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화재현장2109 추사고택, 장가 잘가 불하받은 아빠찬스, 그리고 그것을 관통하는 그랜드디자인 충남 예산 추사고택을 다음위성지도에 얹어보면 이렇다. 유의할 점은 전체 건물군 배치는 남향을 지향하되 동서축을 형성한다는 대목이다. 매표소와 화순옹주 홍문이라 표시된 오른쪽 중간이 전체 대문이라 그 방향이 동쪽인 까닭에 이 고택은 남대문이 없고 동대문으로 대문을 삼았다. 그 대문을 들어서면 앞마당에 ㄱ자 모양 사랑채가 나타나고 그것을 지나면 ㅁ자형 안채가 자리한다. 건물채 맨왼쪽 상단에 남북방향으로 길게 자리잡은 작은 건물이 사당이다. 건물군 중심인 사랑채와 안채는 동서방향으로 배치되었지만 남향이다. 이것과는 달리 남북 장축인 사당은 동향이다. 이 모형은 동쪽에서 서쪽 방향을 향한다. 동대문과 사랑채 안채 그리고 오른쪽 상단 귀퉁이 사당이 동향한다. 이 그림 역시 같은 동쪽에서 서쪽을 향한 시점이다. 오.. 2021. 6. 7. 빌렌도르프 비너스, 구석기시대의 비만클리닉 10.8 x 5.4 x 4.0 cm Die Venus von Willendorf 이라 일컫는 대략 2만3천년 전 구석기시대 돌조각이다. 영어로는 The Venus of Willendorf 이라 하니 위키피디인 관련 항목에선 높이를 11.1 cm 이라 하는데 이번에 한국에 오는 과정에서 영점이미리미터를 까먹었는지 규격을 저와 같이 적는다. 혹 같은 지역 다른 석조각인가 모르겠다. 국립중앙박물관이 마련한 구석기 특별전에 선보였으니 재료는 석회암이라 무른 돌이라 새기기는 쉽다. 살피니 난닝구 같은 웃옷을 양쪽 젖 위까지 말아올린 모습이라 애초 배꼽티였는지는 모르겠다. 저 시대 미적 감각을 알기는 어려울 것이니 저런 모습을 비너스라 했으니 훗날 탄생한 비너스가 지금도 살아남아 저꼴을 본다면 내 몸매 어디가 저외.. 2021. 5. 26. Reliquary Set Offered by Yi Seonggye, the founder of Joseon dynasty Treasure 1925 Reliquaries Excavated from Geumgangsan Mountain Offered by Yi Seong-gye Classification Treasure 1925 Name of Cultural Properties Reliquaries Excavated from Geumgangsan Mountain Offered by Yi Seong-gye Quantity 10 items Designated Date 2017.01.02 Age King Gongyang of Goryeo Period Address Yongsan-gu, Seoul These sarira reliquaries, offered to the Buddha by Yi Seong-gye (1335-1408) a.. 2021. 5. 26. 다시 찾은 노원 이윤탁 한글 영비靈碑 느닷없었다. 카톡메시지로 어디냐 퉁명스레 물었더니 서울 어디랜다. 잉? 넌 요새 매니저한테 보고도 없이 감히 서울을 들락거리냐 블라블라 하니 이런저런 곡절로 상경했다 하므로 밥은 먹여 보내야겠기에 급히 소환했다가 내친 김에 과학계 또 다른 기인奇人 백두성이나 보러 가자 해서 휑하니 그가 관장으로 있는 노원천문우주관으로 행차했더랬다. 주말이니 관장은 없을 것이므로 우주관이나 구경하잔 심산이었으니 그래 왔는데 기별은 아니할 수 없어 연락을 넣었더니 근무하는 날이라 해서 그의 안내로 우주관 구경을 잘했다. (이 탐방은 여송씨가 따로 정리할 것이므로 略한다.) 그 코앞에 북서울미술관이 있어 그에 들렸다가 이 근방에 서울시립과학관이 있고 또 그 코옆에 이윤탁 한글 영비靈碑라는 조선시대 전기 한글 무덤 비석이 있어.. 2021. 5. 22. 황윤석의 잡식성과 자찬연보 이재난고에 포함되는지 아닌지는 자신이 없지만 되는 걸로 기억한다. 암튼 이 양반 관심은 오지랖을 방불해 관심을 안 둔 데가 없다. 다기茶器까지 그림으로 정리했으니 말이다. 이건 각종 척尺이라 해서 자다. 그걸 일일이 그림으로 그려 실제 크기를 비교했다. 이건 이제 자찬 연보다. 이것이 전연 지금까진 전모가 공개되지 않고 있는데 조만간 분석에 들어간다. 이 연보가 제대로 해제 번역되어야 이재난고는 베일을 벗는다. 2021. 5. 20. 300t 크레인으로 옮긴 90t 고인돌 어랏? 위치가 바뀌었다. 지금은 고창고인돌박물관 정문 중앙지점에 갖다 놨다. 이전엔 그 인근 대략 백미터 정도 떨어진 유적 진입로 입구 대로변이었다. 이 큰 돌덩이를 어케 옮겼느냐니 고창군청 담당자 말이 가관이다. "돈으로 안되는 게 있간디요?" 삼백톤짜리 크레인을 동원해 옮겼단다. 이 계산리 고인돌에 대한 안내판 설명은 다음과 같다. Gyesan-ri Dolmen 鷄山里支石墓 이 고인돌은 2003년 농촌 용수 개발 사업을 위해 발굴 ·조사한 다음 학전리에 이전 복원하였다. 그 후 고창 고인돌의 다양성과 우수성을 널리 알리기 위해 2010년 4월에 고인돌박물관으로 이전하였으며, 형식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초대형급 바둑판식 고인돌이다. (무게 90톤, 길이 6.5m, 너비 3.5m, 두께 3.4m) Thi.. 2021. 5. 18. 이전 1 ··· 190 191 192 193 194 195 196 ··· 35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