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역사문화 이모저모2934

내가 자릴 비운 사이 있었던 일, 군산 선제리유적 검파형동기 *** 이 소식이 전해지던 그 무렵은 내가 풍찬노숙하던 시절이리라. 몸이 떠나면 맘도 떠나는 법이요, 그런 까닭에 이와 같은 소식에는 무덤덤하기 마련이라, 부러 귀를 쫑긋하지 아니하면, 그냥 지나치고 만다. 오늘 우연히 다른 내 기사들을 검색하다가 아래 소식이 걸리더라. 이 군산 선제리 유적은 아마도 발굴보고서가 정식 출간되었을 법한데 확인하지는 못했다. 아래 기술에서 주목할 점은 이 검파형통기를 "가운데 마디를 일부러 부러뜨려 위쪽과 아래쪽이 나뉜 채 묻혀 있었다"는 대목이다. 이 역시 죽음을 위한 의식이었음은 말할 나위가 없다. 이건 아마도 생전에 실제 사용하던 것을 함께 묻어주면서, 그것이 죽음의 영역을 표시하고자 부러 저리한 것임은 말할 나위가 없다. 이른바 훼기毁器가 이리도 중요함에도, 그에 대.. 2020. 9. 30.
빡빡이와 장발족 80년대 장발이 유행한 가장 큰 이유는 두발 자율화였다. 자율화 때문이 아니라 자율화 이전 까까머리에 대한 억압 때문이었다. 왜 머리를 까까머리로 윽박해야 했는지 흔히 군사 문화 영향을 드나 나는 그걸로만 설명할 수 없다고 본다. 관행이었다. 왜 빡빡 밀게 했는지, 자율화 시대가 되니 종래의 억압에 대한 반발이 분출했다. 그리하여 다들 보란듯이 장발로 갔다. 엿먹으라였다. 한국현대사를 기술할 때 저 두발 자율화와 교복 자율화는 유신정권 시작만큼 중요하다. 이 억압과 허용의 길항에서 또 하나 중대한 사건은 내가 군복무 시절 일어난 과외자율화다. 한국현대는 이런 제압과 규율이 빚어낸 교향곡이다. 그나저나 저 사진 속 순단이랑 동순이는 어데갔는지 모르겠다. (2018. 9. 25) 2020. 9. 25.
부산 초원복국을 찾아서 김영삼을 대통령으로 옹립하려는 과정에서 일어난 이른바 부산 초원복국 사건 무대가 되는 그 식당은 지금도 영업 중이다. 우리가 남이가? 김기춘이 주도한 이 모임엔 부산지역 기관장들이 모조리 참석했다. 92년 12월인가 11월에 일어난 이 사건은 당시 대선 정국을 흔든 것으로 평가되기도 하지만 어차피 대권은 YS로 갈수밖에 없었다. 부산 지인을 만나 어디서 뭘 먹을까 고민하는데 이곳을 추천하는지라 두 말 없이 가자 해서 갔다. 주변 일대 풍광이 모조리 바뀌었지만 대략 이 어간인 것만은 분명한 그곳에 여전히 영업 중이다. 이 사건이 하도 요란했던 만큼 이 식당은 이후 유명세를 타고 번창일로를 걸었다고 기억한다. 내가 기자가 된 시점은 93년 1월 1일이며 또 내가 첫 발령지로 부산지사에 배치된 시기는 그해 6.. 2020. 9. 23.
다시 생각하는 경애왕의 비극 나는 앞선 고찰들을 통해 포석정鮑石亭은 신성한 맹서를 토대로 하는 혼인이 이뤄지는 웨딩홀이었으며, 한편으로는 화랑과 그가 이끄는 무리한테는 종묘와 같은 신성 공간이었음을 주장했다. 그곳은 웨딩홀인 까닭에 남녀 결합을 상징하는 석조 구조물을 형상화한 것이며, 비단 이뿐만이 아니라 그곳에는 역대 화랑 중에서도 특히나 존경받는 문노와 같은 인물 초상화를 봉안한 제의시설이기도 했다. 그래서 이 포석정이 신라시대에는 포석사鮑石祀 혹은 약칭 포사鮑祀라 일컬었던 것이다. 물론 이런 성격에서 포석사가 신라 하대로 올수록 유흥시설로 활용되었을 가능성도 얼마든지 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웨딩에는 언제나 유흥이 따르는 까닭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천년왕국 신라가 마침내 종적을 감추고 마는 그 결정적인 사건, 다시 .. 2020. 9. 21.
포석정鮑石亭, 그 천년의 비밀을 까부시며 1. 화랑세기가 폭로한 포석정 경애왕 비극의 주무대인 경주 포석정이 화랑세기에는 포석사鮑石祀 혹은 포사鮑祀라는 이름으로 여러 군데 보이거니와, 祀라는 말에서 엿보듯이 이곳은 유흥을 위주로 하는 정자가 아니라, 신성한 제의祭儀 공간으로 등장한다. 요컨대 화랑세기가 말하는 포석정은 사당이다. 건립시기는 명확한 언급이 없지만, 적어도 법흥왕 이전임은 확실하다. 종래 포석정은 신라 말기에 등장하는 까닭에 막연히 그 무렵에 만든 것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강했지만, 화랑세기가 폭로하는 포석사는 그 연원이 아주 깊어 신라 초기로 거슬러 올라갈 가능성을 제시한다. 2. 예식장으로서의 포사鮑祀 포석사 혹은 포사의 기능과 관련해서는 현재 두 가지 정도를 적출하는데 첫째는 예식장이 그것이며, 다른 하나는 화랑의 전당이다. 먼.. 2020. 9. 21.
치초郗超가 추천한 사현謝玄, 부견符堅을 박살내다 《세설신어世說新語》 제7권 식감識鑒 편에 나오는 일화다. 현존본에서는 이 편 22번째 이야기로 수록됐다. 식감識鑒이란 간단히 말해 사람을 알아보는 감식안이다. 아래 텍스트는 《세실신어잔소世說新語箋疏》(여가석余嘉錫 撰)에 기반한다. 익히 알려졌듯이 《세설신어》는 남북조시대 유송劉宋 유의경劉義慶 찬이지만, 본문이 너무 간단해 이를 보완한 해설본 혹은 보완본이 이미 같은 육조시대 소량蕭梁 유효표劉孝標 손을 거쳐 나오니 세상에서는 이를 《세설신어주世說新語注》라 한다. 파란색 고딕이 유의경 원문이고, 그 사이에 첨가한 검은 글씨가 유효표가 덧보탠 부분이다. 이에서 보듯이 주석이 압도적으로 많은 가분수다. 번역은 김장환 역주(살림 간)을 인용하되 약간 수정을 가한다. 22 郗超與謝玄不善。〔一〕符堅將問晉鼎,既已狼噬梁.. 2020. 9.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