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화재반환32 청와대불상, 환지본처還至本處를 입에 달고 사는 조계종의 자가당착 대한불교조계종 본산 서울 종로구 조계사 경내에는 조계종단 헤드쿼터가 있고, 거기에 불교중앙박물관이라는 데가 있다. 2022년 5월 현재 이곳에서는 환지본처還至本處를 앞세운 특별전이 열리는 중이다. 환지본처란 무엇인가? 본처한테 돌아가야 한다는 뜻이다. 본처란 무엇인가? 있어야 할 자리라는 뜻이다. 불교경전에도 보이는 이 구절을 조계종은 항용 성보문화재, 곧 불교와 관련한 문화유산이 유리걸식하는 신세에 분통하면서 그것이 마뜩히 있어야 할 곳으로 가야 한다는 구호로 쓰곤 하는데, 불법 반출한 불교 성보문화재를 돌려받아야 하는 금과옥조처럼 사용한다. 불교문화재는 여타 다른 문화재와 마찬가지로 극심한 도굴 피해를 봤다. 그래 그 옛날 돈에 눈이 먼 주지가 팔아먹은 것도 있고, 도둑님들이 강탈한 것도 있다. 설혹.. 2022. 5. 26. 신이 된 손오공 원숭이 하누만 Hanuman, 미국 구경하고 인도로 귀환하다 500년된 힌두신상, 도난 10년 만에 인도로 반환 김영현 / 2022-02-24 12:45:17 (뉴델리=연합뉴스) 김영현 특파원 = 약 500년 전에 제작된 힌두신상이 도난당한 지 10년 만에 인도로 돌아온다. G 키샨 레디 인도 문화부 장관은 23일 오후(현지시간)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타밀나두 사원에서 도난당한 500년 된 하누만신 동상이 인도로 반환된다"고 밝혔다. 레디 장관은 "이 신상은 미국 국토안보부에 의해 확보됐으며 호주 주재 인도대사관에 전달됐다"고 덧붙였다. 500년된 힌두신상, 도난 10년 만에 인도로 반환 (뉴델리=연합뉴스) 김영현 특파원 = 약 500년 전에 제작된 힌두신상이 도난당한 지 10년 만에 인도로 돌아온다.G 키샨 레디 인도 문화부 장관은 23일 오후(현지시간) 자신.. 2022. 2. 25. 적도 아프리카서 중남미로, 다시 남태평양으로 번진 문화재 반환 약속이나 한 듯이 과거 제국주의와 침략전쟁이 판치던 시절 고향에서 강제 유리流離한 문화유산들이 본래 고향을 찾아갔다는 소식이 그 집중 피해지역인 아프리카와 중남미에서 날아들었으니, 이런 문화재반환 움직임에 우리 또한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으니 이런 운동은 음으로 양으로 상호영향을 주고받기 마련인 까닭이라 우리도 걸핏하면 해외로 반출된 우리 문화재를 돌려받았다느니 하는 선전과 홍보가 요란하거니와 근자에서만 해도 90년대에 어느 문중 원로가 보관 중이다가 자최도 없이 사라진 조선시대 어느 문중 묘지명이 미국 쪽인가에서 발견돼 본국으로 귀환했다. 그런 작업에 국가기관에서 결정적인 공로를 세웠다 하는 이런 보도자료가 배포되었으니 말이다. 개중 아래 소식이 있으니 베냉, 프랑스에 약탈됐다 130년만에 되찾은 .. 2022. 2. 22. 호주가 반환한다는 인도 문화재 호주국립미술관, 문화재 14점 인도에 반환…"최소 6점은 도난품" 2021-07-31 11:16:32 호주국립미술관, 문화재 14점 인도에 반환…"최소 6점은 도난품" (뉴델리=연합뉴스) 김영현 특파원 = 호주국립미술관이 도난품 등 문화재 14점을 인도에 반환하기로 했다고 영국 BBC뉴스 등 외신이 30일 보도했다.호주국립미술관은 이들 문화재 중 최소 6점 이상 k-odyssey.com 여러 이유로 국경을 탈출한 문화재 동향은 우리도 언제나 주목하는 문제이거니와, 이번에 들려오는 소식에 의하면 호주로 반출되어 그곳 호주국립미술관 National Gallery of Australia 이 소장 중인 불법반출문화재를 포함한 인도 문화재 14점이 인도에 반환된다고 한다. 해당 반환 예정 문화재 중 최소 6점이 .. 2021. 7. 31.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귀환 기념 학술세미나(2021. 5. 28. 13:30~18:00) 비대면이며 유튜브 녹화로 공개될 예정이다.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귀환 기념 학술세미나 2021년 5월 28일 (금) 13:30 - 18:00 원주시 유튜브 공개 주최 원주시박물관 주관 Ghil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문헌과 문물 후원 원주시 사회 : 박준범(서울문화유산연구원) 개회 및 축사 우리 안의 약탈문화재를 생각한다 김태식 | 연합뉴스 돌에 새긴 아름다움의 극치, 지광국사현묘탑과 탑비 이서현 | 용인시청 나말여초 조사당과 지광국사 조사당의 위치 김 선 | 불교문화재연구소 문화유산의 장소적 진정성 - 사례를 중심으로 허윤희 | 조선일보 원주 법천사지 활용 방향 김재홍 | 한국문화유산연구센터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및 탑비 보존관리를 위한 기초연구 고주환 | 한국문.. 2021. 5. 14. [도로 찾은 칼리굴라 모자이크화] (2) "어머 이거 그건데?" 웅성이는 보석가게 "어머, 이거 헬렌 집에 있는 그거 아냐?" "맞네 바로 그거네? 이게 그거였어? 어머나" 책 좀 팔아볼 요량으로 강연회가 끝나고는 영문판 자기 책 《Porphyry》에 직접 사인하느라 열중하는 다리오 델 부팔로 Dario Del Bufalo 귓가로 이런 대화가 저쪽에서 들려왔다. 처음엔 대수롭지 않게 흘려버렸지만 살피니 친필 사인한 본인 책을 막 산 이 지역 돈께나 있는 상류층 아줌마 둘이서 자기 책을 펼쳐놓고는 그에 수록한 유물 사진을 보고 나누는 대화 아닌가? 그네들이 펼치고 놀란 표정을 짓는 사진을 보니 1955년에 촬영된 사진 속 모습을 마지막으로 영영 사라진 그 모자이크화였다. 대리석과 포퍼리를 이용해 바닥재를 삼고는 그 위에다가 각종 기하학 문양 화려한 모자이크화를 수놓은 너비 1.5제곱미터.. 2021. 3. 15. 이전 1 2 3 4 5 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