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미라 이야기389 두개골을 판 고대 페루 외과시술? Paracas skull with a gold leaf implant, The skull, belonging to a man, shows evidence of trepanation, a procedure where the skull was deliberately pierced. 고대 페루에서는 금박을 박은 파라카스Paracas 두개골이 발견되면서 그 시대 의학 한 단면을 엿보게 한다. 이 남성 두개골은 두개골을 의도적으로 뚫은 천공술(trepanation) 흔적을 보여준다. 이마 왼쪽에는 뚜렷한 천공술 부위가 있는데, 별 모양 곤봉에 맞아 생긴 것으로 추정되는 외상 흔적도 보인다. 이러한 형태 손상은 당시 사용된 기술과 도구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아래 상세하게 논했다. https://heriwor.. 2025. 4. 11. [마왕퇴와 그 이웃-109] 운몽대택 (6) -가의賈誼 가의賈誼(기원전 200~기원전 168)라는 사람이 있다. 지금도 이름이 알려져 있지만 전통시대에는 매우 높게 평가받던 사람이다. 사기史記에는 굴원과 함께 《굴원가생열전屈原贾生列传》으로 묶여 있고한서漢書에는 따로 혼자 입전되어 있다. 이 사람의 글이 우리나라에서 얼마나 많이 읽혔냐 하면통감절요에는 한 문제 시대 막대한 분량이 가의의 글에 할애되어 있다. 고문진보에도 두 편이나 글이 후집에 올라 있는데 한유 이전 굴원과 도잠, 제갈량의 글이 각각 2편씩만 고문진보 후집에 들어가 있는 것을 보면가의에 대한 유가의 평가는 매우 높았다고 할 수 있다. 당나라 때 당 태종과 위징의 관계가 직간의 예로 유명하지만 사실 위징의 간언은 짜고 치는 측면이 강했던 반면가의의 시대는 간언을 잘 못했다가는 목이 날아가고 궁형.. 2025. 4. 11. 입에 꽃을 머금은 채 급사하신 6t 시베리아 매머드님 In 1900 hunters found the Beresovka mammoth in permafrost near Siberia's Beresovka River, well-preserved with flowers in its mouth, stomach contents intact, broken hips, and sitting upright. 1900년에 사냥꾼들이 시베리아 베레소프카Beresovka River 강 근처 #영구동토층 permafrost에서 이 #베레소프카_매머드 Beresovka mammoth를 발견했는데, 여전히 꽃이 입에 잘 보존된 상태였고, 위로 삼킨 내용물이 온전하며, 엉덩이가 부러지고 똑바로 앉아 있었다. #러시아과학아카데미 Russian Academy of Sciences 연구.. 2025. 4. 10. [마왕퇴와 그 이웃-108] 운몽대택 (5) 멱라수 굴원이라는 초사에 나오는 중국문학사 굴지의 시인이 있다. 초왕에게 직간하다가 버림받고 떠돌다 멱라수에 몸을 던졌다 하여 왕에게 간하다가 뜻을 이루지 못하고 원모의 시를 읊는다는 클리셰를 만든 인물이다. 유명한 사람이니 더 쓰지는 않겠고, 이 양반이 몸을 던졌다는 강이 멱라수인데 멱라수가 바로 운몽대택과 동정호의 언저리에 있다. 위 지도에서 Miluo라고 표시된 강이 멱라강, 멱라수다. 동정호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동정호의 위쪽으로 우한까지가 지금은 배수가 되어 있지만 과거에는 저 위쪽이 전부 호수와 늪지로 야생동물이 바글바글 하던 곳이라 이해하면 되겠다. 이처럼 습지 위에 떠 있는 형국의 지형은 백고니, 청고니 등 고령토로 관곽을 둘러싼 것과 함께 무덤안을 습하게 만들어 내부의 유물과.. 2025. 4. 10. [마왕퇴와 그 이웃-107] 운몽대택 (4) 농경지로 변한 거대 습지 따라서 우리가 마왕퇴 한묘와 이와 비슷한 시기에 만들어진 다른 한묘, 그리고 시대가 거슬러 올라가서 초나라 무덤에 대한 이해를 하고자 할 때 그 주변에 수많은 호수와 연못이 있고 비만 오면 거대한 습지가 되며 이 습지 안에는 무수히 많은 동물들이 떼를 지어 거주하는 마치 세렝게티 사파리 같은 모습이었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모습이었던 운몽대택이 사라지기 시작한 것은 언제부터였을까? 남북조 시대 이후 화북지역에서 인구가 남하하기 시작하면서부터다. 이 시대가 되면 인구가 급증하여 운몽대택의 늪지는 배수가 시작되고 이는 농경지로 바뀌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마침내 송대가 되면 우리가 알고 있는 이 지역의 모습으로 완전히 바뀌게 된다. 우리가 아는 당나라의 시인들이 당시의 운몽에 대해 남긴 시가 세.. 2025. 4. 10. [마왕퇴와 그 이웃-106] 운몽대택 (3) 주혈흡충증 앞에서 마왕퇴 1호묘 귀부인이 생전에 주혈흡충증이라는 기생충 질환을 앓고 있다는 이야기를 한 바 있었는데, 이 기생충이 양자강 중히류 일대에 지금도 사람들 사이에 많다는 이야기를 했다.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이 기생충 질환은 고인물이 많아 특정 종류 다슬기가 사는 지역에만 발생하는데, 이 지역의 논과 함께 장사 주변에 있던 거대한 운몽대택도 주혈흡충증 발생에 한 몫 했음이 틀림 없다. 2025. 4. 10. 이전 1 2 3 4 5 6 7 ··· 6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