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역사문화 이모저모2934 1983년 10월 8일, 미얀마가 폭발했다 [순간포착] 남북 분단사의 대참극…'아웅산 테러 사건' 송고시간 2020-10-10 07:00 임동근 기자 www.yna.co.kr/view/AKR20201006129300005?section=society/accident [순간포착] 남북 분단사의 대참극…'아웅산 테러 사건' | 연합뉴스 [순간포착] 남북 분단사의 대참극…'아웅산 테러 사건', 임동근기자, 사건사고뉴스 (송고시간 2020-10-10 07:00) www.yna.co.kr 그땐 미얀마가 아니라 버마라 일컫던 시절이었다. 그 도읍도 양곤이 아니라 랭군이라 하던 시절이었다. 그때 전두환은 버마를 국빈방문 중이었으니, 현대 버마 건국의 아버지 아웅산 국립묘지를 참배할 예정이었다. 전두환을 기다리면서 묘소 앞에 그를 수행한 사람들이 도열해 있던 .. 2020. 10. 10. 일본의 천황 후계 시스템과 신라의 성골 진골 아들 없는 나루히토 일왕 내달 8일 후계자 책봉의식 송고시간 2020-10-09 10:09 김호준 기자 당초 4월 19일 개최하려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연기 www.yna.co.kr/view/AKR20201009029300073?section=international/all 아들 없는 나루히토 일왕 내달 8일 후계자 책봉의식 | 연합뉴스 아들 없는 나루히토 일왕 내달 8일 후계자 책봉의식, 김호준기자, 사회뉴스 (송고시간 2020-10-09 10:09) www.yna.co.kr 일본 천황가 후계구도를 보면 실은 동아시아 세계를 관통하는 그 흐름을 그대로 잇는다는 사실을 엿보게 되거니와, 저들의 새로운 천황 즉위의식이라든가 천황위 후보서열 등등이 실은 우리한테는 사라진 그 전통시대 시스템이라는 점에서 더욱.. 2020. 10. 9. 그들이 옷을 벗었다, 그리고 밭을 갈았다 앞서 나는 《미암집》에서 미암 유희춘이 증언하는 함경도 지역 나경裸耕 습속을 대전 괴정동 출토품으로 전하는 농경문청동기 나경 문양을 이해하는 첩경일 수 있음을 지적질한 기사를 2005년에 썼음을 상기했다. (이와 관련한 2005년 관련 기사 일화는 맨 뒤에 첨부하는 이 블로그 포스팅 참조) 이를 탈고하기 전 나는 그 워밍업으로 아래 기사를 손을 댔다. 2005.03.29 10:46:52 조선전기 문집 추린 '한국세시풍속자료집성' (서울=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 "이는 먼 변방 비루한 풍속에서 나왔으니, 생령(백성)에게는 질고(疾苦)가 되니 식자(識者)는 이를 해괴하다 여기나 많은 사람이 즐거워한다." 자위행위를 일삼는 아들을 훈계하는 내용까지 담은 미암일기(眉巖日記)로 유명한 조선중기 .. 2020. 10. 8. "물고기잡이에 독약 사용을 금하라" [직장 동정(直長同正) 정채(鄭彩)가 상언(上言)하기를 “각 고을에서 진상할 은어[銀口魚]를 잡을 때 독약(毒藥)을 많이 쓰기 때문에 수서 동물[水族]이 다 죽습니다. 또 천방(川防)을 터 놓고 약(藥)을 타서 물을 흘려보내니, 화곡(禾穀)을 상하게 하여 그 폐단이 작지 않습니다.” 하니, 의정부에서 의논하기를 “각 도 관찰사(觀察使)로 하여금 규찰(糾察)하여 금지시켜야 합니다.” 하므로, 그대로 따랐다. (《문종실록》 즉위년 10월 10일) 어릴 때 익숙하게 보던 장면인데, 도대체 어떤 독을 쓰기에 곡식까지 상한다는 것일까? 환경오염에 대한 기사로는 대단히 빠른 기록이다. 뱀발) 약(藥)을 타서 물을 흘려보내니, 화곡(禾穀)을 상하게 하여 그 폐단이 작지 않습니다.[和藥流注, 傷損禾穀, 其弊不小]라는 .. 2020. 10. 7. 위魏·촉蜀·오吳로 흩어진 제갈諸葛 형제들 《세설신어世說新語》 제9 품조品藻 편에 네 번째 보이는 일화다. 제시한 원문에서 파란 고딕이 유의경劉義慶 본문이요, 나머지는 유효표劉孝標 주注다. 제갈근諸葛瑾과 그의 동생 제갈량諸葛亮, 그리고 이들의 4촌동생 제갈탄諸葛誕는 모두 성대한 명성이 있어 각기 다른 나라에서 있었다. 당시 사람들이 생각하기를 "촉蜀은 그 용龍을 얻었고, 오吳는 그 호랑이를 얻었으며 위魏는 그 개[狗]를 얻었다"고 했다. 제갈탄은 위에서 하후현夏侯玄과 이름을 나란히 했고 제갈근瑾은 吳에 있었으니 오나라 조정에서 그의 기량에 탄복했다. 〔一〕 오서吳書에 일렀다:제갈근은 字가 자유子瑜이며, 그 선조는 갈씨葛氏로 낭야琅邪 제현諸縣 사람이다. 나중에 양도陽都로 옮기게 되니, 양도에 그 전에 갈씨가 있어 당시 사람들이 (본래 있던 갈씨와 .. 2020. 10. 6. [화랑세기 없이는 나올 수 없는 발상] 박제상과 치술 그 유명한 박제상朴堤上은 실은 《삼국사기》 표현이며 《삼국유사》에서는 김제상金堤上으로 나온다. 그의 행적은 중언이 필요 없다. 한데 문제는 그의 마누라...남편이 왜국에서 신라 왕자 미사흔을 구출하고 죽자, 산에 올라 바다 건너 왜국을 바라보다 죽어 망부석望夫石이 되었다는 전설의 이 주인공이 누구인지를 아무도 몰랐다. 한데 《화랑세기》가 출현한 이후에는 너나 가릴 것 없이 박제상 마누라를 치술鵄述로 간주하는 글이 잇따른다. 도대체 실명을 알 수 없던 박제상 마누라가 치술鵄述로 확정하기까지 무슨 곡절이 있는가? 《화랑세기》에 그리 나온다. 《화랑세기》에 나오기 때문에 그가 바로 치술鵄述인가? 이는 별개 문제다. 《삼국유사》 왕력편 신라 실성왕實聖王 조를 보면 그 마지막에 흥미로운 언급이 있다. "왕은 치술.. 2020. 10. 5. 이전 1 ··· 398 399 400 401 402 403 404 ··· 48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