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미라 이야기443 노란 빵모자인 줄 알았는데, 알고 보니 빙하기 다람쥐 겉보기엔 그저 그런 털뭉치지만 놀랍게도 이것은 3만 년 전 지구를 누빈 어떤 생물 잔해다.캐나다 유콘Yukon 준주 클론다이크 금광Klondike gold fields을 캐던 광부들이 발굴한 이것은 빙하기 다람쥐 미라였다!불쌍한 다람쥐.이 소박한 갈색 덩어리는 과학적 정밀 조사를 받기 전까지는 관찰자들을 당황케 했다.알파인 수의학센터Alpine Veterinary Medical Centre 도움을 받아 시행한 엑스레이 검사 결과, 마침내 그 비밀이 드러났다.털 속에 놀랍도록 온전하게 말린 골격이었다.작은 손과 발톱부터 귀와 꼬리까지, 정교한 세부 묘사가 뚜렷해지면서 이 표본은 진짜 정체를 드러냈다. 전문가들은 다람쥐가 깊은 겨울잠을 자는 동안 죽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아마도 생후 첫 해에 죽었을 것으로.. 2025. 6. 8. 러시아 회색늑대 DNA를 품은 아메리카 늑대 새끼 금을 캐는 사람들이 황금을 캐다가 유콘Yukon 얼어붙은 황야에서 작고 온전하며 놀라울 정도로 보존 상태가 좋은 짐승 한 마리를 발견한다.그들이 발굴한 것은 단순한 화석이 아니라 빙하기를 거의 완벽하게 보여주는 사진이었다.5만 7천 년 동안 영원한 잠에 빠져 있던 어린 늑대 새끼였다. 나중에 붙인 그녀의 이름은 주르Zhùr. 트론데크 휘친Tr’ondëk Hwëch’in 부족 언어로 "늑대"를 뜻하는 주르는 생후 7주 만에 운명을 맞이했다.아마도 갑작스러운 동굴 붕괴에 갇혔을 것이다. 하지만 추위 덕분에 털, 이빨, 심지어 섬세한 조직까지도 완벽하게 보존되었다.과학자들에게 이것은 단순한 표본이 아니라 기적이었다.연구진은 동위원소 분석isotope analysis을 통해 주르의 식단이 예상과 다르다는 것을.. 2025. 6. 1. 마오리족의 문신한 얼굴 미라 토이 모코 Toi Moko 19th Century AD Mummified Head (Toi Moko) with Moko Facial Tattoo – Māori Culture, New Zealand 미라화한 뉴질랜드 마오리 문화 두상(토이 모코)과 얼굴 문신어쩌다 마오리 족 미라까지 손을 뻗치게 된다. 하도 미라만 찾아다녔더니 이젠 지들이 이런 게 있다고 안내한다. 암튼 토이 모코Toi moko 또는 모코모카이Mokomokai로 알려진 이 두상은 13세기에서 14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뉴질랜드 토착 문화권인 마오리족Māori people한테서 유래한다.보존된 이 두상에는 전통적인 타 모코 얼굴 문신이 있으며, 19세기 초 머스킷 총 전쟁 Musket Wars 당시 매우 인기 있는 무역품이 되었다.안타깝게도 많은 토이 모코가 고향.. 2025. 5. 19. 아기 안고 죽은 6천 년 전 신석기 여인 "TIME STOOD STILL: 6,000-Year-Old Mother Found Cradling Baby in Oldest Grave Ever Discovered in the Netherlands – A Stone Age Love Story That Defies Millennia!" 아기 품고 죽은 6,000살 어머니6,000년 인류 역사를 관통하는 가슴 저미는 감동을 선사하는 발견이 있다.네덜란드 니우에헤인Nieuwegein에서 발굴한 신석기 시대 무덤에서 30세 여성이 팔 안쪽에 아기를 안고 묻혔다.기원전 4,000년 이후 시간이 멈춘 듯한 모성애를 생생하게 보여주는 이 무덤은 이 지역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아기 무덤이기도 하다.처음에는 특이하게 구부러진 오른팔 때문에 연구원들을 당황하게 했던 .. 2025. 5. 14. 사망 직전 유럽 사방을 뛰어다닌 기원전 14세기 덴마크 엑트베드 소녀 청동기 시대(기원전 2200-850년)에는 유럽 대륙 일부 주민이 이미 여러 지역을 정기적으로 이동하고 있었다.이러한 이동성을 보여주는 주목할 만한 사례가 엑트베드 소녀 Egtved Girl 무덤이다.무덤에 묻힌 유기물은 놀라울 정도로 보존 상태가 양호해 당시 다양한 유럽 공동체 간에 이루어진 교류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처음에는 지역 엘리트 계층 일원으로 여겨진 이 소녀는 실제로는 매장된 지역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성장하여 생애 마지막 2년 동안 최소 2,400km를 이동한 것으로 보인다.생물 분자, 생화학, 지구화학 분석을 통해 덴마크와 슈바르츠발트Black Forest 사이를 오가는 그녀의 여정 중 일부를 재구성할 수 있었다.엑트베드 소녀는 개인적인 차원에서 현대사를 상징하며, 덴마크와 유.. 2025. 5. 11. [마왕퇴와 그 이웃-127] 마왕퇴를 떠나 "그 이웃"으로 떠나며 이제 마왕퇴에 대해서는 충분히 썼고, 필자가 지금까지 쌓아온 전공과 관련해서는 할만큼 이야기한 것 같다. 물론 마왕퇴는 그 성과가 지대막강하여 문물 측면에서도 큰 족적을 남겼다는 것은 주지하는 바다. 필자가 이리 저리 그 대단한 업적들을 요약할수도 있겠지만, 이 작업은 김단장께서 같이 하고 있어 이 작업은 그 손에 남겨둔다. 필자보다는 문화 저널리스트로 평생을 보낸 김단장님 손을 거치는 편이 아마 독자들에게도 더 나을 것이다. 마왕퇴 이야기는 이것이 끝이 아니고, 이 글의 제목 마왕퇴와 그 "이웃"으로 조금 더 이야기를 이어가고자 한다. 앞에도 이야기했지만 마왕퇴 한묘가 발견된 호남성과 그 인접한 호북성 일대에는 마왕퇴 미라와 비슷한 미라가 꽤 발굴되어 박물관에서 조사하였다. 그 내용을 여기 더 쓰면 마.. 2025. 5. 6. 이전 1 2 3 4 5 6 7 ··· 7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