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245

도화원기의 남상을 이룬 삼국지 동이전 삼국지 동이전을 보면, 진한에 대해 아래와 같이 적어두었다. 辰韓在馬韓之東, 其耆老傳世, 自言古之亡人避秦役 來適韓國, 馬韓割其東界地與之. 有城柵.註 176 其言語不與馬韓同, 名國爲邦, 弓爲弧, 賊爲寇, 行酒爲行觴. 相呼皆爲徒, 有似 秦人校勘 140, 非但燕·齊之名物也. 名樂浪人爲阿殘; 東方人名我爲阿, 錢大昭曰, 後人名我爲俺, 俺卽阿也. 聲之轉耳. 謂樂浪人本其殘餘人. 今有名之爲秦韓者. 局本, 無爲字, 誤. 始有六國, 稍分爲十二國. 范書, 辰韓在東, 十有二國, 其北與濊狛接. 辰韓은 馬韓의 동쪽에 위치하고 있다. [辰韓의] 노인들은 代代로 傳하여 말하기를, “[우리들은] 옛날의 망명인으로 秦나라의 苦役를 피하여 韓國으로 왔는데, 馬韓이 그들의 동쪽 땅을 분할하여 우리에게 주었다.” 고 하였다. 그곳에는 城柵이.. 2024. 6. 30.
봉래각 이야기(5) 벼농사는 어떻게 바다를 건넜는가 한국땅에서 일본으로 도작 농경이 유입된 데 대해서는 그 시기는 논란이 있지만, 들어간 경로는 비교적 명확한 것으로 안다. 이에 반해 한반도의 도작에 대해서는 유입된 경로에 대해 여러 설이 있다. 혹자는 산동반도에서 요동반도로 들어와 서해안을 따라 남하했다고 하며 또 다른 설에서는 산동반도에서 한강유역으로 들어왔다고도 한다. 일부에서는 아예 양자강에서 바다를 건너 한반도 서남부로 들어왔다는 주장도 한다. 필자의 생각으로는 이 중 첫째설이 가장 유력하다. 이유는?우선 산동반도와 요동반도 사이는 섬으로 연결되어 상호거리가 짧으면 십 몇 킬로미터, 멀어봐야 30-40킬로 정도로 맞은편 육지가 보이는 정도다. 두 번째 이유는, 현재까지 보고된 도작 관련 발굴 보고다. 이것이 현재까지 발굴 보고인데, 빨간색이 순수.. 2024. 6. 30.
봉래각 이야기(4) 요동으로 가는 마지막 섬 요즘은 세월이 좋아서 산동반도에서 요동반도로 이어진 장산열도 마지막 섬인北隍城岛라는 곳도 방에 앉아서 볼 수 있다. 여기서 요동반도까지는 불과 수십 리이며 산동반도에서 이 섬까지도 십킬로 미터 남짓한 거리로 섬이 계속 이어져 있다. 최초의 도작민은 이 장산열도를 따라 요동반도 남단으로 진입하여 여기에 도작 흔적을 남기고 동남방으로 남하하여 한반도 서북부로 진입했을 것이다. 뒤쪽 섬은 산동반도 쪽으로 이어지는 섬으로 생각된다. 북쪽 요동반도쪽으로는 더 이상 섬이 없기 때문이다. 봉래각에서 요동반도로 이어지는 장산열도 섬들은 천혜의 자연항이 있었다. 온라인의 사진에서도 잘 볼 수 있다. 중국 쪽 소개에 아름답다는 이야기가 많이 나오는 것을 보면 관광지로도 꽤 인기가 있는 모양이다. 이런 섬들이 이어져 요동반.. 2024. 6. 30.
봉래각 이야기(3) 도래인을 직시해야 한국사도 보인다 필자가 느닷없이 가보지도 않은 봉래각 이야기를 적은 이유는 간단하다. 한국사는 외부로부터 들어온 도래인을 부정하기 힘든 역사다. 청동기시대부터 역사시대가 본격적으로 개막할 때까지 끊임없이 외부로부터 문화의 유입이 확인되기 때문이다. 청동기문화도 중국 황하문명과 다르다는 것이지 그것도 한반도에서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농사도 그렇다. 잡곡, 도작 모두 외부 기원이다. 한반도로 들어온 사람들의 시기가 문제일 뿐이지 도래인을 부정해서는 역사 자체가 성립이 안 된다는 뜻이다. 일본사를 보면-. 나름 열심히 치밀하게 역사를 쓰려 하는 그네들이 항상 꼬이는 부분을 보면 도래인과 도래문화가 있다. 뻔한 내용을 감추려고, 적당히 덧칠을 하려고 하니 항상 꼬이는 것이다. 이건 일본사만 그런 것이 아니다. 한국사 역시 마찬.. 2024. 6. 30.
봉래각 이야기 (2) 바다 건너 선경仙景을 찾는 사람들 이 봉래각 이야기를 왜 느닷없이 꺼냈는가 하면,우리는 흔히 주민 이동을 이야기할 때 그 원인으로 전란으로부터의 도피, 인구압에 의한 이주, 이렇게 원래 살던 곳에서 밀어내는 원인만 찾기 쉽다. 그런데-. 산동반도에서 요동반도를 거쳐 한반도로 들어오는 이 사람 중에는필자가 보기엔 반드시 그런 사람들만 있었던 것이 아니다. 왜? 이 산동반도 일대에 아주 아주 오래전언제부터 있었는지도 모르는 바다 건너엔 신선이 산다는 믿음이 있었다는 증거의 편린이史記만 봐도 언뜻언뜻 보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생각이 발전하고 발전하여 만들어진 것이 결국 진시황의 불로초 수색이라 할 수 있을 것인데, 불로초를 찾아 떠난 서복(혹은 서불) 일행이 황해를 건너 어딘가 있을지 모르는 선경에서 불로초를 얻어 귀국하는 것이 표면상의 .. 2024. 6. 29.
봉래각 이야기 (1) 봉래각이라는 곳이 있다. 참고로 말하자면 필자는 여기 가 본 적이 아직 없다. 하지만 산동반도는 한국 관광객이 많이 가는 곳이고이곳은 중국의 명승지로도 이름이 높아 아마도 많은 분이 다녀왔을 것이다. 갔다오지도 않아 놓고 뭔 봉래각 이야기를 하느냐고 할 수도 있겠지만, 필자가 봉래각을 주목하는 것은이 일대가 한반도로 도작이 들어온 도해지로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봉래각에서 보면 북쪽으로 섬들이 이어지는데   이 섬들 사이의 거리는 서로 바라 보일 정도로 가까와 이 섬들을 따라가다 보면요동반도 남단에 닿는다. 이 요동반도 남단에서 방향을 돌려 바다를 끼고 조금만 남하하면바로 평양이다. 평양 일대에서는 한반도에서 아주 이른 시기 유적에서 다른 잡곡과 함께 쌀이 나왔다. 필자는 요서지역에서 출발한 잡곡문명과.. 2024. 6.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