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AI고고학4 초기인류 호모 하빌리스는 사냥꾼이 아니라 사냥감이었다. AI가 표범 먹이였음을 밝히다 by Paul Arnold, Phys.org 새로운 연구가 초기 인류 역사 일부를 다시 쓰게 될지도 모른다.오랫동안 최초의 진정한 인류로 여겨지는 호모 하빌리스가 포식자-피식자 관계에 대한 판도를 뒤집은 종으로 여겨졌다.그러나 이전 고고학적 발견에 대한 최근 분석에 따르면, 호모 하빌리스Homo habilis는 사냥꾼보다 더 많이 사냥당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우리가 한때 생각한 것처럼 지배적인 종이 아니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를 조사하기 위해 스페인 알칼라Alcalá 대학교 연구진은 인공지능과 컴퓨터 비전을 사용하여 두 개 호모 하빌리스 화석에 있는 작은 이빨 자국을 분석했다.이 고대 유물들은 탄자니아 올두바이 협곡Olduvai Gorge에서 발견되었으며, 그 연대는 약 200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 2025. 9. 24. 거란 진국공주묘 도면, AI를 고고학에 응용한 일례 이것이 중국사회과학원 홈피에서 제공하는 거란 遼나라 시대 진국공주陳國公主와 그의 남편을 합장한 무덤 단면도와 평면도라, 물론 발굴보고서를 보면 더 좋은 도판을 얻겠지만, 웹에서 제공하는 꼴을 저래서 도면 상태도, 해상도도 형편없다. 바쁜 시간에 언제 보고서 일일이 찾아 캡처하거나 스캔하겠는가? 저걸 AI 증폭기로 돌려봤다. 이렇게 나온다. 웬간한 거지 같은 도면만 있어도 AI 이용하면 저리 깨끗한 도면을 얻는다. 다음 같은 진국공주 부부묘 저 중에 이실耳室이라 해서 저쪽 툭 튀어나온 열쇄 구멍 모양 하나를 본다. 사회과학원 제공 도판이 이 꼬라지다. 이 놈들도 문제다. 저걸 어찌 사용하란 말인가? 저걸 AI로 증폭해 봤다. 이렇다. 같은 진국공주묘 투시도다. 일본 쪽 어느 홈페이지에 보이는 것인데, 이것.. 2024. 2. 21. 살아 남으려면 AI에 익숙해져야 한다. 현재 AI는 특정 분야의 경우 상당히 전문적인 논의가 가능한 수준 (인간과의 대담, 회의보다도 빠르고, 정확하고 유용할 수 있다)이라 본다. 연구자로서 살아 남으려면 현 단계에서는 우선 AI에 익숙해지는 것이 중요하다. 단순히 검색을 시키거나 여러 명령을 내리거나 하는 수준을 넘어 "대화"가 가능한 수준이라고 본다. 아래에 필자와 현재 화제가 된 AI와의 대화를 잠깐 소개해 본다. 신동훈 how can we use AI for university lab? There are many ways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AI) can be used in a university lab. Here are a few examples: Data analysis: AI can be used.. 2023. 2. 22. 고고학 발굴보고서는 AI 데이터셋 발굴 결과 보고서 하나 하나가 모두 데이터셋이 되고 이 데이터셋 수십만개를 AI가 일거에 분석하여 데이터를 창출하는 시대. 그런 시대가 곧 온다. 2023. 2. 1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