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긴 주둥이 악어 화석이 바다 악어의 아프리카 기원을 밝히다
by 만수라 대학교 척추동물 고생물학 센터Mansoura University Vertebrate Paleontology Center (MUVP)

카르가 오아시스Kharga Oasis 건조한 평원 위로 붉은 사암과 녹색 셰일이 솟아 있는 이집트 서부 사막에서 고생물학자들은 악어 진화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근본적으로 바꿔놓을 화석을 발견했다.
린네 학회 동물학 저널Zoolog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에 게재된 이 새로운 발견은 이집트 고생물학자 팀이 주도했다.
새롭게 발견된 종인 와디수쿠스 카사비Wadisuchus kassabi는 약 8천만 년 전에 살았으며, 현재 디로사우루스과Dyrosauridae에서 가장 오래된 종으로 알려졌다.
디로사우루스과는 현대의 친척들과는 현저히 달랐다.
오늘날 악어와는 달리, 디로사우루스류는 해안과 해양 환경에서 번성했으며, 길쭉한 주둥이와 가늘고 바늘처럼 날카로운 이빨을 지녀 물고기나 거북이처럼 미끄러운 먹이를 잡기에 적합했다.
공룡 멸종 이후 이들의 놀라운 생존과 분산은 지구 생태계 붕괴 당시 파충류가 어떻게 적응하고 다양화되었는지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와디수쿠스 카사비Wadisuchus kassabi라는 학명은 이집트의 지형과 유산을 결합한 것이다.
와디Wadi[아랍어로 "계곡"을 뜻하는 "وادي")는 이 악어가 발견된 신계곡New Valley 이름을 따서 지어졌고, 수쿠스Suchus는 고대 악어 신 소베크Sobek 이름을 따서 지었다.
이 종은 또한 이집트 고생물학 분야에서 새로운 세대에게 영감을 불어넣고 있는 아흐메드 카사브Ahmed Kassab 교수(아시우트 대학교Assiut University)를 기리는 의미도 담고 있다.
만수라Mansoura 대학교 이집트 척추동물 고생물학자이자 이 연구 수석 저자인 헤샴 살람Hesham Sallam 교수는 "와디수쿠스 카사비 화석은 이집트 서부 사막의 카르가Kharga와 바리스Baris 오아시스 근처에서 발굴되었다. 화석에는 두 개 부분 두개골과 두 개 주둥이 끝이 포함되며, 이는 서로 다른 성장 단계에 있던 네 개체 모습을 보여주며, 디로사우루스류 발달 과정에 대한 귀중한 통찰력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살람 교수는 "고해상도 CT 스캔과 3D 표면 모델을 통해 전례 없는 해부학적 세부 정보를 밝혀낼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아시우트Assiut 대학교 조교수이자 MUVP 살람 연구실 팀원이자 본 연구 주저자 사라 세이버Sara Saber는 "와디수쿠스 카사비는 3.5~4미터 길이 악어와 비슷한 파충류로, 매우 긴 주둥이와 크고 날카로운 이빨이 있었다"고 말했다.
"와디수쿠스 카사비는 다른 디로사우루스류와 달리, 원시적인 다섯 개가 아닌 주둥이 앞쪽에 네 개 이빨이 있었고, 표면 호흡을 위해 주둥이 위쪽에 콧구멍이 위치했으며, 턱이 만나는 주둥이 끝부분에는 깊은 홈이 있었습니다. 이러한 특징은 디로사우루스류 물기dyrosaurid bite에서 점진적으로 적응했음을 보여주며, 진화 역사에서 중요한 단계를 나타냅니다."
세이버는 "와디수쿠스의 독특한 특징 외에도, 이 종은 디로사우루스과의 기원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새로운 종은 디로사우루스과의 아프리카 기원설을 반박하며, 이들의 분화가 기존에 생각한 것보다 더 이른 시기, 즉 전통적으로 추정한 마스트리흐트기Maastrichtian (약 7,200만~6,600만 년 전)가 아닌 초기 코니아시아-산토니아기Coniacian–Santonian(약 8,700만~8,300만 년 전)에 시작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덧붙였다.
오하이오 대학교 박사과정생이자 살람 연구실 회원이며, MUVP 화석 파충류 및 조류 큐레이터이면서 벤하 대학교 교수인 벨랄 살렘은 "이 발견은 아프리카가 디로사우루스과 진화의 발상지였으며, 이후 계통이 전 세계로 퍼져 나갔음을 시사하며, 우리의 계통발생학적 분석은 와디수쿠스를 디로사우루스과의 조상으로 일관되게 제시한다"고 말했다.
살렘은 계속해서 "와디수쿠스의 중요성은 이 놀라운 악어 무리의 진화 역사를 밝혀주는 것뿐만 아니라(물론 그것도 큰 업적이긴 하지만) 이집트 서부 사막이 여전히 우리 지구의 먼 과거의 비밀을 간직한 보물을 간직하고 있다는 사실을 상기시켜준다는 데 있다."
"우리의 사명은 이 화석들을 발굴하는 것뿐만 아니라, 화석이 풍부한 유적지를 도시 확장과 농업 침식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입니다. 이 유적지들은 미래 세대의 이집트인들에게 물려줄 유산입니다."
More information: An early dyrosaurid (Wadisuchus kassabi gen. et sp. nov.) from the Campanian of Egypt sheds light on the origin and biogeography of Dyrosauridae, Zoolog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2025). DOI: 10.1093/zoolinnean/zlaf134
Journal information: Zoolog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Provided by Mansoura University Vertebrate Paleontology Center (MUVP)
'NEWS & THES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외래종이라 해서 박멸 시작한 멕시코 클라리온 섬 이구아나, 알고 보니 아메리카 대륙 인간 등장보다 훨씬 빠른 토착종! (0) | 2025.10.28 |
|---|---|
| 꿀벌계의 쿠테다, 그들은 왜 자주 여왕벌을 몰아낼까 (0) | 2025.10.28 |
| 초기 인류까지 괴롭혔다는 납중독, 얼마나 신뢰할 만한가 (0) | 2025.10.28 |
| 선사 시대 인류는 농경 훨씬 이전에 '유럽'을 만들었다 (0) | 2025.10.28 |
| 자연과의 조화? 웃기는 소리, 가축 공격한 캘리포니아 늑대 결국 안락사 (0) | 2025.10.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