누빈 것도 평소에 개밥이나 다름 없는 음식을 먹는데 익숙했기 때문이라는 우스갯소리도 있다.

사실 배에 건빵과 물을 주식으로 싣고 약간의 부식과 함께 전 세계를 누비라고 하면 유럽사람 중에서는 영국인이 제일 적격일 것 같기도 하다.

Ship's biscuit. 대항해시대의 탐험가들은 듣기에는 폼나지만 그들이 먹을 수 있는 것은 이런 딱딱한 건빵의 조상 (씹으면 이가 부서질 지경이었다고 한다) 과 물, 그리고 약간의 부식이 전부였다. 탐험은 열악한 식량과 동의어이다.



*** 편집자注 ***

필자가 페미칸이라 적은 음식은 pemican 이라 현행 외래어 표기법에 의하면 페미컨 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