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859 흑해 북안 크림반도를 번영한 보스포루스 왕국, 그들이 남긴 황금반지 화살을 검사하는 페르시아인이 앉아 있는 모습을 묘사한 기원전 5세기 후반 고대 그리스 사인 반지 signet ring로 현재 에르미타주박물관 Hermitage Museum 소장이다. 흑해 북쪽 크림 Crimea 반도 Kerch 소재 판티카파이움 묘지 Panticapaeum (판티파카이온 Pantikapaion 이라고도 한다) necropolis 발굴품이다. 박물관이 붙인 명칭은 Signet Ring with a Seated Persian Carved in Intaglio 라, 보스포로스 왕국 Bosporan Kingdom 시대 유물이다. 헤르미타주에는 1855년 입수됐으니, L.A. Perovsky가 박물관에 인계했다. 기원전 5세기로 추정되는 이 반지에는 "아테나데스 Athenades" 라는 이름이 새.. 2024. 5. 17. 피라미드를 꼭띠에서 내려다 보면? 뭔가 하겠지만 피라미드 정꼭대배기서 내려꼬나 본 장면이라 드론 촬영이다. 기자 Giza 피라미드 중 두 번째 큰 것이라 하니 쿠푸 다음 카프레 피라미드 Khafre's Pyramid가 되시겠다. 언제나 말하듯이 본래 피라미드 안 이렇다. 건축재료로 쓴다고 껍띠는 홀라당 바 벗겨가고 맨살이 앙상해 따갑다. 파라오? 웃기는 소리다. 내가 먼저 살아얄 거 아닌가? 저 꼭대기 불안하게 남은 방형 부재들은 그대로 굴러떨어뜨리고는 트럭으로 실어가면 그만이다. 저 피라미드는 일명 셰프렌 피라미드 pyramid of Chephren 라고도 하니 기자 피라미드 세 곳 중 중간을 차지하며 두 번째로 높고 두 번째로 크다. 세 피라미드 중 여전히 꼭대기가 피복된 유일한 곳이다. 기원전 2558-2532년을 재위한 제4왕조 .. 2024. 5. 17. 오리무중 조로아스터 기념물 여긴 현장을 다녀왔다. 그때도 특이하다는 정도 이야기만 있었고 누구도 자신있게 기능을 설명하지 못했다. 이란 파르스 Fars 마르브다슈트 Marvdasht 카운티 소재 기원전 6세기 석조 사각형 계단식 구조물인 조로아스터 큐브 cube 다. 구조는 직사각형이며 입구 문이 하나뿐이다. 재료는 흰색 석회암이다. 높이는 약 12m지만 삼중계단을 포함하면 14.12m이며, 기단 각 면 길이는 약 7.30m다. 입구 문은 30층 돌 계단을 통해 내부 방으로 이어진다. 돌 조각은 직사각형이며 모르타르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위에 포갰다. 챔버의 목적을 위해 다양한 견해와 해석이 제안되었지만 그 중 어느 것도 확실하게 받아들일 수 없다. 어떤 사람은 불 사원과 벽난로로 간주하고 성스러운 불을 피우고 숭배하는 데 사.. 2024. 5. 17. 문화재=국가유산 아닌 문화재=유산 변경은 공식 공지해야 한다 국가유산기본법 제정 시행에 따른 혼란상이 한둘이 아니거니와, 개중 가장 큰 문제가 기존 문화재라는 용어의 국가유산 대체가 어떠한 참상을 빚었는지 내가 누누이 지적했거니와 그 참상은 누구보다 문화재청, 국가유산청이 감지를 하기 시작한 징후는 있으니, 이 친구들이 며칠전부터는 아예 문화재 대체 용어는 '국가유산'이 아니라 '유산 heritage' 임을 공론화하는 움직임을 뚜렷이 보이고 있으니 무엇보다 공문서에서 그런 사실을 적시하기 시작한다. 하지만 이 문제는 저런 식으로 어물쩍하게 넘어갈 사안이 아니다, 시급히 공식 통지를 통해 시급히 바로잡아야 한다. 간단하다. 문화재를 대체하는 용어는 '국가유산'이 아니라 '유산'이라는 사실을 공식 통보해야 한다. 이 사안은 그만큼 심각해서 구렁이 담 넘어가는 식으로 .. 2024. 5. 17. 무게 60톤 지구촌 최대 호바 운석 Hoba Meteorite 호바 Hoba 는 지구에서 발견된 가장 큰 운석 meteorite 이다. 이 돌은 아프리카 나미비아에 있다. 그것이 위치한 농장 이름이 호바 웨스트 Hoba West 이기에 저리 부른다. 약 8만 년 전에 지구에 떨어졌다. 나미비아 오초존주파 Otjozondjupa 주州 그루트폰테인 Grootfontein 에서 멀지 않은 동명의 농장에 있는 운석이다. 무겁기에 떨어진 곳에서 옮겨진 적이 없으며 주요 질량은 60톤 이상으로 추정된다. 발견 이후 이런저런 이유로 떼가는 바람에 몇 톤이 줄어들었다 한다. 시료 분석한다는 이유로 그래했을 것이다. 저 운석은 분석 결과 철이 84%, 니켈이 16%, 코발트가 나머지를 차지한다. 저 운석은 저 농장 소유였다가 1987년 정부에 기증하면서 현재와 같은 모습으로 주변 .. 2024. 5. 17. 개관 40주년을 맞는다는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 관련 특별전을 한다는 안내가 있어 찬찬히 둘러볼까 했더니 개막이 24일이라 해서 아쉬움을 달랠 수밖에 없었으니 제주가 글타고 걸핏하면 달려올 만한 데도 아니니 둘러볼 기회가 있을지 모르겠다.강연을 빙자해 들른 이곳이 나로선 물경 이십년 삼십년만의 재방이라 미안하기 짝이 없으니 그땐 그 정체도 아리숑숑할 때라 사립인지 국립인지 공립인지도 안중에 없을 때니 지금 와서 보니 제주도립 공립이라 그런 박물관이 설립 사십년이라니 상당히 빠른 광역지자체 운영 박물관이요 더구나 당시로서는 주제 선정도 쉽지 않았을 민속과 자연사의 결합을 시도했으니 그 선구하는 안목이 남다르게 다가온다.짬 내어 이곳 김나영 학예연구사 이야기를 들으매 두 가지가 그 역사와 관련해 특히나 인상적이었으니 첫째 그 설립 입안 창안 초석자가 박정.. 2024. 5. 17. 이전 1 ··· 1075 1076 1077 1078 1079 1080 1081 ··· 3644 다음 반응형