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다산학12

읽어보지도 않고 칭찬하는 다산 다산에 대한 평론서 태반은 재대로 읽어보지도 않았거나 읽어 봐도 다산이 쓴 책만 보고 쓴 내용이 태반이다. 쉽게 말해서 다산이 한 주장이 유학사 전체 줄기에서 얼마나 다른 것인지, 구체적으로 다산이 뭐라고 했는지도 제대로 모르면서 쓴 글이 태반이라는 소리다. 다산에 대한 평가는 바닥부터 다시 해야 한다. 2023. 1. 14.
논어고금주論語古今註와 여전론閭田論 앞에서 쓴 바와 같이 필자는 《논어집주論語集註》를 읽을 때 《논어고금주》를 같이 놓고 읽는 방식으로 통독한 바 있다. 《논어고금주》에는 《논어집주》의 주자朱子 주註에 없는 내용이 많이 실려 있다. 제목 그대로 고금주古今註, 여러 사람의 주를 다 모아 놓은 것이라 주자집주集註보다는 내용이 풍부하다. 정다산의 논어고금주를 보면 흥미로운 부분이, 소위 말하는 한당漢唐의 주석가들이 달아 놓은 주석에는 자유로이 자신의 생각을 펴고 반박하는데 주자 주에는 거의 이설을 내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다산이 주자 주장을 논파하고 새로운 자신의 경학을 펴려고 헀다면 이를 위해 반박의 여지가 있는 주자의 주가 논어에는 수두룩하므로 여기서 주자의 주장에 거의 이설을 달지 않았다는 이야기는 다른 경학이라는 것도 사실 비슷할 것이.. 2022. 12. 6.
조선후기 실학사에 묻는다 소위 조선후기 실학파 중 중농학파 토지개혁론 중에 실제로 실현될 만한 게 뭐가 있는가? 죄다 유교 경전 정전법에 기초하여 중국의 인민공사 내지는 북한 집단농장 같은 것을 만들자는 주장 뿐인데 이것을 정말 "근대의 징후"라고 생각하는 것인가? 만약 그렇다고 생각한다면, 나는 이런 "중농학파"를 근대의 선구로 보는 사람들의 "근대화"라는 실체를 의심할 수밖에 없다. 쉽게 말해서 조선시대 중농학파 주장을 따라간다면 그 최종 종착역은 지금 북한 정권과 같은 사회 아니겠는가? 조선후기 실학파, 특히 중농학파는 "근대의 선구"가 아니다. 이걸 근대의 선구라고 보는 데서 우리나라 조선 후기의 모든 역사 서술은 꼬이기 시작한다. 특히 다산의 토지개혁론은 말이 좋아 개혁이지 인민공사를 만들자는 것인데, 중국 인민공사와 .. 2022. 12. 4.
생평 다산과 함께한 죽부 이지형 다산학 연구에 평생 바친 이지형 성균관대 명예교수 별세 송고시간 2020-12-22 09:20 임동근 기자 www.yna.co.kr/view/AKR20201222040100005?section=search 다산학 연구에 평생 바친 이지형 성균관대 명예교수 별세 | 연합뉴스 다산학 연구에 평생 바친 이지형 성균관대 명예교수 별세, 임동근기자, 문화뉴스 (송고시간 2020-12-22 09:20) www.yna.co.kr 요샌 나 또한 재택을 원칙을 하면서 오후에 출근하는 패턴을 삼곤 하거니와, 근자 한류전문 홈페이지 K-odyssey를 개장하면서는 그 운영에 온통 신경통이 가는 바람에 밤늦게까지 이거 관리하느라 녹초가 되거니와, 그런 까닭에 대개 아침은 늦잠을 잘 수밖에 없다. 어젯밤 늦게, 휴대폰으로 이메.. 2020. 12. 22.
다산에 올인한 박석무 선생, 흠흠신서까지 개정하고 "흠흠신서는 공정한 재판 위한 책…오늘날 법조인도 봐야"송고시간 | 2019-11-20 06:20박석무 이사장, 이강욱 위원과 20년만에 번역서 개정판 출간 나는 다산 띄우기를 찬성하지 아니한다. 다산에다가 오늘을 투영하고, 더구나 그의 18년에 달한다는 강진 유배생활을 핍박받는 지식인을 투영하는 일도 찬동치 아니한다. 다산이 개혁가라는 주장도 동의하지 아니한다. 그와 더불어 정조가 짝짜꿍이었고, 그들이 꿈꾼 나라는 혁신의 나라고 위대한 나라였다는 말도 결코 따르지 아니한다. 정약용을 우리가 아는 그 정약용으로 만든 일등 공신은 누가 뭐라 해도 박석무 선생이다. 참말로 박학다식한 분이며, 선생이 나를 무척이나 아낀다는 것도 안다. 그런 선생이 다산을 저와 같이 말하고 자리매김한다 해서, 나와 생각이 다른.. 2019. 11. 20.
다산은 당파주의로 환원해서 읽어야 한다 July 23, 2015 at 1:04 AM에 '다산학의 문제'라는 제목으로 SNS에 게재한 글을 약간 손본다. 내가 일전에 임진왜란을 무대로 하는 드라마나 영화가 각본으로 삼는 절대 근거가 류성룡의 《징비록懲毖錄》과 이순신의 《난중일기亂中日記》 두 가지라 했거니와, 이에서 비롯하는 가장 큰 문제는 이들 두 저술이 철저히 당파성에 뿌리를 박는다는 점이다. 그러니 이를 토대로 하는 드라마 영화는 철저히 류성룡과 이순신을 절대善으로 그리며, 정치상에서 이들과 반대편에 위치한 사람들에 대해서는 덮어놓고 악인의 화신처럼 그리기 마련이다.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1762~1835)....이 문제에서도 이와 똑같은 문제가 빈발한다. 다산을 주인공으로 내세운 모든 드라마나 책, 심지어 학술서적이라는 것도 볼짝시면 열에.. 2019. 7.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