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역사문화 이모저모2869

인도양 절해고도 트로멜린, 그 찢어지는 노예 이야기 트로멜린 섬 위치는 아래 참조. 마다가스카르, 그리고 모리셔스와의 상관 관계를 눈여겨봐주기 바란다. Bing 지도여러 위치를 찾고, 환승/도보/운전 방향을 확인하고, 실시간 교통량을 보고, 여행을 계획하고, 위성, 공중 및 거리 이미지를 보세요. Bing 지도를 다양하게 이용하세요.www.bing.com 1761년, 프랑스 동인도 회사French East India Company가 운영하던 프랑스 선박 루틸(L’Utile) 호는 노예 무역을 위해 160명 마다가스카르인Malagasy individuals을 수송하던 중 인도양 황량한 모래톱desolate sandbank(훗날 트로멜린 섬Tromelin Island으로 명명됨)에 난파되었다.백인 선원과 일부 노예는 초기 재난에서 살아남았지만, 식.. 2025. 6. 6.
[화랑세기를 향한 심리의 저항선과 이끌림] (3) 그 짙은 그림자 텍스트를 옮기기가 귀찮아 캡쳐한 해당 부분을 아래 사진으로 첨부한다. 출처는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역주 삼국사기》 주석본 중 김유신 열전 하에 보이는 김삼광金三光에 대한 해설이다. 해제 부분을 봐야겠지만 아마도 이 대목은 권덕영 선생 담당일 것이다. 스타일이 보니깐 그러하다.삼광이란 이름의 유래에 대해 과분하게도 내 논문을 인용했다. 한데 이를 보면 앞서 내가 분석한 것과 거의 같은 이유로 권덕영 역시 조심스럽기는 하지만 삼광은 지소의 소생일 수 없다고 지적하면서 "아마도 그는 전처의 소생이라고 판단된다"고 했다. 나는 저런 해설과 분석에서 주석을 단 이가 화랑세기를 아주 심각히 의식한 그림자를 본다. 그는 분명히 화랑세기에 김유신이 지소 이전에 원래 부인이 있다는 사실을 너무도 명확하게 알고 있었다.화랑.. 2025. 6. 5.
[화랑세기를 향한 심리의 저항선과 이끌림] (2) 엄마보다 나이가 많은 아들 삼국사기 권 제6 신라본기 제6 문무왕 6년(666) 조를 보면 이해 여름 4월에 “천존天存의 아들 한림漢林과 유신의 아들 삼광三光이 모두 나마奈麻로서 당에 들어가 숙위宿衛했다”고 하고, 2년 뒤인 같은 왕 8년(668) 6월 12일에는 요동도안무부대사遼東道安撫副大使 요동행군부대총관遼東行軍副大摠管 겸 웅진도안무대사熊津道安撫大使 행군총관行軍摠管 우상右相 검교태자좌중호檢校太子左中護 상주국上柱國 낙성현개국남樂城縣開國男 유인궤가 황제의 칙명을 받들고 당항진唐項津 도착할 때 숙위하던 사찬 김삼광이 수행했다고 한다.유인궤의 신라행은 당이 기획한 고구려 정벌에 신라의 동참을 전달하기 위함이었다.당에 들어갈 때는 11등 나마였다가 거기에서 8등인 사찬으로 진급했으니, 초고속 승진이었다. 숙위란 글자 그대로는 황제를 호.. 2025. 6. 5.
[화랑세기를 향한 심리의 저항선과 이끌림] (1) 노익장 김유신 김유신은 정실에게서 5남 4녀를 두었다.딸들은 역사에서 모두 이름이 지워졌지만, 다섯 아들은 모두 현달했으니, 그 이름들을 삼국사기 권 제42 열전 제3 김유신 전에서는 이찬 삼광三光·소판 원술元述·해간海干 원정元貞·대아찬 장이長耳·대아찬 원망元望이라 해서 차례대로 거론했다.이 아들들이 이른 최고 관위를 보면 대아찬 이상 모조리 재상 급이다.김유신 당대에도 그 형제들은 신라사를 주름 잡았으니, 그의 동생이 김유신에 버금가는 일세의 전쟁 영웅 김흠순이요, 여동생 중 한 명이 태종무열왕 김춘추의 배필이면서 일통삼한을 달성한 문무왕 김법민의 어머니였다. 김춘추를 모르고, 문무왕을 모르고 신라사를 논할 수 있어도 김유신이라는 이름 없이 우리가 신라사는 얼개조차 구축하지 못한다.그만큼 김유신이라는 이름이 신라에서.. 2025. 6. 5.
할슈타트 콜드론cauldron 오스트리아 중심부, 할슈타트Hallstatt 푸른 언덕 아래 묻힌 철기 시대 보물들은 오랜 옛날 이야기를 들려준다.한때 공동 잔치와 신성한 의식 비밀을 간직했을 거대한 가마솥들cauldrons이 바로 그것이다.1846년 소금 채굴 작업 중 발굴된 이 유물들은 기원전 800년에서 4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초기 유럽 문명 중추적 시기였던 할슈타트 문화Hallstatt culture를 상징한다. 이 콜드론 중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지름이 약 1.5미터에 달하며, 철기 시대 장인들의 뛰어난 기술을 보여주는 정교한 디자인을 자랑한다.같은 매장지에서 나란히 발견된 이 가마솥들은 고대 켈트족 공동 모임과 심지어 희생 의식의 중요성을 시사한다.이러한 뛰어난 보존 상태는 이 가마솥들이 당시 사회에서 매우 귀중하.. 2025. 6. 5.
인간과 매머드 Mammoths and early human society by Archaeology News August 18, 2023빙하기 위풍당당한 동물, 매머드Mammoths는 우리의 상상력을 사로잡으며 고대 인류 사회의 매혹적인 단면을 보여준다.길고 굽은 상아와 덥수룩한 털을 지닌 이 거대한 포유류는 수천 년 전 지구를 누볐다. 이 글에서는 매머드와 고대 인류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 장엄한 동물이 당시 인류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어떻게 상호작용했는지 조명해 보겠다. 빙하기와 매머드 빙하기 시대에 매머드는 북미, 유럽, 아시아를 포함한 지구 곳곳에서 널리 분포했다. 이 장엄한 동물은 혹독한 추위에 적응하여 길고 풍성한 털과 두꺼운 지방층을 지녔으며, 극한의 환경에서도 살아남았다. 매머드는 코끼리과에 속했으.. 2025. 6.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