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역사문화 이모저모2867

[단원 풍속도첩을 묻는다] (4) 왕을 위해 왜곡한 일상 단원 풍속도첩을 일관하는 주제가 있다. 소재야 말할 것도 없이 이른바 民이라, 그 속에는 노비로 짐작할 만한 사람도 적지 않거니와 암튼 당시 최하층을 사는 사람들이다. 혹 저 그림들에 나타나는 민들 표정을 유심히 봤는가?다 즐겁다. 다 행복하다. 다 함포고복한다. 누구 하나 굶어 주린 사람 없고 누구 하나 중노동 혹사하면서도 괴로운 표정 하나 없으며 누구 하나 막걸리 거나하게 빨면서도 욕설하는 이가 없다. 여자들은 여자들대로 애 없고 즐겁다. 맞다! 태평성대다. 그림을 보면 저런 태평성세 없다. 저런 세상이 있을 수가 있는가? 없다. 고통과 일그러짐, 주림이 자리해야 할 곳에 온통 웃음과 미소와 희희낙락뿐이다. 그랬다. 저 그림들은 당대 민의 풍경을 여과없이 전하는 실사가 아니라 실은 왜곡이다. .. 2025. 7. 10.
브루나 보인 거대 통로무덤 vs. 어거지로 만들어낸 암사동 초가 앞서 나는 국가별 세계유산 보유 현황을 말하면서 아주 거칠게 왜 유럽 독주가 이어지는지를 동아시아랑 비교했거니와 그 와중에 압도적 가시성 문제를 거론했으니 간단히 말해 똑같은 구석기 신석기 청동기임에도 저쪽은 볼 게 있는데 이쪽은 볼 게 없다는 결정적 차이가 있다. 세계유산을 구성하는 절대조건은 OUV라 해서 무형가치지만, OUV? 간단히 말해 말놀음이라 어떠한 유산을 만들어내는 가치를 말한다. 이건 만들어내기 나름이다. 문제는 세계유산은 OUV로만 생성되지 않는다는 데 있다. 그런 OUV는 구상화해야 한다! 그 구상화물이 바로 유적이다. 세계유산은 그 어떤 경우에도 꺼풀데기가 있어야 한다. 이 꺼풀데기가 우리네 문화재 개념에 의하면 주로 사적이나 명승에 해당한다. 문제는 같은 구석기 같은 신석기 같은 .. 2025. 7. 10.
오세베르그 수레, 상여로 쓴 바이킹 리무진 오세베르그 마차 Oseberg Wagon - 완벽하게 보존된 바이킹 시대 유일 유산시대 : 서기 9세기 위치 : 노르웨이 오슬로 피오르드Oslo Fjord 인근 오세베르그 무덤 Oseberg burial mound문화: 바이킹 시대1904년 노르웨이 베스트폴드Vestfold에 있는 화려하게 장식된 오세베르그 배무덤에서 발굴된 이 오세베리 마차는 현존하는 바이킹 시대 마차 중 유일하게 완벽하게 보존되어 있다. 이 배무덤은 여러 번 소개했다. 제작 시점이 9세기 초로 추정되는 이 마차는 두 명 고위층 여성과 함께 묻혔으며, 바이킹 시대 고고학적 유물 중 가장 장엄한 유물 중 하나로 널리 알려져 있다. 나무를 정교하게 조각하고 네 개 견고한 바퀴 위에 올린 오세베르그 마차는 기능성을 갖춘 차량일 뿐만 아니라 .. 2025. 7. 8.
라피스 라줄리, 권력을 매료한 푸른 황금 6,000년이 넘는 세월 동안 아프가니스탄 산들에서는 세계에서 가장 귀중한 보물 중 하나인 라피스 라줄리Lapis Lazuli, 곧 청금석이라 번역하기도 하는 광석이 숨어 있었다.바다흐샨Badakhshan 험준한 사르에상 광산들 Sar-e Sang mines에서 이 매혹적인 푸른 돌blue stone이 탄생했다.단순한 보석을 넘어 권력, 영성, 그리고 아름다움의 상징이 되었다.고대 이집트, 메소포타미아 등지에서 라피스 라줄리는 왕족, 사제, 그리고 신성함을 상징하는 보석으로 여겨졌다.투탕카멘 장례 가면을 장식했고, 그 오랜 뒤 그것을 분말화한 안료는 르네상스 걸작의 찬란한 군청색을 만들어냈다.여러 항로를 거쳐 거래된 라피스 라줄리는 '푸른 황금blue gold'으로 알려졌으며, 인류 역사 전반에 걸쳐 제.. 2025. 7. 8.
중세 성채에서 똥싸는 방법과 장소 당시 프리비privy 또는 가르데로브garderobe라 일컫던 중세 화장실은 원시적인 형태였지만, 성 안에서는 다른 곳보다 조금 더 편안하고 훨씬 더 많은 디자인적 노력을 기울였다.실용성, 프라이버시, 그리고 효율적인 폐기물 처리가 모두 고려되었으며, 오늘날에도 폐허가 된 중세 성에서 가장 눈에 띄고 쉽게 알아볼 수 있는 특징 중 하나는 외벽에서 튀어나온 변소다.가르데로브garderobe라는 용어는 나중에 프랑스어로 옷장을 의미하게 되었는데, 원래 의미는 성 화장실에서 필요 이상으로 크지 않은 공간이었기 때문이다. 변소는 일반적으로 성벽에 내장되어 코벨(corbel, 성벽 일부) 위로 돌출되어 있었고, 오물은 성 해자로 흘러내렸다.때로는 오물이 강으로 바로 흘러가기도 했고, 어떤 성에서는 안뜰이나 외벽으.. 2025. 7. 8.
여전히 오리무중인 고대 이집트 꼬깔콘 머리 장식 이 머리 장식 용도는 여전히 오리무중이긴 하나 "관능미, 성욕, 그리고 그와 관련된 개념"과 연관한다 보는 견해가 많은 듯하다. 사진은 약 3,300년 전 유산으로 알려져 있다. 저런 꼬깔콘 머리 장식head cones은 대략 기원전 1550년에서 기원전 30년 사이, 고대 이집트 많은 그림과 조각에 등장한다. 머리 위에 작은 원뿔 모양 장식을 쓴 남녀가 묘사되는 일이 많다.사람들이 이 모자를 쓰고 행한 활동은 매우 다양했는데 그림에서는 장례 연회, 사냥, 음악 연주, 심지어 출산 장면까지 등장한다. 최근까지 저런 회화 조각에서만 등장할 뿐 실물이 발견된 적은 없었다.그러다가 2019년, 한때 이집트 수도였던 아마르나 고고학 유적에 있는 묘지에서 두 구 무덤에서 머리 부분에 원뿔 모양 장식이 있는 유골이.. 2025. 7.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