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역사문화 이모저모2934

내 글은 한 글자도 못 고친다는 기대승 고봉高峰 기대승奇大升(1527~1572), 문장의 오만함이 김태식 같다. 문장을 하는 선비는 간혹 누가 그 문장의 문제점을 말하면 기뻐하면서 듣기를 즐겨하여 물이 흐르듯 그것을 고치는가 하면, 어떤 사람은 발끈 화를 내면서 스스로 그 문제점을 알면서도 일부러 고치지 않는 사람이 있다. 고봉 기대승은 문장으로 자부해서 다른 사람에게 굽히지 않았다. 지제교로 있을 적에 임금의 명령을 받드는 문장을 지어 올릴 적에 승정원 승지가 그 문제점을 표시하여 지적하면 그것을 가져온 아랫사람에게 화를 내며 꾸짖고는 한 글자도 고치지 않았다. 文章之士, 或言其文之疵病, 則有喜而樂聞, 改之如流者, 或咈然而怒, 自知其病而不改者. 奇高峰大升, 自負其文章, 不肯下人. 以知製敎, 進應敎之文, 政院承旨, 付標指其疵, 怒叱下吏, 不改.. 2020. 10. 31.
신라 왕비를 배출한 대원신통, 뿌리는 倭 왕실 《화랑세기》에 의하면 중고기 신라왕실에서 왕비를 배출하는 양대 모계 혈통으로 1. 진골정통眞骨正統 2. 대원신통大元神統 두 가지가 있거니와, 진골정통은 그 뿌리가 지금의 경북 의성에 뿌리를 박은 조문국(혹은 소문국)이다. 그 왕실이 신라에 통합됨으로써, 그 왕녀가 배출하는 딸과 그 후손들이 왕비에 충당되곤 했다. 이 진골정통에 대비되어 눌지왕 무렵 이후에 또 다른 모계 혈통이 강력한 라이벌로 등장하니 그것이 곧 大元神統이다. 이 대원신통은 현존 《화랑세기》에서는 그 뿌리가 보미寶美라는 여성이라는 사실만 알 수 있을뿐, 그 보미는 혈통이 어찌되는지 확실치 않다. 원본에는 있었지만, 그것을 담았을 부분은 불행하게도 탈락하고 없다. 그렇다면 보미는 누구인가? 그 어미는 왜 왕실 왕녀다. 그렇다면 보미가 신라와.. 2020. 10. 27.
"어른은 피해야" 《지수염필智水拈筆》이 증언하는 조선시대 담배예절 담파고痰破菰가 무슨 풀인지 모르겠으나 여송국(呂宋國·필리핀)에서(이상 282쪽) 처음 나왔다. 선조 임진왜란 이후 일본 사람에게 얻어 종자를 가져다가 심었는데, 지금은 천하에 성행하고 있다. 이 이야기는 《계곡만필谿谷漫筆》에 자세히 보인다. (담배란) 대개 차의 일종으로 실제로는 정해진 이름이 없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에서는 兩西(관서와 해서) 지방에서 생산되는 것은 서초西草라 일컫고, 삼남 지방에서 생산되는 것은 남초南草라 부르며 혹은 언蔫 혹은 어菸라고 부르지만 모두 알맞은 글자는 아니다. 총괄하여 논하면 그 풀은 반드시 좋은 밭에다가 심어야 하니 곡식에 해가 되고, 정해진 때 없이 피워대니 氣에 해가 된다. 금金·은銀·동銅·철鐵을 녹여 대통[盞]을 만들고 설대[臺]를 만들고 물부리(취)를 만들며, 또.. 2020. 10. 26.
북제조상기오종北齊造像記五種 북제北齊시대 조상기造像記 5종을 말한다. 作者: 노보성盧輔聖 出版社:상해서적출판사上海書畫出版社 頁碼:40 ISBN:7806726322 條碼:9787806726327 版次:1899年12月第1版 裝幀:平裝 開本:16開 套裝數量:1 內容簡介 中國民間書法大系. 媒體推薦 北齊造像記五種簡介 北齊時代漢化的鮮卑士族對中國文化起了很大的推動作用. 如人們所言, 鄴下有晉陽書風, 有一部分作品具有秀美的風格特征, 此殆因有南方士族流入, 熏染所致. 同時, 興佛也成了北齊政治文化的一個焦點, 這兩個因素對北齊造像書法的展開與發展具有至關重要的作用. 東魏 武定 八年(五五○) 五月, 受孝靜帝禪讓的高洋, 自稱文宣帝, 改年號爲天保元年, 建立了北齊. 熱衷於佛教的文宣帝建寺尊僧還禁食肉. 《續高僧傳》 卷十靖嵩傳云:屬高齊之盛, 佛教中興, 都天下大寺略計四千, 見往.. 2020. 10. 26.
[엉터리 고고학용어] 분구墳丘 모든 무덤에 분구墳丘를 조성하지는 않는다. 이것도 시대에 따른 유행이 민감하기 짝이 없다. 분구란 무엇인가? 墳의 丘인가? 아니면 墳과 丘인가? 내가 아무리 봐도 한국고고학계에서 사용하는 뜻은 전자다. 이 경우 분구란 무덤의 언덕이라는 뜻이다. 하지만 墳丘는 액면 그대로 보면 후자다. 왜냐하면 墳과 丘는 무덤, 특히 개중에서도 봉분封墳이라 일컫는 표식이 있는 같은 무덤을 지칭하는 말이기 때문이다. 무덤 중에서도 봉분이 없는 것을 저리 표현하지는 않는다. 예서 각종 억설과 불일치가 발생한다. 墳丘란 무엇인가? 글자 그대로는 봉분封墳이다. 매장주체시설을 덮은 흙덩이, 곧 mound를 분구라 한다. 墳이건 丘건, 封이건 모조리 봉분을 말하기 때문이다. 함에도 한국고고학에서는 특정한 시대 특정한 무덤만을 지칭해.. 2020. 10. 24.
1929 Joseon Exposition, 조선박람회朝鮮博覽會(1929) Joseon Exposition The Joseon Government General organized the first Joseon Exposition in 1915 as a form of propaganda to show how well colonial administration had been performing. A second Exposition was held in 1929. Due to these two big events, Gyeongbokgung Palace has lost its dignity appearance as the main palace of the Joseon Dynasty. 조선총독부는 자신들의 식민통치 업적을 자랑하고 위세를 과시하고자 1915년 조선물산공진회朝鮮物産共進會.. 2020. 10.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