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漢詩 & 漢文&漢文法556

시냇가에서 음미하는 가을 한시, 계절의 노래(189) 시냇가에서(溪上) [宋] 대복고(戴復古) / 김영문 選譯評 작은 누각 산뜻하게맑은 시내 마주한 곳 산들산들 서풍은저녁연기 쓸어가네 벽옥 물과 밝은 노을서로 함께 비춰주니 가을빛은 온전히석양 하늘에 모였네 小樓蕭灑面晴川, 嫋嫋西風掃暮煙. 碧水明霞兩相照, 秋光全在夕陽天. 다른 계절보다 가을 노을이 더 붉고 찬란한 까닭은 가을에 붉게 물들여야 할 것이 많기 때문이다. 온 산천을 수놓는 단풍잎의 붉은색이 어디서 오겠는가? 저 저녁노을이 없으면 단풍이 물들지 못한다. 지금쯤 한창 무르익는 밤, 대추 빛깔도 거의 노을 물감에서 채색을 얻어온다. 특히 저녁 무렵 곱게 빛나는 주황색 감을 바라보면 알알이 스며든 노을빛에 황홀감이 느껴질 정도다. 억새 춤추는 산비탈 능금밭에는 반짝이는 능금 .. 2018. 10. 2.
가을 오니 추위는 몇번이나? 한시, 계절의 노래(188) 가을날 감흥(秋日遣興) 둘째 [宋] 손응시(孫應時) / 김영문 選譯評 올해 더위 지독함은다른 해와 달랐음에 이제 추풍 불어오니마음이 상쾌하네 평생 아직 추위 더위여러 번 겪어야 할 터 내 삶은 무슨 일로계기를 못 따르나 今年炎毒異他年, 及此秋風意灑然. 身世還須几寒暑, 吾生何事不隨緣. 가고 옮, 맞고 보냄, 추위와 더위, 비움과 채움, 초하루와 보름, 보름과 그믐 등등...... 『주역(周易)』이 말하는 원리가 오묘하다 해도 여기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하지만 이처럼 자연스럽고 쉬운 이치조차 체득하기 어렵다. 사람의 생각은 늘 편벽으로 흐르기 때문이다. 예순 가까운 인생을 돌아보면 수많은 인연과 계기가 있었다. 혹독한 더위와 추위 속에서 고통을 겪기도 했고, 봄바람과 가을바람 속.. 2018. 10. 2.
잠삼岑參 <봉입경사逢入京使> 서울로 들어가는 사절을 만나逢入京使 [唐] 잠삼(岑參) 故園東望路漫漫 동쪽 고향 바라보니 길은 아득하고 雙袖龍鐘淚不乾 양 소매 적시며 하염없이 눈물짓네馬上相逢無紙筆 말 탄 채 만났으니 종이도 붓도 없어憑君傳語報平安 그대가 말로 전해주시게 평안하다고 중당中唐의 변새시變塞詩를 대표하는 잠삼의 명작으로 꼽히거니와, 《全唐詩》 卷201이 저록著錄했다. 제목을 풀면 입경入京, 곧 서울로 들어가는 사절[使]을 만나서라는 뜻이거니와, 使란 전후문맥으로 보아 안서도호부에 들른 천자의 사절일 듯하다. 아니면, 반대로 도호부에서 서울로 보내는 사절일 수도 있지만, 아무래도 전자의 가능성이 큰 듯하다. 고원故園이란 고향을 말하거니와, 잠삼의 다른 시들을 보면, 당시 서울 장안長安을 지칭한다. 만만漫漫이란 길이 멀게 펼쳐진 .. 2018. 10. 2.
잠삼(岑參) <하서에서 진중 그리워(河西春暮憶秦中)> 먼 타향에서 고향 그리워하며 중국 문학에서는 이른바 변새시(變塞詩)라 해서, 머나먼 서역 변방 전선에 투입되어 그곳 생활을 토대로 이런저런 일상과 풍광과 심정을 노래한 영역을 개척한 잠삼(岑參)이란 인물이 남긴 시 중에 하서춘모억진중(河西春暮憶秦中)이라는 제목을 단 작품이 있다. 우선 제목을 풀면 하서(河西)와 진중(秦中)은 지명이니, 하서란 주로 돈황 서쪽 서역을 말함이요, 진중이란 당시 서울 장안 일대를 지칭한다. 모회(暮憶)란 글자 그대로는 사모하며 기억한다는 뜻이거니와, 사무치며 생각한다는 정도로 보아 대과가 없다. 춘(春)이라 했으니, 이 노래 읊을 시기는 봄임을 알겠다. 아마도 꽃피는 봄이 오니, 고향 생각이 더욱 간절했나 보다. 잠삼은 고향을 알 수는 없지만, 이 시로 보아 장안 일대 어딘가.. 2018. 10. 2.
잠삼(岑參) 연보 이하는 서성 선생 글을 옮긴 것이다. 잠삼(岑參, 715-769)은 형주(荊州) 강릉(江陵) 사람으로 군망(郡望)은 남양(南陽)이다. 증조 잠문본(岑文本), 백조(伯祖) 잠장천(岑長倩), 백부(伯父) 잠희(岑羲)가 모두 재상을 지냈고, 부친 잠식(岑植)은 진주자사(晉州刺史)를 지냈다. 744년(30세) 과거에 급제하여 우내솔부(右內率府) 병조참군(兵曹參軍)이 된 후, 749년 안서절도사 고선지 막부의 장서기(掌書記)가 되어 서역에 종군하였다. 751년 장안으로 돌아와 시인들과 친교를 맺으면서 다음해에 두보, 고적, 저광희, 설거 등과 자은사탑에 오르며 시를 주고받기도 하였다. 754년 대리평사(大理評事), 감찰어사(監察御使)를 역임한 후, 안서북정절도판관(安西北庭節度判官)이 되어 두 번째 종군(從軍)하였.. 2018. 10. 2.
[唐] 잠삼(岑參) <백설가로 전송하며(白雪歌送武判官歸京)> 白雪歌送武判官歸京(백설가송무판관귀경)백설가로 서울로 돌아가는 무판관을 전송하며 [唐] 잠삼(岑參·715-770) 北風捲地白草折(북풍권지백초절) 북쪽 바람 몰아치니 흰풀이 꺾이고 胡天八月卽飛雪(호천팔월즉비설) 오랑캐 하늘엔 팔월에도 눈나리네忽如一夜春風來(홀여일야춘풍래) 문득 하룻밤새 봄바람 불어와 千樹萬樹梨花開(천수만수리화개) 천만 그루 배꽃 피운듯 散入珠簾濕羅幕(산입주렴습라막) 어지러이 주렴에 들어 장막 적시니 狐裘不煖錦衾薄(호구불난금금박) 갖옷도 따뜻하지 않고 비단이불도 얇네.將軍角弓不得控(장군각궁불득공) 장군은 각궁 얼어 당길 수도 없고 都護鐵衣冷難着(도호철의냉난착) 도호는 쇠갑옷 차가워 입지도 못하네瀚海闌干百丈氷(한해란간백장빙) 사막엔 이리저리 백길 얼음 펼쳐지고愁雲慘淡萬里凝(수운참담만리응) 수심어.. 2018. 10.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