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역사문화 이모저모2692 [사금갑射琴匣을 심판한다](6) 두 명 혹은 그 이상의 소지왕비 앞서 조선시대 지식인들은 삼국사를 논할 때 모두가 동국통감을 읽었다 했거니와, 그런 까닭에 신라사를 논할 적에 이 사금갑 사건을 대서특필하면서 그네들 모두가 내전분수승과 불륜하다 들켜서 복주된 비처왕 곧 소지왕의 여인을 왕비로 보았지, 후궁 중 한 명인 궁주宮主로 보지 않았다.왜 그런가 하면 삼국유사에서는 궁주라 했지만, 삼국사절요와 동국통감에서는 아예 왕비로 못을 박은 까닭이다.나아가 이 사건이 발생한 날짜가 삼국유사에서는 언급이 없지만, 정월 15일로 이해한 것 또한 절요와 통감에서 비롯한다는 말을 했다.조선후기 안정복이 동사강목이라는 대작을 기획하면서 소지왕 10년, 서기 488년을 기술하면서 아예 저 사건으로 복주된 여인이 당시 소지왕비 선혜善兮라고 못을 박은 까닭이 바로 이에서 말미암는다. 왜 .. 2025. 1. 29. 12살 구두약 공장 노무자 찰스 디킨스 찰스 디킨스Charles Dickens는 겨우 12살이었을 때 그의 인생은 극적이고 가슴 아픈 전환을 맞이했다.그의 아버지 존 디킨스John Dickens는 빚을 갚지 못해 마셜시 채무자 교도소Marshalsea Debtors' Prison에 수감되었다.이 일로 어린 찰스는 절박한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 그는 학교를 그만두고 런던 템즈 강 근처 구두약 제조 공장에서 일해야 했다.공장은 암울한 곳이었고 디킨스의 일은 몇 시간 동안 검은 색 라벨을 붙이는 것이었다.일은 지루했고, 환경은 가혹했으며, 급여는 물론 턱없이 부족했다.찰스처럼 총명하고 상상력이 풍부한 소년에게 그것은 충격적인 경험이었다. 그는 버림받고 굴욕감을 느꼈고, 이때의 기억이 남은 생애 동안 그를 괴롭혔다.그는 나중에 .. 2025. 1. 28. [사금갑射琴匣을 심판한다](5) 정월 15일은 절요와 통감 논술이다 삼국유사 역주본으로 국가기관에 의한 웹서비스까지 장착하는 바람에 가장 널리 활용되는 것이 한국학중앙연구원, 옛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판이라 할 수 있거니와, 이에는 당시까지 거의 모든 관련 연구성과를 집약했다 할 만한 노작이다. 그에서 사금갑을 역주하면서 저 사금갑 사건 발단이 되는 무대 천천정天泉亭과 관련해 다음과 같은 주석이 있다. 현재 천정정이 어디에 있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신증동국여지승람≫ 권21 경주부 고적조에는 신라 소지왕 10년 정월 15일에 왕이 천정천에 행차하였다고 하여 ≪삼국유사≫의 기사보다 자세한 날짜를 기록하고 있다. 반면 ≪삼국사기≫에는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 명색이 역사로, 고대사로 밥을 빌어먹고 산다는 자들이 아무도 삼국사절요와 동국통감을 아무도 보지 않았다고 내가.. 2025. 1. 27. 정다산 상제上帝가 개독의 흔적? 종교사상사를 한다는 사람들은 매양 다산이 말한 상제上帝가 인격신의 면모가 있다면서 이는 그가 한때 심취한 기독신의 흔적이라 말한다.인격신이란 무엇인가?일반 사람이랑 매양 마찬가지로 성내고 지랄하고 기뻐하며 폴짝폴짝 뛰는 존재라는 뜻이다.개독 침투 이전 동아시아 최고 신이라는 상제가 의지가 있는 존재인가?아니면 그 자신은 아무런 움직임이나 말이 없는 천하자연의 주인인가에 대해선 오랜 논쟁이 있었다.순자는 엿까라마이싱주의자라 하늘을 향해 삿대질하면서 하늘이 말이 있느냐 일갈했다.일식이 일어나면 우연의 소산일뿐 하늘의 소행이 아니라 했다.그 반면 동중서는 개독이라 모든 현상을 하늘의 뜻으로 돌렸다. 그런 점에서 동중서는 천지, 곧 툭하면 천지天志, 곧 하늘의 의지를 팔아먹은 묵자와 매우 흡사하다.나는 동중서가.. 2025. 1. 27. [사금갑射琴匣을 심판한다](4) 조선시대 지식인은 누구나 안 왕비 나는 계속 현대의 한국사 연구자, 특히 신라사 연구자들이삼국사절요와 동국통감이 삼국사기 및 삼국유사를 전제했다는 믿음하에 새로운 내용이 없다고 확신하고선 아무도 쳐다 보지 않았다는 말을 하거니와 실제 그랬다. 주변에 고대사로 수십 년 밥 벌어먹고 산다는 사람들한테 다 물어 봐라.절요랑 통감 본 사람 있는지.없다. 그러기는커녕 그걸 왜 보냐 되묻는다. 삼국사기 삼국유사 견주어 뭐가 더 새로운 내용이 있냐는 뜻이다. 하지만 시계추를 거꾸로 돌려 조선시대로 가면, 물론 삼국시대사를 누가 제대로 공부했겠느냐마는, 그래도 삼국 역사를 떠든 사람들은 모조리 삼국사기랑 삼국유사를 본 것이 아니라 실은 절요랑 통감을 봤다. 특히 후자 동국통감이 절대 교재였다. 간단히 말해 조선시대 지식인들은, 물론 절요랑 통감이 나.. 2025. 1. 26. 나이 죽음 이야기만 하다 끝난 견한잡록 칠순 팔순이 넘어가면 본능으로 죽음에 더 민감해질 수밖에 없다. 내가 아직 그 나이는 아니지만 환갑 앞두고 벌써 내가 언제 훅 갈지 모르겠다는 상념을 떨칠 수가 없는데, 저런 노인들이야 오죽하겠는가?더구나 평균수명이라 해 봐야 마흔도 되지 않았을 조선시대로 들어가서 본다면 어떻겠는가?앞서 안경이 초래한 혁명을 이야기하면서 잠깐 조선 중기를 살다간 심수경沈守慶이라는 사람을 소개한 적이 있다. 1516년, 중종中宗 11년에 나서, 과거 급제하고는 출세가도를 달려 훗날 좌의정까지 역임하고는 장장 84세 장수를 누리다가 1599년, 선조 32년 눈을 감았다. 특히 말년에는 임진왜란이라는 미증유 난국을 만나서도 살아남았으니, 그러고도 천수를 누렸으니 이런 사람이 팔순에 접어들면서 어떤 생각들로 살았을지 짐작하고도.. 2025. 1. 26. 이전 1 ··· 34 35 36 37 38 39 40 ··· 44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