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218 吾事畢矣를 이야기 할 수 있는 인생 문천상文天祥은 남송의 마지막을 함께 한 세 충신 중 한 명이다. 또 다른 두 명은 마지막 황제와 함께 물에 뛰어든 육수부, 그리고 마지막 한 명은 죽을 때까지 몽골에 저항한 장세걸이다. 문천상은 육수부, 장세걸과 달리 애산전투崖山海战에서 끝이 난 것이 아니라 쿠빌라이에게 끌려가 갖은 회유를 받았다. 이후 무려 오년을 옥에 있다가 마침내 처형당했는데 이때 남긴 말이 "吾事畢矣"라는 한마디다. 필자는 문천상의 절개라던가, 지조를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 세상에 태어난 사람들은 누구나 "吾事"가 있다. 그것이 연구일 수도 있고, 배우일 수도 있고, 또 출판일 수도, 언론일 수도 있다. 문천상에게는 남송의 신하로서 죽는 것이 "吾事"였을 것이다. "吾事"를 이런 강골의 절개에만 국한하여 해석하는 .. 2025. 6. 30. 고사관수도高士觀水圖 동양 삼국 그림 중 많이 나오는 클리셰 소재 중 하나가 한 영감님이 흐르는 물을 물끄러미 보고 있는 장면이다. 우리 유산 중에는 강희안의 고사관수도가 유명하지만 사실 관수도만 아니라 관폭도, 폭포를 그린 그림도 비슷한 모티브로 안다. 이런 그림은 중국과 일본에도 꽤 있다. 일단 흐르는 물이나 폭포를 보는 그림은 모두 비슷한 사상적 배경이 있다고 봐야 할 것이다. 이런 그림들은 평범한 산수화 같고 실제로 그런 뜻으로 해석하는 경우도 많은 것 같지만 필자가 아는 한 고사관수, 혹은 고사관폭도高士觀瀑圖는 맹자의 다음 구절에서 모티브를 따온 것이다.孟子曰:“源泉混混,不舍昼夜,盈科而后进,放手四海。有本者如是,是之取尔。苟为无本,七八月之间雨集,沟浍皆盈;其涸也,可立而待也。故声闻过情,君子耻之。”——《孟子·离娄下》근원이 .. 2025. 6. 30. [연구소식] 목하 진행 중인 Wet Lab 연구 마무리 작업 필자가 지난 20여 년 하는 wet lab 연구는 크게 셋이 있는데 첫째는 다들 아시는 조선시대 미라 연구, 둘째는 고고기생충학 연구셋째는 인더스 문명 주민 연구다. 이 세 가지 모두 현재 마무리 작업을 진행 중인 바 요약해 보면첫째 조선시대 미라 연구는 올해 영국의 출판사 한 곳과 영어권 독자를 위한 영문 개설서를 내기로 계약이 되어 현재 마무리 중이고, 둘째, 인더스 문명 연구는 총 3권의 영문 보고서를 기획하고 있는 바 1권은 이미 나왔고 2, 3권을 현재 작성 중에 있다. 이 역시 영어권 출판사에서 출판될 것이다. 세 번째 고고기생충학 연구의 마무리가 조금 복잡한데, 간단히 쓰면 이렇다. - 우선 현재 이름만 대면 알 만한 영어권 출판사 한 곳과 고고기생충학 관련 서적 계약이 되어 있다. 다른 교.. 2025. 6. 29. [연구소식] 고고기생충학-화장실고고학 워크샵 기획 중 필자가 진행해 온 고고기생충학 연구의 맥을 잇기 위해 경희대 홍종하 교수와 함께 고고기생충학-화장실고고학 워크샵을 올해 하반기 기획 중이다. 지난 20년간 필자와 단국대 서민 교수 등이 함께 작업하여 동아시아 고고기생충학 연구에 대해서는 그 기반을 성공적으로 닦았다고 생각하는 바그 업적은 아래에 요약해 두었다. Archaeoparasitology of East AsiaDong Hoon Shn: MD, PhD, Professor, Dept of Anatomy and Cell Biology/Institute of Forensic and Anthropological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South Koreaarchae.. 2025. 6. 29. 팩트보다 더 중요하다는 식민사학 극복 우리나라 역사에서는 팩트보다 더 중요한 것이 하나 있으니 그것이 바로 식민사학 극복이다. 그렇게 해서 극복이 실제로 되기는 되는건지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다만 아무리 팩트라고 해도 뭔가 한국에 불리하다 싶으면 이야기하면 안 된다는 절체절명의 자기검열의 결과물이 한국사다. 이 판타지에 자기검열을 더한 하이브리드 산물이 뭔가 문제가 있다는 건 파란약 대신 빨간약을 먹은 사람들이 비로소 알게 된다. 학교 수업시간에 배운 조선 후기의 많은 "진실들"이 사실 근거도 뚜렷하지 않고 일차 사료에는 잘 나타나지도 않는 허상이라는 것을 확인하면그것보다 더 한 배신감은 없다. 이 세상에 팩트보다 더 중요한게 뭐가 있겠나. 팩트를 무시하고 적당한 추측과 당위성, 이래야 한다는 의무감과 반강제적 언설로 존재도 하지 않았.. 2025. 6. 29. 평행세계의 조선후기 상품이 출현하고 화폐경제가 향촌까지 침투해가며 자본주의 맹아가 꿈틀대는 조선후기의 이미지는 한국 사학계가 만들어낸 거대한 픽션이다. 그런 거 없다. 이것은 한국사회에 대한 기대를 반영하여이런 것이 있어야 한다는 전제 하에 약간의 근거와 픽션을 범벅하여 만들어 낸 것으로 조선후기의 평행세계-. 지상에는 존재하지 않았으되 어딘가 별개의 세상에는 존재했을 것 같기도 한 이쯤되면 이것은 판타지의 세계이지 이 세상에 그런 조선후기가 실제로 존재했던 적은 없다. 한국근세사는 픽션이다.판타지다. 2025. 6. 28. 이전 1 2 3 4 5 ··· 37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