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586 끝이자 시작인 고고기생충학 워크샵 11월 21일 청주박물관에서 개최될 고고기생충학과 화장실고고학 워크샵은끝이자 시작이 되는 행사다. 필자 입장에서는 지난 20년간 작업한 고고기생충 연구의 마무리로서문을 닫는 행사가 될 것이고경희대 홍종하 교수 입장에서는 새로운 시작이 되는 계기가 될 것이다. 흔히 일본의 화장실고고학에 대해 이야기 하면서한국의 관련 연구는 낙후되어 있다는 이야기를 하는데전혀 그렇지 않다. 그 내용을 당일 모두 정리하여 관련 학계에 전해 드리고 필자의 20년간 작업을 마무리 하고자 한다. 2025. 10. 29. 전통 유교사회의 환상: 양천제良賤制 전통유교사회는 환상이 있다. 양천제다. 왕이 있고 그 아래는 양인, 또 그 아래는 천민이 있어 이 세 그룹의 계급제 아래에 천민과 가장 위의 왕을 제외하면 나머지 중간 그룹이 양인을 형성하여 생산과 정치에 종사한다는 생각이다. 실제로 유교 경전을 읽어보면 공자 이래 유교사회 기본 틀은 양천제다. 귀족의 존재를 놓고 당연하게 보는 시각은 없다. 사대부라는 것도 양인에서 파생하여 능력있는 자들이 취재를 통해 관직에 올라 사대부가 되는 것이지 이 자리를 대대로 물려받으며 계급으로 존재하라고 한 유교 경전은 없다는 말이다. 그런데-.이론적으로 그렇다는 이야기지 과연 20세기 이전 양천제라는 것이 가능하기는 했을까. 예를 들어 향촌이 완전히 분해되어 노비를 제외하면 모든 사람이 동등한 양인이어야 양천제라는 것이 .. 2025. 10. 28. 별의 별 정보가 다 남아 있는 과거의 족보 이전에도 썼지만 만약 우리나라에 조선시대 호적이 그대로 지금 남아 있다고 한다면족보 태반은 폐기되어야 할 것이라 했다. 우리나라 17-18세기 호적을 보면지금 통용되는 족보는 절대로 나올 수가 없다. 인구의 50-60퍼센트는 노비라는 것을 호적에서 확인 가능하기 때문이다. 다행스럽게도(!) 호적의 태반은 다 사라져서 우리나라 사람들 태반은 그런 염려가 없어졌다. 우리나라에 지금 조선시대 호적이 남아있는 동네는 몇 안 된다. 그건 그렇고. 호적은 호적이라고 쳐도 족보만 19, 18, 17세기 족보를 따라 올라가도 상당히 족보가 많이 변개되었다는 점을 알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일제시대 이후 우리나라 족보에서 서자의 표기는 더 이상 사라졌지만 19세기 족보만 봐도 서자는 서자라고 그대로 써 놓은 족보들.. 2025. 10. 28. 국립청주박물관 워크샵: 고고기생충학과 화장실고고학 일전에 알려드린 바와 같이 아래와 같이 11월 21일 국립청주박물관에서 "고고기생충학과 화장실고고학" 워크샵을 개최한다. 이번 워크샵에서는 실무 위주로, 시료의 발굴에서 처리, 검경까지 모두 보여드리고 설명해 드릴 계획이다. 현장에서 얻은 시료를 어떻게 분석해야 하는지 알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다. 바야흐로 고고과학의 시대!!많은 분들의 참석을 부탁드린다. 신청하는 방법은 아래 링크를 따라가면 있다. https://cheongju.museum.go.kr/www/selectBbsNttView.do?bbsNo=1&key=482&nttNo=12160 2025년 11월 21일(금)  국립청주박" data-og-host="cheongju.museum.go.kr" data-og-source-url="https://.. 2025. 10. 27. 130년 전 구한말 https://youtu.be/-tfqKouKWsM?si=VVXaczEV2tf-76Jk참 볼 때마다 느끼는 거지만 백 마디 말이 필요 없고 천 권의 역사서적이 필요 없다는 생각이다. 사진 한 장이 가져다 주는 그 강렬함. 진실.https://youtu.be/l7GW0Fr8V24?si=iAvYvPTwtWQ_ouNC 2025. 10. 26. 하재일기를 쓴 구한말 공인 지규식 선생 하재일기荷齋日記의 필자 지규식池圭植 선생은관청에 그릇을 납품하는 공인貢人이었지만 한학漢學에 대해 식견이 있는 분이었다. 일기 곳곳에 한시를 남겨 놓고 바쁜 공무 와중에 과거 시험이 있으면 응시하기도 하는 등공인판 주경야독에 여념이 없던 모습이 일기 곳곳에 보인다. 이 일기에서 이 분이 부인 외 만나던 여성에 대해 관심을 갖고 요즘 글을 쓴 경우도 보는데 일기 전반을 보면 다른 내용도 많은데 왜 하필 여성편력을 이 일기에서 취해 글을 썼을지 모르겠다. 이미 돌아가신지 백년이 넘어 지낸 분이라도 이런 측면의 글은 극히 조심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여성 편력 연구하라고 일기가 공개된 것은 아닐 터이니 말이다. 각설하고,이 분 일기를 보면, 구한말 이미 양반이 지닌 유일한 장기인문자 식견은 그 희소성이 그 당시.. 2025. 10. 25. 이전 1 2 3 4 5 ··· 43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