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런저런1935 천남성? 천남생? 풀이 된 개소문 아들 천남성이라는데 나는 자연인이다에서 가끔씩 캐는 장면 나온다. 배운 게 도둑질이라고 나는 맨날맨날 천남생이라고 한다. 개소문 연씨 아들 말이다. 2021. 6. 19. 도로 핀 능소화 마주하며 상기한 엄마손은 약손, 그리고 패러사이트 요새 여름꽃 대세는 능소화라 볼썽이 있다 해서 담삐락에 너도나도 심카대니 발길에 채는 이 능소라 벌써 그 시절인가 했더니 보낸지 얼마라고 도로 피기 시작했다. 정작으로 볼썽사나운 친구는 보리똥 이 친구가 단맛이 부족하고 떨뜨름한 맛이 있긴 하나 나한테 각인한 그것은 그러면서도 시큼해 침샘을 자극한 기억이다. 한데 이놈은 튼실튼실함이 개구리 뒷다리 모양이라 알도 굵고 더 붉어 이 놈은 요기가 될 만하다 해서 한 움큼 따서는 한 입에 털어박았다가 도로 뱉어버리고 말았으니 이 놈은 보리똥이 아니더라. 관상이더라. 애꿎은 옆 텃밭 딸기만 슬쩍 따서 먹었더니 뿔싸 얼마전 농약을 친 기억이 있다. 하긴 뭐 오늘 농약치고 똥거름 준 다음날 무시 배차 다 뽑아 쌈했으니 그래서 패러사이트로 어린시절 배앓이 맨날맨날 달고.. 2021. 6. 19. 오늘의 산수국(2021. 6. 17) 같은 자리 같은 산수국 지켜본지 보름쯤이다. 그러니 큰 변화가 보인다고는 할 순 없다. 그래도 미미한 변화는 없지 않으니 그 미미가 경이 아니겠는가? 2021. 6. 17. 봄꽃과는 다른 여름꽃 비 내린 직후 꽃풀이 막 샤워하고는 물기 머금었다. 꽃 이름 어플 빌리지 않더래도 알 만한 게 있는가 하면 그렇지 아니한 것도 있으니 이 친구는 가을에 아주 여문 붉은 열매 선사하는 그 친구 아닌가 하는데 이 친구가 이런 꽃을 피우는지는 새삼 각인한다. 영락없는 산수국인데 이거이 본래 토종인지 수입산인지는 내가 모르겠다. 물고기 알 같은 망아리 송알송알이라 역광 받을 때는 그 영롱함이 더 빛을 발한다. 이 친구는 어플 얹으니 당아귀? 아구통을 맞으면 이리 아리따운 꽃을 피우는지 모르겠다. 이 친구는 본래 잡풀이었는데, 아니면 수입산인지 모르겠지만 요새는 관상용으로 총애받는다. 나리가 한창이라 순한글 이름 유행할 적에 발길에 채는 이 나리였으니 너무 흔해서 귀함이 적다. 이 친구들은 정체를 나로선 알 수 .. 2021. 6. 15. 단물은 벌거지를 부르는 법 농약을 쳐야 하는 이유다. 2021. 6. 15. 뭔지 모르나 괜히 폼나는 풀쌔기 정체를 가늠하기 힘든 풀쌔기다. 이거 관리하려면 적잖은 손길이 필요하리라. 잡초를 뽑아줘야 할 테니 말이다. 2021. 6. 15. 이전 1 ··· 138 139 140 141 142 143 144 ··· 32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