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역사문화 이모저모2296

"죽는 순간까지 허비한 청춘의 밤들을 생각할 것"이라는 W. B. Yeats "나는 최후까지 죄 많은 사람일 것이며, 눈을 감는 순간까지 내 청춘시절에 허비한 밤들을 생각할 것이다" - William Butler Yeats(1865~1939) ( 출전을 모르겠음. 암튼 열라 멋진 말임 ) "1939년 1월 사망 당시 그는 대단한 양의 시를 이 세상에 남겼다. 그 시들은 그 힘에 있어서나 다양성에서 있어서나 의심할 나위 없이 그가 영어로 시를 쓴 20세기의 시인들 중 가장 위대한 시인임을 입증한다." (예이츠를 두고 누가 한 말인데 출전을 모르겠음) 2019. 11. 20.
"결혼이란 강간이며 끔찍한 젊음의 종결"...에밀 졸라가 말하는 결혼 "결혼, 사랑할 시간 없어 날 알리지도 못하고 하는 행위"송고시간 | 2019-11-19 11:16결혼과 죽음 통해 계급 심리 드러낸 졸라 단편선 '결혼, 죽음' 에밀 졸라....이 친구가 요새 한국에서는 대유행인데, 그의 아들 '졸라리' 때문이어니와, 한국에서는 드레퓌스 사건이 촉발한 '나는 고발한다'는 격서가 지식인이라면 자고로 이러해야 한다는 모범처럼 군림하는 19세기 프랑스 자연주의 계열 작가다. 그가 등장함으로써 빅토르 위고는 뒷방 늙은이로 물러났다. 이 친구가 싸지른 글이 '졸라' 많은데, 결혼에 관한 사캐스틱한 글도 쓴 모양이라, 나는 이 친구가 이런 글을 쓴 줄은 이번에 알았다. 내가 불문학 전공이 아니라서라고 해 두자. 이 기사에서 인용한 졸라 직접 육성만 뽑아보자 "오늘날 남자들은 사랑.. 2019. 11. 19.
광개토왕비? 장수왕비? 그 새로운 독법을 위한 한 시도 어제 국립중앙박물관이 '문자, 그 후' 특별전 개최와 맞물려 박물관 강당에서 개최한 자리에서 나는 '광개토왕비, 父王의 運柩 앞에서 靑年王이 보낸 경고'라는 題下의 발표문에서 다음 세 가지를 강조했다. 1. 이른바 광개토왕비에서 陵과 墓라는 글자가 엄격히 구별돼 사용되고, 전자가 광개토왕릉임에 대해 후자는 이를 포함한 고구려 선대 왕릉 전반을 포함하는 왕가 전체의 묘역을 뜻하는 말이다.따라서 이 비는 광개토왕릉이라는 단일 왕릉을 위한 기념비가 아니라 고구려 전체 왕릉 묘역 수호를 위한 법령 포고비다. 2. 나아가 이들 왕가 묘역 전체 관리를 위해 광개토왕의 存時敎言에 따라 배치된 수묘인(守墓人. 묘지기) 330家는 중국 황제릉에서는 흔한 능읍(陵邑)의 일종이며, 그들 330家 중 220家는 포로로 충당하.. 2019. 11. 19.
무덤나무 측백 측백[柏]은 동아시아에선 무덤을 장식하는데 주로 썼다. 그리하여 측백이 우거졌단 말은 곧 그 무덤이 오래되었단 비유이기도 했다. 한국무덤에선 그닥 흔한 풍경이라 할 순 없으나 중국에 가서 제왕의 무덤을 보면 예외없이 측백 고목이 즐비한 이유가 이것이다. 한데 측백도 그 종류가 워낙 다양한지 요즘은 거리로 활보한다. 죽은 사람 집을 장식하던 측백이 요즘은 산사람 집 울타리 정원을 장식하는 일을 자주 본다. 2019. 11. 17.
이시다 미키노스케石田幹之助 《장안의 봄》 항용 한시라면 패턴이 있어 1. 작가 소개2. 원문과 번역 주석3. 작품 소개 혹은 감상평 이 세 가지가 근간이 아닌가 한다. 이 《장안의 봄》은 이런 한시 읽기의 근간을 뒤흔든 혁명이다. 그 방대한 전당시를 깡그리 해체하고는 그에서 드러나는 천수백년전 도시문명이 곧 지금의 서울 명동거리와 하등임을 드라마틱하니 보여준 역작이다. 이 장안의 봄은 문화사학도들의 봄날 아지랑이다. 이를 읽고 감명받지 않은 이 없음이로대 이를 뛰어넘는 후속작이 나오지 아니함은 무엇인가? 감히 보건대 공부가 넓지 않고, 공부가 넓대도 깊지 않고, 공부가 깊어도 사색이 동반하지 않기 때문이라 생각해 본다. 아, 만발한 내년 장안의 봄 모란을 그려본다. (이상은 November 15, 2014 글이다) 《장안의 봄》은 이시다 미키노.. 2019. 11. 17.
이백과 두보..불행한 그들이 있었으매 우리는 행복하다 "이백과 두보가 그 시절에 나타나지 않았다면, 그들이 노래했던 한 시대를 우리는 고스란히 놓칠 뻔했고, 그들이 인류를 향하여 고발하고 하늘을 향하여 호소한 '큰소리'를 우리는 들을 수도 없었을 것이다. 또한 '왕국王國'을 자랑하는 중국의 시가가 빛을 잃을 뻔했고, 사람들의 마음에 '낭만'이 사라지고 '사랑'과 '연민'과 '분노'가 사라질 뻔했다. 청 조익趙翼은 '나라가 불행하면 시인이 행복하다'[國家不幸詩人幸]라고 말했다. 그들은 험난한 시기를 살았지만 그들이 남긴 시는 지금껏 사람들에 의하여 칭송되고 있으니, 이백과 두보는 분명 행복한 시인이다."(이병한, '중국 시사를 빛낸 두 거인, 이백과 두보' 《지식의 지평》 13호, 아카넷, 2012. 215쪽) *** 더 정확히는 이두李杜는 죽어서 행복한 시.. 2019. 11.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