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0065

근랑(近郞) 생몰년 미상. 진평왕 무렵 이찬에 있던 대일(大日)이라는 고관의 아들로 화랑으로 다음 사료로 볼 때 화랑 무리를 이끌었다고 추정된다. 삼국사기 권 제48 (열전 제8) 검군 열전 : 검군(劍君)은 대사(大舍) 구문(仇文)의 아들로 사량궁(沙梁宮)의 사인(舍人)이 되었다. 건복(建福) 44년 정해(진평왕 49: 627) 가을 8월에 서리가 내려 여러 농작물을 말려 죽였으므로 다음 해의 봄으로부터 여름까지 큰 기근이 들어 백성들이 자식을 팔아 끼니를 메웠다. 이때 궁중의 여러 사인(舍人)들이 함께 모의하여 창예창(唱倉)의 곡식을 훔쳐 나누었는데 검군만이 홀로 받지 않았다. 여러 사인들이 말하기를 “뭇 사람이 모두 받았는데 그대만이 홀로 물리치니 어떤 이유에서인가? 만약 양이 적다고 여긴다면 청컨대 더 주겠다.. 2018. 4. 6.
대일(大日) 생몰년 미상. 신라 진평왕 무렵 이찬을 지냈으며 그 아들이 화랑 근랑(近郞)이었다.삼국사기 권 제48(열전 제8) 검군 열전 : 검군(劍君)은 대사(大舍) 구문(仇文)의 아들로 사량궁(沙梁宮)의 사인(舍人)이 되었다. 건복(建福) 44년 정해(진평왕 49: 627) 가을 8월에 서리가 내려 여러 농작물을 말려 죽였으므로 다음 해의 봄으로부터 여름까지 큰 기근이 들어 백성들이 자식을 팔아 끼니를 메웠다. 이때 궁중의 여러 사인(舍人)들이 함께 모의하여 창예창(唱倉)의 곡식을 훔쳐 나누었는데 검군만이 홀로 받지 않았다. 여러 사인들이 말하기를 “뭇 사람이 모두 받았는데 그대만이 홀로 물리치니 어떤 이유에서인가? 만약 양이 적다고 여긴다면 청컨대 더 주겠다!” 하였다. 검군이 웃으면서 말하기를 “나는 근랑(近.. 2018. 4. 6.
해미류왕(解味留王) 해동고승전 권 제1 : ☞ 2018. 4. 6.
순도(順道) 생몰년 미상. 중국 전진(前秦)의 불교 승려로 그 왕 부견(符堅)에 의해 소수림왕(小獸林王) 재위 2년(372)에 고구려에 파견돼 포교활동을 전개했다.삼국사기 권제18 고구려본기 제6) 소수림왕 : 2년(372) 여름 6월에 진(秦)나라 왕 부견(堅)이 사신과 중 순도(順道)를 파견하여 불상과 경문(經文)을 보내왔다. 왕은 사신을 보내 답례하고 토산물을 바쳤다. 대학(大學)을 세우고 자제들을 교육시켰다.해동고승전 권 제1 :삼국유사 제3권 흥법 제3 순도조려(順道肇麗) : 에 이렇게 말했다. "소수림왕(小獸林王)이 즉위한 2년 임신(壬申; 372)은 곧 동진(東晉) 함안(咸安) 2년이며, 효무제(孝武帝)가 즉위한 해이다. 전진(前秦)의 부견(符堅)이 사신과 중 순도(順道)를 시켜서 불상(佛像)과 경문(經.. 2018. 4. 6.
마라난타(摩羅難陀) 생몰년 미상. 중국 진(晉) 왕조에서 침류왕 시대 백제로 파견돼 불교 포교 활동을 벌인 승려로 호승(胡僧)이라 한 점으로 보아 중국 본토 출신이 아니라 예컨대 서역이나 인도 출신임을 알 수 있다. 백제 불교의 시작이다. 삼국사기 백제본기 2 침류왕 즉위년(384) : 가을 7월에 사신을 진(晉)나라에 보내 조공하였다. 9월에 호승(胡僧) 마라난타(摩羅難陀)가 진나라에서 왔다. 왕이 그를 맞이하여 궁궐 안으로 모셔 예우하고 공경하니, 불교가 이로부터 시작되었다.해동고승전 권 제1 :삼국유사 권3 흥법 3 난타벽제(難陁闢濟) : 에 이렇게 말했다. “제15대 (《해동고승전((海東高僧傳)》에 14대라 한 것은 잘못이다.) 침류왕(枕流王)이 즉위한 갑신(甲申·384·동진 효무제孝武帝 태원太元 9년)에 호승(胡僧.. 2018. 4. 6.
아도(阿道) - 고구려 불교 전진(前秦)의 부견(符堅)이 고구려 소수림왕에게 보낸 불교 승려로, 이불란사(伊弗蘭寺)에 주석했다. 삼국사기 권 제18( 고구려본기 제6) 소수림왕 : 4년(374)에 중 아도(阿道)가 왔다…5년(375) 봄 2월에 처음으로 초문사(肖門寺)를 세우고 [그곳에] 순도를 두었다. 또 이불란사(伊弗蘭寺)를 세우고 [그곳에] 아도(阿道)를 두었다. 이것이 우리나라 불교의 시작이다. 삼국유사 제3권 흥법(興法) 제3 순도조려(順道肇麗) : 도공(道公) 다음에 또한 법심(法深), 의연(義淵), 담엄(曇嚴)의 무리가 서로 이어 불교를 일으켰으나 고전(古傳)에는 기록이 없으므로 감히 그 사실을 순서에 넣어 편찬하지 못한다. 자세한 것은 《해동고승전(海東高僧傳)》에 있다. 고구려본기(高句麗本記)에 이렇게 말했다. "소수.. 2018. 4. 6.
염촉(厭觸) ☞박염촉(朴厭觸) 2018. 4. 6.
망명(亡名) 해동고승전 권 제1 : 2018. 4. 6.
의연(義淵) 해동고승전 권 제1 : 2018. 4. 6.
왕고덕(王高德) 고구려 평원왕(平原王) 때(559~590) 재상. 불교, 특히 대승에 깊은 신심으로 불교를 전국으로 펴고자 했다. 海東高僧傳 卷第1 釋義淵傳 : 이때 고구려 대승상 왕고덕이 바른 믿음을 품고 대승을 존중해 불교 바람을 해곡海曲에 까지 펴고자 했다. 하지만 그 시말과 연유를 알 수가 없다. 2018. 4. 6.
담시(曇始) 해동고승전 권 제1 : 2018. 4. 6.
백족(白足) 해동고승전 권 제1 : 2018. 4. 6.
개토왕(開土王) 해동고승전 권 제1 : ☞광개토왕(廣開土王) 2018. 4. 6.
피류(避流) 해동고승전 권 제1 : 2018. 4. 6.
은조(恩祖) 해동고승전 권 제1 : 2018. 4. 6.
흑호자(黑胡子) 해동고승전 권 제1 : ☞묵호자(墨胡子) 2018. 4. 6.
현창(玄彰) 해동고승전 권 제1 : 2018. 4. 6.
아도(阿道) - 화상(和尙) 신라에 처음으로 불교를 전했다고 하는 고구려 출신 승려. 하지만 그 활동시기와 내력에는 혼란이 적지 않다. 신라 제21대 비처왕(毗處王) 시대에 시자(侍者) 셋을 데리고 일선군에 들어와 포교활동을 했다는 기록이 있는가 하면, 미추왕 시대에 신라에 왔다는 설도 있다. 출생과 관련해서는 서천축(西天竺) 사람이라고도 하고, 오(吳)나라 출신이라는 이설도 있다. 아도비(我道碑)에는 고구려 여인 고도녕(高道寧)이 조위(曹魏) 사람 아굴마(我堀摩)가 고구려에 사신으로 왔을 때 관계해 낳은 아들이라 했다. 삼국사기 권 제4 신라본기 제4 법흥왕 : 15년(528) 불교를 처음으로 시행하였다. 일찍이 눌지왕 때 승려 묵호자(墨胡子)가 고구려로부터 일선군(一善郡)에 왔는데, 그 고을 사람 모례(毛禮)가 자기 집 안에 굴.. 2018. 4. 6.
멸구자(滅垢疵) 해동고승전 권 제1 : 2018. 4. 6.
원종왕(原宗王) 신라 제23대 법흥왕 본명이 원종(原宗)이라 이를 따서 붙인 호칭 중 하나다. 해동고승 권1 : ☞법흥왕(法興王) 2018. 4. 6.
공목(工目) 생몰년 미상. 신라인. 제23대 법흥왕 때 주된 활동을 보였다고 생각되는데 불교를 공인 포교하려는 법흥왕에 맞서 그것을 반대하는 신료들을 대표하는 인물인 듯하다. 다른 행적은 자세하지 않다. 삼국유사 제3권 흥법 제3 원종흥법(原宗興法) 염촉멸신(厭髑滅身) : [원종이 불법을 일으킨 것은 눌지왕(訥祗王) 시대부터 100여 년 뒤의 일이다.] 신라본기(新羅本記)에 이르기를 “법흥대왕(法興大王)이 왕위에 오른 지 14년에 하급 신하인 이차돈(異次頓)이 불법을 위하여 자기 몸을 죽였다”고 했으니, 곧 소량(蕭梁) 보통(普通) 8년 정미(527)로 서천축(西天竺) 달마(達摩)가 금릉(金陵)에 온 해다. 이해에 낭지법사(朗智法師)도 처음으로 영취산(靈鷲山)에 머물면서 불법을 열었으니, 원화(元和) 연간(806~8.. 2018. 4.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