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런저런1863 연초록 춘색 칠엽수 치골 드러내기 시작할 무렵그것이 발하는 연초록이야말로춘색春色의 전형 아니겠는가? 빛을 등진 이 색감이 나는 좋다. 그리 화려하지 않으나 피운듯 만듯 요란도 없이 왔다가는 모과꽃 역시 봄이 어울린다. 그새 치렁치렁한 화살나무는 박유천 닮았는지 제모에 왁싱을 했다. 차마 가위질 하지 못한 데엔 봄비가 스쳤더라. 2019. 4. 24. 두릅頌 조금전 내 뱃속으로 열반하신 반찬님들이라 여름이 기지개를 켜기 시작하는 이 무렵이면 두릅 시즌이라 김천 집에선 매년 엄마가 논두렁에서 치렁치렁 자라는 두릅을 따서 보낸다. 두릅 순 돋았냐는 말도 꺼내기 힘든 게 이 말이 무섭게 노모가 논두렁으로 달려가 두릅을 따는 까닭이다. 그리하여 올해는 그 말도 차마 꺼내지 못했는데 엄마가 따서는 한 푸대를 택배로 보냈다. 이거 딴다고 엄마나 동생이 두어번 굴렀거나 가시에 찔렸으리라. 이건 두릅 사촌 엄나무 순이라 봄맛의 왕이 두릅이라면 엄나무는 그 제왕이다. 논두렁엔 두릅만 있었지 엄나무는 없었다. 집 대문에 한 그루가 자라는데 그 엄순을 따서 먹곤 했다. 한데 아들놈이 이 엄순 좋아하니 노인네가 기어이 작년인가 재작년에는 그 논두렁에다가 엄나무까지 심은 모양이다... 2019. 4. 24. 속도 위반 며느리와 버찌 April 23, 2013나는 아차산에 올랐다. 그날 홍련봉 제2보루 발굴현장을 언론에 공개한 날이었다. 현장에 들었다가 하산하는 길목에 이 벚꽃을 조우하고는 나는 이렇게 썼다. 올해 본 버찌꽃 중 최고. 속도위반 며느리 할 수 없이 받아들인 시어미 잠옷 같다. 나는 시어미 잠옷을 무척이나 좋아하는 듯하다. 2019. 4. 23. 누나, 엄마 다음의 엄마 우리도 이렇게 컸다. 누나가 동생들 업어 키웠다. 낳기는 엄마요 키우기는 누나였다. 엄마의 다른 이름, 그것이 누나였다. 2009년 8월 13일 울란바타르 인근 몽골 초원에서. You raised me Up! 2019. 4. 21. 남산을 산화하는 꽃비 늦었다. 꽃은 이미 끝물이다. 곳곳엔 선혈낭자 꽂잎 시체 즐비하네. 지난주말 밤에 올라 이번주를 견뎌낼까 했더랬다. 그렇게 남산 봄은 이번에도 어김없이 스스로가 목숨 끊곤 장렬히도 사라지네. 그들이 스러져간 자리에는 풍차마을 마실온 히딩크 친구들이 올긋봉긋 함실방실. 복사 역시 한창이라 지구촌 방방곡곡 도화녀桃花女 풍년이라 단군자손 원주민 도화녀에 동남아 도화녀 넘쳐나고 가끔은 로서아 도화녀에 일대제국 미국 도화녀도 보인다. 남산타워 범벅이라 뱃가죽 덕지덕지 기름기 빼겠다 성큼성큼 계단계단 오르는데 저 타워 오늘따라 참말로 멀고멀다. 아시바다. 노트르담 아른아른 타워도 아시바? 살피니 망사팬티 씨쓰루라. 무삼일인가? 생소함에 한번 더 쳐다보는데 그 새 봄은 저만치 줄행랑친다. 2019. 4. 21. 아파트형 사찰, 진화하는 불교 서울 목동 파리공원 옆에 있는 법안정사라는 도심 사찰이다. 몇년 전 이곳에 들릴 일 있어 그때 촬영해 둔 것인데 도시화 시대 불교가 변용하는 한 양태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제법 재미있다. 공간 이용 극대화 차원인지 중층으로 맹글어 아래는 관음전, 위는 대웅전을 놓았으니 말이다. 이리 되니 협시보살을 부처가 깔아앉은 모양새다. 하긴 그 반대였다면 이상하지 아니하겠는가?부처를 보살이 깔아뭉갤 수는 없다. 몇년 전 이 SNS 포스팅에 남준기 기자가 이런 댓글을 남겼다. "아파트도 마찬가지!윗집에선 초상 나고 아랫집에선 애기 낳고!" 이런 사례는 전통시대 불교 건축을 생각할 때도 적지 않은 시사점을 줄 것이다. 변용 혹은 진화를 고려에 넣어야 한다고 본다. 현지 사정에 따라 얼마든 그랜드디자인은 모습을 바꾸기 마.. 2019. 4. 21. 이전 1 ··· 283 284 285 286 287 288 289 ··· 31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